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문제점

Ⅱ.도입배경

Ⅲ,개발방안

Ⅳ.결론

본문내용

, 적정수준의 냉장장비의 구비로 신선도 면에서도 훨씬 우수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전통시장 역시 이를 위한 공인된 위생지수를 점포별로 부여하고 고객으로 하여금 해당점포의 위생지수를 공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b. 기대효과 : 고객들에겐 알권리를 충족시킴 과 동시에 상인들에겐 점포별 위생상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c. 실현방안 : 시장 별 위생점담팀을 지정하여 점포 별 위생지수를 점검 하고 매달 우수 위생 점포선정을 통해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을 통한 더욱 신선하고 위생적인 서비스를 영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별도의 점수 평가항목들을 지정하여 일자별로 위생지수를 공개 할 수 있다.
기능6. 불만고충처리기능
a. 설명 : 고객의 소리 등을 통한 고객의 불만고충처리에 선도적인 대형마트에 비해 전통시장의 고객관리는 절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즉각적인 고객과의 피드백 과정 없이는 전통시장의 명맥을 이어나가기 힘들다. 일부 점포의 경우 전통시장만의 맛이라 하여 ‘욕쟁이 할머니’와 같은 친근감 있는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대사회의 대부분의 고객은 자신이 지불한 가격에 대한 서비스를 충분히 공급받길 원한다.
b. 기대효과 : 전통시장에 대한 충성고객들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 실현방안 : 별도의 게시판 형식의 기능을 배치하여 즉각적으로 고객들의 불만처리과정과 그에따른 피드백을 할 수 있다.
Ⅳ.결론
그 동안 인터넷 온라인과 홈쇼핑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온 대형마트와 SSM에 상권을 빼앗겨버린 전통시장은 점차 쇠퇴해왔다. 하지만 점차 모바일(Mobile)화 되어가는 새로운 시장구도에 있어 전통시장은 최대의 기회이자 위협에 노출되어있다. 아직은 초기시장인 모바일 시장에서 어떻게 혁신적으로 고객들에게 효과적 접근할 수 있는 지가 ‘제 2차 시장전쟁’의 승패를 좌우 할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다. 모바일과 스마트의 획기적인 도약을 전통시장은 좌시(坐視) 하고 있어서는 안된다.
전통시장 투어, 소식, 안내로 대변되는 현재의 전통시장 관련 앱 들만으로는 더 이상 발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들의 패턴에 순응 할 수 없다. 지속적인 앱의 관리와 능동적인 기능 및 성능 추가 그리고 홍보 등 총체적 수준의 앱 개발이 진행 될때 비로소 전통시장의 모바일화를 이룩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파악한 본 앱의 개발을 전통시장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2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