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존, 공간, 건축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책 정리
1. 공간의 개념
2. 실존적 공간
3. 건축적 공간
■ 장 소 성
1. 장소의 개념
2. 건축적 장소와 구성요소
3. 건축공간과 장소성의 관계
4. 현대 도시에서의 장소성 상실
1. 공간의 개념
2. 실존적 공간
3. 건축적 공간
■ 장 소 성
1. 장소의 개념
2. 건축적 장소와 구성요소
3. 건축공간과 장소성의 관계
4. 현대 도시에서의 장소성 상실
본문내용
및 계획공간은 경험과 사고를 통합시켜 주는 과정임을 명시, 이는 공간체험의 과정이 지각과 함께 그 이상의 인지 활동을 반해야 함을 암시
4. 현대 도시에서의 장소성 상실
- 장소성을 이루기 위한 필요조건은 맥락의 유지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포스트 모더니즘을 거치면서 시간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점차 불가능
- 모더니즘은 무분별한 자원채굴과 매립에 의한 파괴, 전시의 무자비한 장소의 파괴, 이와 더불어 문화 및 자연환경과의 무관한 개별적인 건물들이 국제적 스타일의 설계와 건축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짧은 시간동안 공간적인 맥락의 파괴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 ‘매체 - Media'거 ’무장소성‘을 직, 간접적으로 조장 : 이 매체들은 장소들이 서로 비슷해 보이게 할 뿐 아니라 비슷한 느낌을 주며 똑같이 무감동한 경험을 하도록 장소의 정체성을 약화시켜 버린다.
- 매스컴, 대중문화, 대기업, 강력한 중앙 권력,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포괄하는 경제체제
- 장소성의 상실은 우리에게 안주해야 할 본연의 공간 부재를 낳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의 결여는 특적 없는 공간 속에서 비인간화라는 문제로 확장되어지게 됨으로써 다시금 장소성 회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4. 현대 도시에서의 장소성 상실
- 장소성을 이루기 위한 필요조건은 맥락의 유지가능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포스트 모더니즘을 거치면서 시간적, 공간적인 측면에서 점차 불가능
- 모더니즘은 무분별한 자원채굴과 매립에 의한 파괴, 전시의 무자비한 장소의 파괴, 이와 더불어 문화 및 자연환경과의 무관한 개별적인 건물들이 국제적 스타일의 설계와 건축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짧은 시간동안 공간적인 맥락의 파괴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 ‘매체 - Media'거 ’무장소성‘을 직, 간접적으로 조장 : 이 매체들은 장소들이 서로 비슷해 보이게 할 뿐 아니라 비슷한 느낌을 주며 똑같이 무감동한 경험을 하도록 장소의 정체성을 약화시켜 버린다.
- 매스컴, 대중문화, 대기업, 강력한 중앙 권력,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포괄하는 경제체제
- 장소성의 상실은 우리에게 안주해야 할 본연의 공간 부재를 낳았고, 장소에 대한 애착의 결여는 특적 없는 공간 속에서 비인간화라는 문제로 확장되어지게 됨으로써 다시금 장소성 회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