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와 오미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기와 오미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기(四氣)
2. 오미(五味)
3. 식물의 사기오미(四氣五味)
4. 한약의 성질(사기/四氣)
5. 한약의 성질(오미/五味)
Ⅲ. 결론

본문내용

, 신 음식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5) 짠맛은 신(腎)에 들어가 신(腎)의 쇠약을 보양한다
짠 맛과 신(腎)의 관계는 다음의 몇가지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몸안의 염분이 땀을 통해서 배출되는 외에는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 염분은 여러가지 물질을 부드럽게 하고 녹인다. 배추는 소금으로 절이는 이치이다. 피를 토할 때에는 소금물을 먹이면 진정이 된다. 음식물에 염분이 많은 것을 요구하는 사람은 대개 정력이 왕성하지 못하고 성적 활도이 부진하고 체질이 정적이다. 삶의 힘을 억제하는 힘은 음이요, 음은 물이요, 물은 신(腎)에 속하니 짠 맛을 지니 물질의 작요이 신(腎)에 지배받는다는 결론이 나온다. 부종, 수종은 신장병이 원인으로 수분과 염분이 지나치게 몸안에 많이 쌓여서 수혈증과 과염혈증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싱거운 맛은 특징이 없는 맛이지만 맛이 전혀 없는 것과는 다르다. 소변에 좋은 백복령, 식이요법에 좋은 토마토 같은 것은 싱거운 단맛이 섞여 있는데 이렇게 담백한 맛, 싱거운 맛을 지닌 것은 배설을 잘 되게 한다. 싱거운 맛도 역시 신(腎)에 속한다.
Ⅲ. 결론
이처럼 각각의 약재와 음식물은 고유한 맛(味)을 통해 우리 몸속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식적으로만 본다면 한 가지만 지나치게 편식하는 것은 좋지 않다. 하지만, 8체질별로 장부의 강약 차이가 분명하기 때문에 약한 장기의 맛은 섭취를 늘이고, 강한 장기의 맛은 줄이는 것이 장부의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완벽하게 균형 있는 식사보다는 어느 정도 체질에 맞춘 편식이 건강에 더 좋을 수가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9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