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나는 누구인가

2. 나의 인간관계

3. 나의 인간관계 평가

본문내용

가 도를 지나쳐서 버릇없게 굴었던 일이었다. 이처럼, 선배들과의 관계에서 친해지기 위한 방식이 친구처럼 대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선배 입장에서는 자칫 예의 없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이 내 선후배관계에서 위험한 요소이다.
상사(선생님, 교수님 등)와의 관계에서 나는 성실한 아랫사람이다. 부모님께서는 특별히 교육에 관해서는 나에게 전형적인 한국식 사상을 가르치셨다. “스승은 곧 하늘이다”가 바로 그것이다. 부모님께서 몸소 실천하신 스승존경, 어른존경의 생활 모습은 그것을 보고 자란 나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다만 나의 경우 선생님과 어느 정도 친해지면 선배와의 관계와 비슷한 경향을 띄게 되는 점이 달랐다. 특히 고등학교 때에 여러 선생님들과 친했었는데 때때로 너무 친해서 버릇없게 굴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3. 나의 인간관계 평가
나는 나의 인간관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다. 특히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일말의 문제점도 없는 최상의 상태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말은 다른 인간관계에서는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도 된다. 여러 문제들이 있겠지만 학생으로서 내가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인간관계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생각한다. 적당한 인간관계는 정신에 휴식이 되어 학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인간관계에 열중하면 마약이 될 수도 있다.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서서 사람을 만나는 일에 정도 이상으로 열중하게 되고, 사람을 만나는 일에 빠져서 다른 일을 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저학년 때에 나는 사람 만나는 일에 중독되었었다. 학생으로서 해야 할 최소한의 공부도 하지 않으면서도 이성관계, 친구관계, 선후배관계 등 인간관계 전반의 발전을 위해서만 바쁘게 돌아다녔다. 하지만 Maslow의 욕구위계설 등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관계의 즐거움은 자아실현이나 자존감 보다 하위의 욕구이다. 이 말은 꼭 인간관계가 자아실현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자신의 몸과 정신을 채우는 활동은 팽개친 채, 타인과의 관계에만 열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해석이 더 맞을 것이다. 지적인 풍요와 인간관계의 풍요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내가 당면한 과제이다.
※ 참고 도서
권석만 -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정진선, 문미란 - 인간관계 심리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원호택 - 인간관계와 적응 : 삶을 위한 심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