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말아톤’ 사례
.2. 구조적 치료의 개념 및 이론적 틀
3. ‘말아톤’ 사례에 구조적 관점 개입의 필요성
4. 사정
5. 치료기법
6. 참고문헌
1. ‘말아톤’ 사례
.2. 구조적 치료의 개념 및 이론적 틀
3. ‘말아톤’ 사례에 구조적 관점 개입의 필요성
4. 사정
5. 치료기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estructure)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재구조화의 기법은 여러 가지 분야에 적용된다.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과 증상에 도전하는 데나 가족의 구조 속에 있는 경계선을 만들고 바꾸는데 재구조화의 기법이 사용된다. 재구조화는 경계선의 설정을 다른 방식으로 하는데 있어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산만한 경계선을 가지고 있는 가족인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가족들은 분명한 경계선을 가지게 되면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된다. 거리가 멀어지면 가족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족들이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치료자는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믿음에 도전하는 치료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가족들의 경계선에 대한 믿음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도록 도와준다. 가족들은 자신들의 문제와 경계선에 대한 믿음이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고 깨달음으로써 경계선을 만들 수 있는 믿음의 근거를 바꾸게 된다. 가족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믿음을 바꾸게 되면 치료자는 가족들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마련한 셈이 된다. 치료자는 재구조화를 통해서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공동의 믿음을 변화시키게 된다. 재구조화를 위해서 집중(intensity), 구성(construction), 강점(strength)의 기법을 사용한다.
집중
치료자가 가족들의 상호작용을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반복의 방법을 사용한다. 치료자가 말하고 싶은 주제를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치료자 : (어머니와 초원이 사이에 중원이를 앉힌다) 초원이가 어머니와 조금은 떨어져 있으니까 어떤 느낌이 드세요?
어머니 : 잘은 모르겠지만 불편한 건 사실이예요. 초원이는 제가 옆에 있어줘야 할 아이거든요.
치료자 : 그럼 지금 옆에 앉아 있는 중원이를 한번 바라보세요. (계속해서 눈을 마주치지 못한다) 어머니께서 중원이와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하는 이유 는 뭘까요?
어머니 : 중원이가 제 눈을 자꾸 피하네요. 저로서는 어찌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치료자 : 중원이는 엄마 옆에 가까이 앉아 있으니깐 어떤 생각이 드니?
중원이 : 모르겠어요. 잘 느낌이 안와요. 엄마가 별로 탐탁해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아무튼 어색해요.(고개를 숙인다)
치료자 : 중원이는 엄마가 무섭니? 엄마가 뭐라고 할까봐 신경쓰이니?
중원이 : 아녜요. 그런 건 아녜요. 그냥 엄마가 별로 안좋아하니깐..
구성(construction)
구성기법은 치료자가 가족의 역기능 상호작용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족들이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의식을 만드는 방법
강점(strength)
가족들의 긍정적 자원을 찾아내고 활용하는 치료자의 활동, 치료자는 가족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역기능의 부분만을 보고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할 뿐만 아니라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충분히 지적하고 이를 가족들에게 인식시킴으로써 가족들이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 내고 새로운 상호작용을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어머니 : 초원이가 마라톤을 하는 것에 대해 가족들은 찬성하는 쪽이었어요. 초원이가 좋아질 수 있다면야..하면서 말이죠.
치료자 : 가족 내에서 초원이의 마라톤은 중요한 합의점이 되었군요. 초원이를 향한 애정은 가족 모두가 상당히 높은 것이 보기 좋네요.
아버지 : 한번 들은 것은 곧잘 기억해내는 초원이에게 가능성이 보였거든요.
치료자 : 그럼 초원이처럼 중원이도 가능성이 있지 않을 까요?
아버지 : 그럼요. 중원이는 말수가 적을 뿐이지 이 아빠를 얼마나 생각해준다고요. 늘 기특한 아들입니다.
치료자 : 가족 간에 애정은 대화로서 나타나는 것이지요. 가족이 좀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겉으로 표현하는 것이 참 좋은 방법입니다.
4)기타 기법
균형무너뜨리기 : 경계선을 만들어 가면서 하위체계간의 관계를 재조정해나가는 것으로 하위체계 내에 있는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어머니 : 초원이는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가고 코치선생님하고 운동하다가 집에 오면 하루가 지나가요. 초원이가 코치선생님과 열심히 운동하고 있을지 항상 걱정이 됩니다.
