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및 국내 GMO 개발 현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외 및 국내 GMO 개발 현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MO는 무엇인가?
2. 국외 및 국내 GMO 개발 현황
3. GMO 개발의 긍정적 효과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결과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GMO의 최초개발은 1994년이다. 아직 최초개발 후 15년 밖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아직까지 생물에게 부작용이 없다고 말할 수 없다. 단기적으로 보면 큰 부작용은 없지만,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알 수가 없다. 물론 우리의 생장보다 훨씬 실험용 쥐나 다른 동물로 많은 연구를 했을지라도, 실험용 쥐와 인간은 다르다. 따라서 나는 GMO식품의 안전성에 대하여 완전하게 믿지 않는다. 얼마 전 GMO를 찬성하는 입장이 담긴 『식탁 위의 생명공학』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에는 자동차를 비유로 들면서 GMO식품에 대하여 은근슬쩍 찬성하는 분위기를 띄었다. 자동차가 많은 공해를 발생시키며 환경을 파괴하는 커다란 주범이란 것은 모두 다 아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자동차를 타지 않는 사람은 없다고 했다. 이와 같이 GMO도 약간의 위험성은 있지만 나라에서 주관하는 안전성을 평가받으면, 식탁 위에 GMO 식품들을 올려도 괜찮다고 하였다. 이 말도 맞는 말 같지만, 자동차와 GMO식품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 같다. 자동차가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리적 환경이다. 그러나 GMO는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더욱 무서운 것은 유전자는 한세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세대에 까지 전달된다는 것이다. 나는 GMO식품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GMO식품이 한세대가 지나고 나서도 안전성이 보장된다면 그 때에는 식량난을 해결하고, 경제적인 GMO식품에 대해 찬성할 준비가 되어 있다. 99
참고문헌
농림부, 2002, 유전자 변형농산물의 환경위해성 평가지침, 농림부고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0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