본문내용
이에 필요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규정에 따라 수립한 시ㆍ군ㆍ구복지계획의 주요내용을 20일 이상 공고하여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하고, 지역사회복지 협의체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③시ㆍ도지사는 시ㆍ군ㆍ구 복지계획을 종합ㆍ조정하여 시ㆍ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작성한 후 이를 20일 이상 공고하여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하고, 사회복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시ㆍ도 복지계획과 그 연차별 시행 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11월 말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4. 지역 복지계획의 개선방안-1
ㆍ자치제의 지역복지계획의 내용은 지역복지계획의 이념과 복지계획의 중요성, 지역복지의 제도적 확충계획을 담고 있어야 한다.
ㆍ구체적인 사업목표 및 세부추진일정을 중심으로 세부계획이 작성되어야 하며, 지역복지의 기반이 되는 주민참여의 향상, 복지 교육, 사회복지시설확보 등도 그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ㆍ특히 지역복지계획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지역복지계획 자체가 지역복지 활동 주체들 간의
조정과 연계를 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지역복지계획은 모든 지방자치체가 각각의 특수한 복지환경을 고려하여 장ㆍ단기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② 규정에 따라 수립한 시ㆍ군ㆍ구복지계획의 주요내용을 20일 이상 공고하여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하고, 지역사회복지 협의체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③시ㆍ도지사는 시ㆍ군ㆍ구 복지계획을 종합ㆍ조정하여 시ㆍ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작성한 후 이를 20일 이상 공고하여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야 하고, 사회복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 시ㆍ도 복지계획과 그 연차별 시행 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11월 말까지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4. 지역 복지계획의 개선방안-1
ㆍ자치제의 지역복지계획의 내용은 지역복지계획의 이념과 복지계획의 중요성, 지역복지의 제도적 확충계획을 담고 있어야 한다.
ㆍ구체적인 사업목표 및 세부추진일정을 중심으로 세부계획이 작성되어야 하며, 지역복지의 기반이 되는 주민참여의 향상, 복지 교육, 사회복지시설확보 등도 그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ㆍ특히 지역복지계획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지역복지계획 자체가 지역복지 활동 주체들 간의
조정과 연계를 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지역복지계획은 모든 지방자치체가 각각의 특수한 복지환경을 고려하여 장ㆍ단기 지역복지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