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2. 사회복지교육자의 정체성
3. 사회복지사는 과연 '사회'의 복지사인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2. 사회복지교육자의 정체성
3. 사회복지사는 과연 '사회'의 복지사인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회와 사회복지 소비자로부터 분명한 재가나 인가를 획득하려면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교육을 담당하는 여러 교수님들이 사회복지사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분명히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교육현장에서 사회복지 학도와 일선 사회복지사에게 실천현장에서는 오로지 사회복지 실천만을 수행할 것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 역시 우리 전문직의 고유영역과 실천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이에 근거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 길만이 21세기 최고의 전문직으로서 한국 사회복지사가 위상을 차지하게 되는 지름길임을 본 필자는 주장하는 바이다. 99
참고문헌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외 역,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나남, 2001.
오창순 외 역, 「사회복지실천론 -통합적 관점-」,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2.
이팔환 외 역,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집, 2000.
Hardcastle D. A., Wenocur S., & Powers P. R., Community Pratice: theories and skills for social work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참고문헌
서울대 사회복지실천연구외 역,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나남, 2001.
오창순 외 역, 「사회복지실천론 -통합적 관점-」,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2.
이팔환 외 역,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집, 2000.
Hardcastle D. A., Wenocur S., & Powers P. R., Community Pratice: theories and skills for social work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 마케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민간 사회복지단체에서는 여러 방법...
[사회복지전달체계]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8가지 원칙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의 문제해결과정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역할
사회복지정책의 이론(사회양심론 음모이론 산업주의론 다원주의 시민권론 조합주의 이익집단...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과정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및 영역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및 절차 사회조사의 형태 - 사회복지조사연구의 특성 및...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쉽 중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이론에 대해 서술하세요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목적 및 발달과정
교회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교회사회복지] 교회사회복지의 실천방향 한국 교회사회복지의 과제
학교사회복지의 개념과 접근방법 및 대상 학교사회복지의 현황 및 실천 학교사회복지 전망과 ...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영역 기능 정신보건전문요원 정신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