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대사회 노인 문제의 개념
2. 노인학대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3. 노인빈곤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4. 노인여가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5. 노인의 성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참고문헌
2. 노인학대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3. 노인빈곤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4. 노인여가 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5. 노인의 성문제 정리 및 개선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께 이런 현상은 증가한다. 삽입으로부터 사정까지의 시간도 길어지고 감수성의 둔화 성욕저하와 더불어 발기부전(임포텐스) 사정장애(射精障碍:조루증=早漏症)등이 나타난다. 여성들도 40대에 들어서면 질분비액(膣分泌液)이 10대와 유사하게 되고 40대 후반 내지 50대 초기에는 성호르몬의 분비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폐경(閉經)과 함께 질벽(膣壁)도 얇아지고 위축(萎縮:vaginal atrophy)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유학(儒學)에서는 10대 지학(志學):공부를 하여, 20대 약관(若冠):과거(科擧)에 합격 벼슬길에 올라, 30에 이립(而立):자기 소신껏 인생설계의 기반을 다져, 40이 불혹(不惑):누가 뭐래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50에 지명(知命):인생이 무엇인가를 알고 자기 자신을 정리하고, 60이 이순(耳順):모든 것을 순리대로 하늘에 맡기고, 70은 고희(古稀): 옛 부터 이 나이 되도록 생존하는 것은 희소한 일이라 종심(從心)이라 했으니, 육체는 부자유스러우며 오직 마음뿐이라는 뜻이라고 하겠고 이 나이가 되면 어떤 언동(言動)도 궤도(軌道)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라고 하였다.
2) 노인 성문제의 개선 방안
부부가 해로하는 경우 성적 욕구의 해소가 비교적 쉽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노인 절반에 가까운 48%가 배우자가 없는 독신 노인이다. 재혼이나 이성 친구를 사귀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그러나 사회적 통념과 자식들의 반대 때문에 재혼을 하거나 이성교제를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무배우자 노인에게는 삶의 보람이 있는 동반자를 구한다면 참 좋을 것이다. 그러나 늙은 노인끼리 이성 교제를 한다면 나이값도 못하는 부정한 일이라고 가족으로 부터 엄한 눈총을 받게 마련이고, 노인 자신도 이와 흡사한 기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자식들의 양육에 모든 것을 쏟아 온 부모로서의 의무를 다한 사람들이 노후에 새로운 인생을 발견할 수 있게 젊은 세대는 힘껏 협력해야 할 것이다.
노인클럽, 노인대학, 노인정, 노인복지관은 고령 노인들의 좋은 사교장이다. 특히 배우자가 없는 사람에게는 이성과의 재미나는 대화의 장이 된다. 노인들도 이성과의 교제가 시작되면 복장도 마음도 멋을 내게 되고 많은 회춘을 볼 수 있으며, 서로 사랑의 대상자를 발견하게 마련이다. 노인들끼리의 자연스런 신체접촉을 통하여 성의 신선함을 가져올 수 있다. 노인 클럽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이 댄스파티라는 것을 보아도 남녀의 접촉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단순히 차마시는 친구로서의 교제로 시작하여 노인결혼에까지 발전시켜 가는 경우가 앞으로 고령화 사회에서는 점점 증가해 갈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무배우자 노인의 가족들이 진정으로 부친이나 모친의 행복을 위해 성원한다면 삶의 보람을 잃지 않고 희망차고 명창한 여생을 보내는 노인이 점점 증가해 갈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노인의 회춘이며 노인의 성의 부활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 성행위가 불가능할 때가 온다. 능력의 한계가 왔을 때는 따로따로 떨어져서 이불을 덮고 잔다든가 또 별실에 떨어져서 자지 말고 이불 속에서 부부가 서로 피부와 피부를 닿게 하여 따뜻해지게 하고 피부를 통한 성감을 갖는다는 것, 즉 skinship touching으로 성생활을 즐기는 일도 대단히 중요하다. 그리하면 서로의 피부가 따뜻해짐을 소중히 여겨 죽을 때까지 약하기는 하지만 성욕을 느끼며 부부로서의 만족감에 젖을 수 있을 것이다. 고령의 부부에게는 보살핌과 피부의 접함이 있으면 가령 성행위가 없다고 해도 젊을 때와 같은 만족감이 얻어지게 된다.
