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의 기술자들이 사람 눈의 착시현상까지 계산하여 멀리서 바라보도록 설계, 축조한 것이라고 하며, 멀리서 보는 것을 위해서 그렇게 지은 것 이라고 한다.
종묘처럼 원래 가로로 긴 건물은 양끝의 지붕이 쳐지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착시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운데를 기준으로 점점 양쪽의 기둥의 길이를 길게 만들었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가로로 곧게 뻗은 듯이 보이게 된다.
현대 건축물은 정확한 틀에 맞춰져 건축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비해 파르테논신전과 종묘 같은 오래된 건축물이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지어 졌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이 시대 사람들이 그것을 건축에까지 적용하여 생각했다는 점이 어쩌면 지금보다도 뛰어나고 아름다운 건축기술을 지니고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 한다.
종묘와 파르테논 모두 그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파르테논 신전은 고대 서양에 있어서 건축된 당시의 종교적 열망이나 사회적 관습이 잘 표현되고 있고, 종묘 정전은 조선시대 사회가 유교적 예제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고, 건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 종묘라는 왕실의 최고 제사시설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잘 남아 있다.
종묘처럼 원래 가로로 긴 건물은 양끝의 지붕이 쳐지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착시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운데를 기준으로 점점 양쪽의 기둥의 길이를 길게 만들었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가로로 곧게 뻗은 듯이 보이게 된다.
현대 건축물은 정확한 틀에 맞춰져 건축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비해 파르테논신전과 종묘 같은 오래된 건축물이 착시효과를 이용하여 지어 졌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이 시대 사람들이 그것을 건축에까지 적용하여 생각했다는 점이 어쩌면 지금보다도 뛰어나고 아름다운 건축기술을 지니고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 한다.
종묘와 파르테논 모두 그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파르테논 신전은 고대 서양에 있어서 건축된 당시의 종교적 열망이나 사회적 관습이 잘 표현되고 있고, 종묘 정전은 조선시대 사회가 유교적 예제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고, 건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이 종묘라는 왕실의 최고 제사시설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잘 남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