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UML 무엇인가?
2.UML 다이어그램종류 최소13개 및 설명(간단하고쉽게)
3.클래스다이어그램 예제및 설명 (특히자세하게)
2.UML 다이어그램종류 최소13개 및 설명(간단하고쉽게)
3.클래스다이어그램 예제및 설명 (특히자세하게)
본문내용
lic class ButtonDialerAdapter implements ButtonListener {
...
}
*자바 클래스와 자바 인터페이스 사이의 상속 관계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이다. 이런 표기법은 COM 설계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예제 클래스 다이어그램
*ATM 시스템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그린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
*더욱더 자세하게 그릴 수도 있지만 아이디어만 주면 되므로 이 정도면 충분하다.
*위 다이어그램을 보면서 아래와 같은 코드도 같이 볼 수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UI implements WithdeawaUI, DepositUI, TransferUI {
private Screen itsScreen;
private MEssageLog itsMessageLog;
private void displayMessage(String message) {
itsMessageLog.logMessage(message);
itsScreen.displayMessage(message);
}
}
*클래스 스테레오타입(<>)
의미만 전달된다면 꼭 '<<>>' 같이 그릴 필요는 없다. 와 같이 그려도 된다.
interface Transaction {
public void execute();
}
*추상클래스
이름을 이탤릭체로 적거나, {abstract}프로퍼티를 사용하는 것이다.
칠판에 이탤릭체로 적기도 어렵으므로 의미만 전달되면 약어로 사용해도 된다. {A}등이다.
public abatract class Shape {
private Point itsAnchorPoint;
public abstract void draw();
}
*다수성(Multiplicity)
public class BinaryTreeNode{
private BinaryTreeNode leftNode;
private BinaryTreeNode rightNode;
}
숫자-원소의 정확한 숫자
* 또는 0..* - 0개 또는 그 이상
0..1 - 0개 또는 1개
1..* - 1개 또는 그 이상
3..5 - 3에서 5개까지
*연관 스테레오 타입
연관에 스테레오타입을 붙여서 의미를 바꿀 수 있다.
<>-연관의 원본이 연관의 대상을 생성함으로 나타낸다.
<>-원본 클래스가 대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들고 그 인스턴스의 참조가 지역 변수에 담길 때 사용한다.
<>-원본 클래스의 멤버 함수가 호출될 때 대상 인스턴스가 인자로 넘어옴으로써 원본 클래스가 대상 클래스에 접근 할 수 있게 됨을 보여준다.
<>-원본 클래스의 멤버함수가 호출될 때 이 호출을 대상 클래스에 그대로 전달해서 대상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호출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익명내부클래스
*연관클래스
다수성을 표기한 연관을 보면 연관의 원본이 연관 대상의 여러 인스턴스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결론
UML을 너무 적게 사용하는 편이 UML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낫다.
...
}
*자바 클래스와 자바 인터페이스 사이의 상속 관계를 나타낸다.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이다. 이런 표기법은 COM 설계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예제 클래스 다이어그램
*ATM 시스템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그린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
*더욱더 자세하게 그릴 수도 있지만 아이디어만 주면 되므로 이 정도면 충분하다.
*위 다이어그램을 보면서 아래와 같은 코드도 같이 볼 수 있어야 한다.
public class UI implements WithdeawaUI, DepositUI, TransferUI {
private Screen itsScreen;
private MEssageLog itsMessageLog;
private void displayMessage(String message) {
itsMessageLog.logMessage(message);
itsScreen.displayMessage(message);
}
}
*클래스 스테레오타입(<
의미만 전달된다면 꼭 '<<>>' 같이 그릴 필요는 없다. 와 같이 그려도 된다.
interface Transaction {
public void execute();
}
*추상클래스
이름을 이탤릭체로 적거나, {abstract}프로퍼티를 사용하는 것이다.
칠판에 이탤릭체로 적기도 어렵으므로 의미만 전달되면 약어로 사용해도 된다. {A}등이다.
public abatract class Shape {
private Point itsAnchorPoint;
public abstract void draw();
}
*다수성(Multiplicity)
public class BinaryTreeNode{
private BinaryTreeNode leftNode;
private BinaryTreeNode rightNode;
}
숫자-원소의 정확한 숫자
* 또는 0..* - 0개 또는 그 이상
0..1 - 0개 또는 1개
1..* - 1개 또는 그 이상
3..5 - 3에서 5개까지
*연관 스테레오 타입
연관에 스테레오타입을 붙여서 의미를 바꿀 수 있다.
<
<
<
<
*익명내부클래스
*연관클래스
다수성을 표기한 연관을 보면 연관의 원본이 연관 대상의 여러 인스턴스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결론
UML을 너무 적게 사용하는 편이 UML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낫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