한국인 평균수명은 남자 68세, 여자 74세인데 특징은 남자 40대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다는 것이다. 그러니 40대와 50대를 잘 넘기는 남자는 장수하지만, 여성과부는 중년기와 초노기에 많이 생긴다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60세 이상 과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몇 년 전 우리 통계는 이들의 3분의 2가 성생활을 포함한 노년기 이성(異性)관계의 중요성을 깊이 인정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한국도 이제 노년기 재혼문제가 심각하게 고려할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짝 잃은 노인들의 여생이 짧지 만은 않다. 둘째, 자식들과 떨어져 사는 노인부부가 많아지고, 상배(喪配) 하더라도 독립생활을 원하는 수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셋째, 노인들에게도 성적 욕구가 있으며, 성문제도 이제는 그리 비밀스러운 것이 아니다. 넷째, 노인들에게도 말벗이 필요하다. 근래 세대간 문화차이가 깊어지는 데다 핵가족을 선호하는 젊은 자식층은 내심 자기들만의 핵가족을 유지하고 싶어한다. 다섯째, 독립해서 살 수 있는 경제력을 지닌 노인층이 차츰 두터워져 간다. 재혼은 인생의 폭을 넓히고, 두 사람의 합침으로 삶의 질이 홀로 살 때보다 올라간다. 여섯째, 의학발전으로 노인들 심신건강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예컨대, 성인병 예방과 치료법이 향상되고 있으며, 비아그라까지 나오는 형편이다. 일곱째, 노인의 재혼을 해괴망칙하다고 보았던 우리 사회문화에도 현재는 남녀노인의 손 붙들고 다니는 모습이 아주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다.
중상류층이 이용하는 실버시설에 의외로 초노기층이 많다. 식사도 영양가 있게 나오며, 시설도 화려하다. 남자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여자들은 평소에 화장을 열심히 하고 있으며, 남자들도 단정히 차려 입고 희소가치를 누리면서 떠받침 받는다. 남녀들이 어울려 서로의 거실을 방문하고, 입소자 대표를 선출할 때는 꼭 남녀공학 중학생들처럼 선거운동 열기가 대단하다. 자치회의에서는 남자들의 마이크 잡는 경쟁이 심하다. 이성교제의 열기가 만만치 않다. 점잖고 조용하게 이루어지는 남녀관계는 사실 이들 입주자들의 꿈이다.
참고문헌
김미혜 외(1997), 「양성평등이 보장되는 복지사회」, 미래인력연구센터.
김경호(1997), “고령화 시대의 노인복지”,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3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성재(1989), “노인복지의 사회적 서비스 장기정책방향”,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세미나」.
장세철 외, 노인복지, 교문사, 2006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고수현 외,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2) 노인 성문제의 개선 방안
부부가 해로하는 경우 성적 욕구의 해소가 비교적 쉽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노인 절반에 가까운 48%가 배우자가 없는 독신 노인이다. 재혼이나 이성 친구를 사귀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그러나 사회적 통념과 자식들의 반대 때문에 재혼을 하거나 이성교제를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무배우자 노인에게는 삶의 보람이 있는 동반자를 구한다면 참 좋을 것이다. 그러나 늙은 노인끼리 이성 교제를 한다면 나이값도 못하는 부정한 일이라고 가족으로 부터 엄한 눈총을 받게 마련이고, 노인 자신도 이와 흡사한 기분을 갖게 된다. 그러나 자식들의 양육에 모든 것을 쏟아 온 부모로서의 의무를 다한 사람들이 노후에 새로운 인생을 발견할 수 있게 젊은 세대는 힘껏 협력해야 할 것이다.
노인클럽, 노인대학, 노인정, 노인복지관은 고령 노인들의 좋은 사교장이다. 특히 배우자가 없는 사람에게는 이성과의 재미나는 대화의 장이 된다. 노인들도 이성과의 교제가 시작되면 복장도 마음도 멋을 내게 되고 많은 회춘을 볼 수 있으며, 서로 사랑의 대상자를 발견하게 마련이다. 노인들끼리의 자연스런 신체접촉을 통하여 성의 신선함을 가져올 수 있다. 노인 클럽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이 댄스파티라는 것을 보아도 남녀의 접촉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단순히 차마시는 친구로서의 교제로 시작하여 노인결혼에까지 발전시켜 가는 경우가 앞으로 고령화 사회에서는 점점 증가해 갈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무배우자 노인의 가족들이 진정으로 부친이나 모친의 행복을 위해 성원한다면 삶의 보람을 잃지 않고 희망차고 명창한 여생을 보내는 노인이 점점 증가해 갈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노인의 회춘이며 노인의 성의 부활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 성행위가 불가능할 때가 온다. 능력의 한계가 왔을 때는 따로따로 떨어져서 이불을 덮고 잔다든가 또 별실에 떨어져서 자지 말고 이불 속에서 부부가 서로 피부와 피부를 닿게 하여 따뜻해지게 하고 피부를 통한 성감을 갖는다는 것, 즉 skinship touching으로 성생활을 즐기는 일도 대단히 중요하다. 그리하면 서로의 피부가 따뜻해짐을 소중히 여겨 죽을 때까지 약하기는 하지만 성욕을 느끼며 부부로서의 만족감에 젖을 수 있을 것이다. 고령의 부부에게는 보살핌과 피부의 접함이 있으면 가령 성행위가 없다고 해도 젊을 때와 같은 만족감이 얻어지게 된다.
