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 관련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TV 관련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경
2. 정의
3. 추진현황
4. 향후 개선방향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는데 동의하지 않았다. 이는 SKT가 슬림요금제를 통해 사실상 소비자가 지불하는 비용이 0이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가입자 수 증가 폭이 컸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된다. 효용 대비 가격이 너무 비쌌던 것이다. 그러나 TU 미디어의 입장에서는 초기 1만 3,000원의 가격은 TU 미디어를 존속시키는 데 필요한 최저 금액이었다. 콘텐츠 수급비용 등을 감안할 때 이보다 낮은 가격으로는 수익을 기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TU 미디어의 상황을 보더라도 스마트 TV 구조 속에서 새로운 콘텐츠 사업자가 등장할 가능성은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기존 사업자도 유료 콘텐츠라는 명분을 가지기 힘들다.
5. 결론 및 시사점
결론적으로 스마트 TV 수상기는 일정 정도의 판매 기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스마트 TV로 인해 방송사업자가 수익을 거두기는 힘들 것이라는 것이 이 글의 기본적인 주장이다. 여기서 수익을 거둔다는 말은 개별 콘텐츠 사업자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마련하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종의 윈도우의 일환으로서 추가 수익을 생성할 수 있는 부차 시장은 수상기의 보급과 더불어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스마트 TV 라는 가치사슬 구조 속에서 독립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일 것이다. 이는 달리 보면 기존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현재의 방송 구조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서만 의미가 있다. 무료 방송과 유료 방송 간의 가격 차이가 작은 상황에서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 될 수 없고,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스마트 TV가 활성화될 수 없다는 선형적인 주장이다. 또한 잠재적 경쟁 사업자인 스마트 TV에 대해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지상파와 PP가 모기업의 플랫폼 전략에 배치되는 결정을 내릴 수 없을 것이라는 전제도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규제 당국이 스마트 TV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이를 위해서 무료와 유료 시장의 정상화를 도모한다면 스마트 TV가 비집고 들어갈 틈이 발생할 여지는 여전히 존재한다. 최근 들어 방송통신위원회가 유료 방송 활성화와 관련된 논의를 자주 언급하는 것도 이런 맥락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산업적인 문제가 아닌 정책적 차원에서 방송통신위원회의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원, 스마트 TV를 해석하는 2가지 시각, TV와 소비경험, 2010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8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