치료자 : 어머니, 앞으로 상담에서는 초원이에 대한 이야기는 절대 하지 않기로 해요. 초원이가 어떻게 생각할 것이라든지, 어떻게 느낄 것이라든지 등 누군가를 대신해서 이야기하면 절대 안 됩니다. 어머니는 자신의 생각, 자신의 기억, 자신의 감정만을 이야기하기로 약속해주세요.
가족신념에 도전하기 : 가족구성원들의 현실지각체계에 도전하여 가족들의 상호관계 유형을 변화시켜 현실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하는 것
아버지 : 초원이를 생각하면 걱정이 앞서죠. 잘 하고 있을 까? 마라톤이 아들을 괜히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들이 자주 듭니다.
어머니 : 초원이가 뛰는 것을 좋아할 까? 내 과욕 때문에 초원이를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닐 까? 라는 생각을 항상해요.
중원이 : 아빠랑 엄마랑 사이가 걱정돼요. 물론 형도 생각하지만 형 옆에는 엄마가 있으니깐...
치료자 : 가족 내에 대부분 많은 시야가 초원이에게 너무 편중되어 있어요. 초원이를 뺀 나머지 가족은 어떻죠? 서로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여 봤나요? 초원이는 무엇이 필요하고 어떻게 도움을 주어야 하는 지 잘 알면서 내 남편이, 아내가, 중원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6. 참고 문헌
조흥식외 4인 공저. 가족복지학 . 학지사 : 서울. 1997.
Jill Doner Kagle저. 홍순혜 한인영 역. 사회사업기록. 학문사 : 서울. 1997
서화자 . 장애인 가족원조론-자폐증아 가족을 중심으로-. 홍익사 : 서울. 1999
정하성 안승열 공저. 청소년 프로그램의 실제론-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 학문사 : 서울. 2003
김용태.(2003). 가족치료이론. 서울:학지사.
김유숙.(2002).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송성자(1996).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학문사.
S. Minuchin.(1988). 가족과 가족치료. (김종옥 역.) 서울: 법문사.
.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재구조화의 기법은 여러 가지 분야에 적용된다.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과 증상에 도전하는 데나 가족의 구조 속에 있는 경계선을 만들고 바꾸는데 재구조화의 기법이 사용된다. 재구조화는 경계선의 설정을 다른 방식으로 하는데 있어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산만한 경계선을 가지고 있는 가족인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가족들은 분명한 경계선을 가지게 되면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된다. 거리가 멀어지면 가족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족들이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에 치료자는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믿음에 도전하는 치료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가족들의 경계선에 대한 믿음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도록 도와준다. 가족들은 자신들의 문제와 경계선에 대한 믿음이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고 깨달음으로써 경계선을 만들 수 있는 믿음의 근거를 바꾸게 된다. 가족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믿음을 바꾸게 되면 치료자는 가족들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마련한 셈이 된다. 치료자는 재구조화를 통해서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공동의 믿음을 변화시키게 된다. 재구조화를 위해서 집중(intensity), 구성(construction), 강점(strength)의 기법을 사용한다.
집중
치료자가 가족들의 상호작용을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새로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반복의 방법을 사용한다. 치료자가 말하고 싶은 주제를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치료자 : (어머니와 초원이 사이에 중원이를 앉힌다) 초원이가 어머니와 조금은 떨어져 있으니까 어떤 느낌이 드세요?
어머니 : 잘은 모르겠지만 불편한 건 사실이예요. 초원이는 제가 옆에 있어줘야 할 아이거든요.
치료자 : 그럼 지금 옆에 앉아 있는 중원이를 한번 바라보세요. (계속해서 눈을 마주치지 못한다) 어머니께서 중원이와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하는 이유 는 뭘까요?
어머니 : 중원이가 제 눈을 자꾸 피하네요. 저로서는 어찌해야 할지 난감합니다.
치료자 : 중원이는 엄마 옆에 가까이 앉아 있으니깐 어떤 생각이 드니?
중원이 : 모르겠어요. 잘 느낌이 안와요. 엄마가 별로 탐탁해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아무튼 어색해요.(고개를 숙인다)
치료자 : 중원이는 엄마가 무섭니? 엄마가 뭐라고 할까봐 신경쓰이니?
중원이 : 아녜요. 그런 건 아녜요. 그냥 엄마가 별로 안좋아하니깐..