한국인 평균수명은 남자 68세, 여자 74세인데 특징은 남자 40대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다는 것이다. 그러니 40대와 50대를 잘 넘기는 남자는 장수하지만, 여성과부는 중년기와 초노기에 많이 생긴다는 것을 미루어 알 수 있다. 60세 이상 과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몇 년 전 우리 통계는 이들의 3분의 2가 성생활을 포함한 노년기 이성(異性)관계의 중요성을 깊이 인정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한국도 이제 노년기 재혼문제가 심각하게 고려할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짝 잃은 노인들의 여생이 짧지 만은 않다. 둘째, 자식들과 떨어져 사는 노인부부가 많아지고, 상배(喪配) 하더라도 독립생활을 원하는 수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셋째, 노인들에게도 성적 욕구가 있으며, 성문제도 이제는 그리 비밀스러운 것이 아니다. 넷째, 노인들에게도 말벗이 필요하다. 근래 세대간 문화차이가 깊어지는 데다 핵가족을 선호하는 젊은 자식층은 내심 자기들만의 핵가족을 유지하고 싶어한다. 다섯째, 독립해서 살 수 있는 경제력을 지닌 노인층이 차츰 두터워져 간다. 재혼은 인생의 폭을 넓히고, 두 사람의 합침으로 삶의 질이 홀로 살 때보다 올라간다. 여섯째, 의학발전으로 노인들 심신건강이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예컨대, 성인병 예방과 치료법이 향상되고 있으며, 비아그라까지 나오는 형편이다. 일곱째, 노인의 재혼을 해괴망칙하다고 보았던 우리 사회문화에도 현재는 남녀노인의 손 붙들고 다니는 모습이 아주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다.
중상류층이 이용하는 실버시설에 의외로 초노기층이 많다. 식사도 영양가 있게 나오며, 시설도 화려하다. 남자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여자들은 평소에 화장을 열심히 하고 있으며, 남자들도 단정히 차려 입고 희소가치를 누리면서 떠받침 받는다. 남녀들이 어울려 서로의 거실을 방문하고, 입소자 대표를 선출할 때는 꼭 남녀공학 중학생들처럼 선거운동 열기가 대단하다. 자치회의에서는 남자들의 마이크 잡는 경쟁이 심하다. 이성교제의 열기가 만만치 않다. 점잖고 조용하게 이루어지는 남녀관계는 사실 이들 입주자들의 꿈이다.
참고문헌
김미혜 외(1997), 「양성평등이 보장되는 복지사회」, 미래인력연구센터.
김경호(1997), “고령화 시대의 노인복지”,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3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최성재(1989), “노인복지의 사회적 서비스 장기정책방향”,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세미나」.
장세철 외, 노인복지, 교문사, 2006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고수현 외,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추천자료
치매노인가족의 문제점과 지원방안
(노인문제, 노인복지) 노인의 성 문제 해결방안 (노년기 성생활 문제의 해결방안)
(노인문제, 노인복지) 노인고용 및 노인취업에 관하여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인문제][노인복지][실버산업][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서비스][고령화사회]...
노인문제 증가에 따른 한국 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 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과 노인복지정...
[노인복지][노인복지서비스][노인복지정책][노인복지체계][노인문제][고령화][고령화사회][노...
[사례포함]노후준비에 대하여(노인의 개념, 욕구,문제, 노후대책방법, 나의노후대책 -사례포함)
[노인복지A+] 케어 이론 및 노인케어 복지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한 자료 (노인케어복...
여성노인의 문제와 그 해결방향
최근 노인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된지 오래다. 노인문제는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더욱...
현재,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만약 자신이 사...
노인여가 사회문제,노인여가복지의 문제점,연령차별주의,고령화사회 노인문제
청년실업과 노인실업문제는 모두 국가적 과제인데 이 둘 중 어느 한 가지 문제가 우선적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