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케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문화 마케팅이란?
 ①문화 마케팅의 정의
 ②문화 마케팅의 개념
 ③등장배경과 유래

2.기업들은 왜 문화 마케팅을 하는가?

3.문화 마케팅의 사례(유형별),
 ①문화판촉
 ②문화지원
 ③문화연출
 ④문화기업
 ⑤문화후광

4.문화 마케팅 도입으로 인해 생긴 새로운 직업 ‘문화 마케터’

5.문화 마케팅을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참고자료 & Q&A

본문내용

- 디즈니랜드를 벤치마킹해 케릭터 산업에 도전장
◎ 계절마다 축제, 매일 매일 퍼레이드!
- 장미축제, 튤립축제 등등
- 문라이트 퍼레이드, 레이져 불꽃쇼, 카니발 판타지 퍼레이드 등등
⑤문화후광(Spirit)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기업들이 후광효과로 이용하는 유형
(국가 이미지가 기업의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대표적인 국가는 프랑스로, 문화대국으로서의 이미지가 패션, 와인 등의 상품 판매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드라마와 대중 가요 등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아시아에서 불고 있는 한류(韓流)열풍으로 문화 상품 및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효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 기업과 상품의 위상이 대폭 제고되었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국내 기업들의 제품들이 고가의 명품으로 팔리는 문화마케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1)조르주 뒤뵈프사의 보졸레 누보(프랑스 와인)
와인으로 유명한 프랑스 국가의 문화적 매력을 문화마케팅으로 이용.
프랑스 따라르(Tarare)시를 중심 축제를 운영.
“It’s Beaujolais Nouveau time~~”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 0시에 그 해(9월) 수확한 포도로 담근 와인을 전 세계에 동시에 제품을 출시’
다른 일반적인 와인
->가을(9~10월)에 포도를 수확해 와인을 양조한 후, 최소 몇 개월 이상(고급 와인은 18~24개월 이상) 오크통 혹은 스테인리스탱크에서 숙성시켜 출시
보졸레 누보
->프랑스 보졸레 지방의 특산 품종인 가메(Gamay)라는 품종으로 만들어 20여일 이라는 아주 짧은 숙성을 거쳐 수확한 바로 그해 11월 중순부터 다음해 부활절(4월)까지 마시는 와인
보졸레누보 차별화 마케팅…‘식객 vs 신의 물방울’
보졸레 누보 축제
(프랑스 보졸레 지방에서 만들어지는 와인 중 탄화 침용법이라 불리는 양조기법을 사용하여 단기간에 양조한 와인. 와인을 급에 따라 보졸레 누보, 보졸레 빌라쥐, 보졸레 크뤼로 구분하며, 크뤼급은 나름대로 수준이 있는 와인이며 10개 정도의 크뤼급 생산지가 지정.)
(불어로 Nouveau(누보)는 영어의 New이다. 즉 ‘보졸레 마을에서 만든 새로운 와인’이라는 뜻인데, 이 와인이 대단히 좋은 와인이라서 그리 호들갑을 떠는 건 아닙니다. 다른 일반적인 와인들은 가을(9~10월)에 포도를 수확해 와인을 양조한 후, 최소 몇 개월 이상(고급 와인은 18~24개월 이상) 오크통 혹은 스테인리스탱크에서 숙성시켜 출시를 하는데, 이 보졸레 누보라는 와인은 그 지역의 특산 품종인 가메(Gamay)라는 품종으로 만들어 20여일 이라는 아주 짧은 숙성을 거쳐 수확한 바로 그해 11월중순부터 다음해 부활절(4월)까지 마시는 와인입니다. 즉 ‘햇와인’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면 이 와인은 왜 그렇게 마실까? 보통 레드 와인을 만드는 포도품종에는 타닌(tannin)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이로 인해 와인의 구조감이 생기고 산화방지나 장기숙성이 가능해지는건데, 보졸레 누보를 만드는 가메(Gamay)라는 품종은 타닌 성분 자체가 원래 적어서 어차피 장기숙성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습니다(물론 예외도 있지만). 그래서 예전부터 숙성시켜서 마시지 않고 양조후 신선한 맛에 바로 마셔버리던 싸구려(?) 와인이었습니다. 하지만 60년대 이후 조르쥬 뒤뵈프라는 사람이 오히려 이를 거꾸로 활용해서 ‘올해 수확한 포도로 갓담든 신선한 와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이 신선한 와인을 전 세계적으로 11월 셋째 목요일 자정에 동시에 판매를 시작한다는 마케팅 전략을 구사했던 것이죠. 물론 대성공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1996년에 처음 들어온 후 2006년에 피크를 맞았다가 2007년부터 그 분위기가 많이 식고 있는 중입니다.)
5.문화 마케팅을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첫째, 전략과 계획을 세우고 접근해야만 한다.
(문화예술과의 연계를 도모하기에 앞서 계획과 명확한 목표를 먼저 설정하여 문화마케팅을 기업의 문화전략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감정과 경쟁사에 기초한 문화마케팅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 또한 기업의 문화전략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둘째, 기업은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한 문화마케팅을 실행해야 한다.
(고객의 패션, 성향, 행동 등에 초점을 맞춘 타켓팅 전략이야말로 새로운 고객관계를 창조하는 기업투자 관점의 문화마케팅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사업의 기반이 되는 커뮤니티를 활용해야 한다.
(기반이 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마케팅을 먼저 실행하여 높은 우호도의 對사회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최근 LG전자가 미국시장 공략을 위해 LA 소재의 국가문화유산인 '윌턴극장'과 5년간 후원계약을 체결하면서, 극장의 명칭을 'LG-윌턴극장'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 바로 지역문화동화전략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다.)
넷째, 기업은 문화마케팅의 성과를 반드시 측정해야만 한다.
(투자비용에 근거한 지속적인 성과측정을 통해 이미지와 브랜드를 끊임없는 쇄신하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다섯째, 내부고객을 위한 문화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개발해야만 한다.
(기업의 구성원들에게 문화적 혜택을 주는 문화마케팅 프로그램의 활용은 이를 매개로 직원과 고객의 벽을 허물고, 직원 복리후생을 강화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고객이란 임직원과 투자자 및 그들의 가족까지를 의미하며, 내부고객에 대한 투자는 결국 종업원 사기증진을 통해 기업매출의 증대로 이어지는 계기가 된다. )
여섯째, 기업은 문화예술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일회성, 단발성의 이벤트 프로그램은 투자 대비 효과를 거두기 힘든 것이 현실이며, 기업 이미지에 적합한 문화예술을 선별하여 적극적이고도 장기적인 문화마케팅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
참고자료
문화마케팅연구소
http://www.culturemkt.com/
에버랜드
http://www.everland.com/
포스코
http://www.posco.co.kr/
쌈지
http://www.ssamziemall.co.kr/
CJ기업
http://www.cj.net/
포항국제불빛축제
http://www.poscofs.com/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1.2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