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덕에 영국은 대학입시에 실패의 경우가 드물고 재수도 흔하지 않다고 한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몇 년 전에 입시에서 외국어영역에 있어 시험을 두 번으로 늘려서 시행하겠다는 논의를 들은 기억이 떠올랐는데, 우리나라에선 어떤 목적으로 제안을 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영국의 사례를 알고 나니 외국어영역 뿐만 아니라 입시전체를 이런 식으로 바꿔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험생으로 3년을 살면서 주구장창 친구들과 하던 말은 바로 어떻게 한 사람의 능력을 단 하루 한 번의 시험으로 평가가 가능한 것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수능은 하루의 결과만으로 학생의 평생의 노력과 재능을 단정지어버린다는 매우 큰 단점이 있다. 이와 대비되는 영국의 단계적 체계를 보니 절충과 소통이 중간에 이루어지는 점, 첫 번째 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합격 기준이 정해진다는 점들이 우리나라의 결과만을 보여주는 수능에 비해 학생의 그간의 노력과 발전 정도 또한 고려되기 때문에 좋다고 생각했다.
계속 영국입시제도에서 본받았으면 하는 점들을 언급했지만 알아보니 영국의 입시제도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고 사회적 문젯거리들이 있었다. 어느 나라의 입시제도라고 완벽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무작정 다른 나라의 제도를 수용하거나하기보다는 이렇게 비교와 분석을 통해 비판과 수용하는 자세로 우리나라의 입시 제도를 발전시켜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5. 출처
인터넷 사이트: http://ukuhak.com/
http://ko.wikipedia.org/
논문 : 영국과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제도 비교연구 _ 김정빈
계속 영국입시제도에서 본받았으면 하는 점들을 언급했지만 알아보니 영국의 입시제도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고 사회적 문젯거리들이 있었다. 어느 나라의 입시제도라고 완벽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무작정 다른 나라의 제도를 수용하거나하기보다는 이렇게 비교와 분석을 통해 비판과 수용하는 자세로 우리나라의 입시 제도를 발전시켜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5. 출처
인터넷 사이트: http://ukuhak.com/
http://ko.wikipedia.org/
논문 : 영국과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제도 비교연구 _ 김정빈
추천자료
대학입시 제도개혁/입시/대학
독일과 한국 교육제도의 비교
대학입시 제도개혁
우리나라 교육입시제도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고찰
프랑스의 교육제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민주교육과 엘리트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일본의 입시제도와 고등교육. 개혁
독일과 프랑스의 법학교육제도
[대입자율화]대학입시자율화 논란과 쟁점 분석, 대입자율화의 찬성 및 반대 주장과 나의 견해...
[입학사정관제]입학사정관제의 개념 및 추진 배경과 현황 & 입학사정관제의 장단점 및 사...
대학입시 제도개혁
입시제도(학생선발)에 있어 논술시험의 정당성
우리나라의 대입제도에 대하여.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