구성(construction)
구성기법은 치료자가 가족의 역기능 상호작용을 변화시키기 위해 가족들이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의식을 만드는 방법
강점(strength)
가족들의 긍정적 자원을 찾아내고 활용하는 치료자의 활동, 치료자는 가족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역기능의 부분만을 보고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할 뿐만 아니라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충분히 지적하고 이를 가족들에게 인식시킴으로써 가족들이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 내고 새로운 상호작용을 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어머니 : 초원이가 마라톤을 하는 것에 대해 가족들은 찬성하는 쪽이었어요. 초원이가 좋아질 수 있다면야..하면서 말이죠.
치료자 : 가족 내에서 초원이의 마라톤은 중요한 합의점이 되었군요. 초원이를 향한 애정은 가족 모두가 상당히 높은 것이 보기 좋네요.
아버지 : 한번 들은 것은 곧잘 기억해내는 초원이에게 가능성이 보였거든요.
치료자 : 그럼 초원이처럼 중원이도 가능성이 있지 않을 까요?
아버지 : 그럼요. 중원이는 말수가 적을 뿐이지 이 아빠를 얼마나 생각해준다고요. 늘 기특한 아들입니다.
치료자 : 가족 간에 애정은 대화로서 나타나는 것이지요. 가족이 좀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겉으로 표현하는 것이 참 좋은 방법입니다.
4)기타 기법
균형무너뜨리기 : 경계선을 만들어 가면서 하위체계간의 관계를 재조정해나가는 것으로 하위체계 내에 있는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어머니 : 초원이는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가고 코치선생님하고 운동하다가 집에 오면 하루가 지나가요. 초원이가 코치선생님과 열심히 운동하고 있을지 항상 걱정이 됩니다.
치료자 : 어머니, 앞으로 상담에서는 초원이에 대한 이야기는 절대 하지 않기로 해요. 초원이가 어떻게 생각할 것이라든지, 어떻게 느낄 것이라든지 등 누군가를 대신해서 이야기하면 절대 안 됩니다. 어머니는 자신의 생각, 자신의 기억, 자신의 감정만을 이야기하기로 약속해주세요.
가족신념에 도전하기 : 가족구성원들의 현실지각체계에 도전하여 가족들의 상호관계 유형을 변화시켜 현실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하는 것
아버지 : 초원이를 생각하면 걱정이 앞서죠. 잘 하고 있을 까? 마라톤이 아들을 괜히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들이 자주 듭니다.
어머니 : 초원이가 뛰는 것을 좋아할 까? 내 과욕 때문에 초원이를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닐 까? 라는 생각을 항상해요.
중원이 : 아빠랑 엄마랑 사이가 걱정돼요. 물론 형도 생각하지만 형 옆에는 엄마가 있으니깐...
치료자 : 가족 내에 대부분 많은 시야가 초원이에게 너무 편중되어 있어요. 초원이를 뺀 나머지 가족은 어떻죠? 서로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여 봤나요? 초원이는 무엇이 필요하고 어떻게 도움을 주어야 하는 지 잘 알면서 내 남편이, 아내가, 중원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6. 참고 문헌
조흥식외 4인 공저. 가족복지학 . 학지사 : 서울. 1997.
Jill Doner Kagle저. 홍순혜 한인영 역. 사회사업기록. 학문사 : 서울. 1997
서화자 . 장애인 가족원조론-자폐증아 가족을 중심으로-. 홍익사 : 서울. 1999
정하성 안승열 공저. 청소년 프로그램의 실제론-사회적응 프로그램 개발-. 학문사 : 서울. 2003
김용태.(2003). 가족치료이론. 서울:학지사.
김유숙.(2002).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송성자(1996).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학문사.
S. Minuchin.(1988). 가족과 가족치료. (김종옥 역.) 서울: 법문사.
.
추천자료
성 차별의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직장 내에서의 성차별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모델
장애아동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청소년 금연운동][금연프로그램][금연교육][금연대책][금연][금연운동][흡연][담배][청소년...
[위암][암][위암 발생][위암 빈도][위암 원인][위암 증상][위암 전이][위암 진행][위암 진단]...
세브란스 정신건강 병원 알코올중독 회복 프로그램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 종류 및 현황과 현황
건강가정 지원센터의 주요 기능과 역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정신보건 영역의 공적 자원 프로그램과 정신보건사업 활성화와 정신장애인 삶의 질 향상방안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내용과 운영
우리나라 시설아동의 현황과 아동복지시설의 발전방향
건강가정지원센터1
10대(만17세) 임산부의 무책임한 태도와 태아학대 사례, w`er의 개입 후 변화사항 (태아학대,...
[성폭력과 개별상담] 성폭력가해자 처벌강화에 대한 인식조사 [신상공개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