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처리에 이용되는 미생물의 종류
1. 생물학적 처리
2. 활성슬러지법
2.1 활성 슬러지 법의 원리
2.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군
2.1.1 세균(Bacteria)
2.1.2 원생동물
2.1.3 후생동물
2.1.4 균류
3. 생물막법
3.1 생물막 법의 원리(살수 여상법)
3.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군
3.2.1 세균, 균류, 조류
3.2.2 원생동물
3.2.3 후생동물
4. 산화지법
4.1 산화지법의 원리
4.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
4.2.1. 세균, 조류
4.2.2. 원생동물, 후생동물
5. 혐기성처리
5.1 혐기성처리의 원리
5.2 정화에 관여하는 미생물군
5.2.1. 혐기성 가수분해세균
5.2.2. 휘발산 생성세균
5.3.3. 메탄생성세균
1. 생물학적 처리
2. 활성슬러지법
2.1 활성 슬러지 법의 원리
2.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군
2.1.1 세균(Bacteria)
2.1.2 원생동물
2.1.3 후생동물
2.1.4 균류
3. 생물막법
3.1 생물막 법의 원리(살수 여상법)
3.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군
3.2.1 세균, 균류, 조류
3.2.2 원생동물
3.2.3 후생동물
4. 산화지법
4.1 산화지법의 원리
4.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
4.2.1. 세균, 조류
4.2.2. 원생동물, 후생동물
5. 혐기성처리
5.1 혐기성처리의 원리
5.2 정화에 관여하는 미생물군
5.2.1. 혐기성 가수분해세균
5.2.2. 휘발산 생성세균
5.3.3. 메탄생성세균
본문내용
충류, 빈모류, 곤충류 등이 출현한다. 윤충류의 종류는 활성슬러지와 대개 같은 모양이고 우점종은 Philodina이다. 생물 막에 많은 선충은 Rhabditis, Pelodera, Butlerius 등이 있다.
4. 산화지법
4.1 산화지법의 원리
산화지법은 폐수를 연못에 체류시켜서 조류의 광합성에 의해서 발생한 산소와 공기중에서 용해된 산소에 의해서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고, 폐수 중의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처리법이다.
4.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
산화지에 있어서는 광합성에 의해서 발생한 산소를 세포의 호기성 대사에 이용하는 것으로 정화에 직접 관여하는 생물은 세균과 조류이다. 산화지에서의 세균과 조류는 공생관계이다. 즉, 세균은 조류가 생산한 산소에 의하여 유입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한다. 분해산물인 무기물이나 일부의 저분자의 유기물은, 조류의 영양원이 된다.
4.2.1. 세균, 조류
조류는 독립영양인 것이 많고, 어느 산화지에도 비교적 다량으로 출현하는 조류는 Chlorella, Scendesmus, Chlamydomonas, Euglena이다. 세균의 경우, 호기성을 유지하고 있는 산화지에는 Achromobacter,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llus 등이 우점적으로 되는 것이 많다.
4.2.2. 원생동물, 후생동물
산화지에도 원생동물은 확인된다. 식물성 편모충류는 Euglena를 중심으로 다수 출현한다. 또한 Bodo, Cercobodo, Oikomonas, Anthophysa 등의 동물성 편모충류도 부하가 높은 산화지에는 다량으로 출현한다. 후생동물로서의 윤충은 Bdelloidea에 속하는 것은 적고, Monogononta에 속하는 것이 많다. 즉, Brachionus, Keratella, Colurella, Lepadella 등이 있다.
5. 혐기성처리
5.1 혐기성처리의 원리
혐기성처리에는 소화법과 혐기성 라군법이 있다. 혐기성 라군법은 개방된 표면적이 작은 연못에 폐수를 흘리고, 유기물을 부패시키는 처리 방법이다. 혐기성소화법은 슬러지, 분뇨, 유기물농도가 현저하게 높은 폐수들을 소화조라고 부르는 밀폐된 탱크 속에 투입하고, 유기물을 가스에까지 분해하는 처리법이다.
5.2 정화에 관여하는 미생물군
5.2.1. 혐기성 가수분해세균
슬러지의 주성분은 지방, 단백질, 다당류이고 가수분해세균에 의해서 지방은 글리세린과 지방산, 단백질은 아미노산, 다당류는 단당류로 두 종류로 각각 변화한다. 분해세균으로는 Clostridium과 Bacteroides가 있다.
5.2.2. 휘발산 생성세균
소화조 중의 산생성균은 통성혐기성세균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한 통성혐기성세균은 Bacillus, Micrococcus, Pseudomonas 등이고, 대장균군은 본래 소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5.3.3. 메탄생성세균
메탄생성세균은 제 2단계의 종산물을 메탄으로 변화시킨다. 주요 메탄생성세균은 Methanobacterium ruminantium과 Methanosacina barkerii 등이 있다.
4. 산화지법
4.1 산화지법의 원리
산화지법은 폐수를 연못에 체류시켜서 조류의 광합성에 의해서 발생한 산소와 공기중에서 용해된 산소에 의해서 호기성 상태를 유지하고, 폐수 중의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처리법이다.
4.2 정화에 관여하는 생물
산화지에 있어서는 광합성에 의해서 발생한 산소를 세포의 호기성 대사에 이용하는 것으로 정화에 직접 관여하는 생물은 세균과 조류이다. 산화지에서의 세균과 조류는 공생관계이다. 즉, 세균은 조류가 생산한 산소에 의하여 유입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한다. 분해산물인 무기물이나 일부의 저분자의 유기물은, 조류의 영양원이 된다.
4.2.1. 세균, 조류
조류는 독립영양인 것이 많고, 어느 산화지에도 비교적 다량으로 출현하는 조류는 Chlorella, Scendesmus, Chlamydomonas, Euglena이다. 세균의 경우, 호기성을 유지하고 있는 산화지에는 Achromobacter,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llus 등이 우점적으로 되는 것이 많다.
4.2.2. 원생동물, 후생동물
산화지에도 원생동물은 확인된다. 식물성 편모충류는 Euglena를 중심으로 다수 출현한다. 또한 Bodo, Cercobodo, Oikomonas, Anthophysa 등의 동물성 편모충류도 부하가 높은 산화지에는 다량으로 출현한다. 후생동물로서의 윤충은 Bdelloidea에 속하는 것은 적고, Monogononta에 속하는 것이 많다. 즉, Brachionus, Keratella, Colurella, Lepadella 등이 있다.
5. 혐기성처리
5.1 혐기성처리의 원리
혐기성처리에는 소화법과 혐기성 라군법이 있다. 혐기성 라군법은 개방된 표면적이 작은 연못에 폐수를 흘리고, 유기물을 부패시키는 처리 방법이다. 혐기성소화법은 슬러지, 분뇨, 유기물농도가 현저하게 높은 폐수들을 소화조라고 부르는 밀폐된 탱크 속에 투입하고, 유기물을 가스에까지 분해하는 처리법이다.
5.2 정화에 관여하는 미생물군
5.2.1. 혐기성 가수분해세균
슬러지의 주성분은 지방, 단백질, 다당류이고 가수분해세균에 의해서 지방은 글리세린과 지방산, 단백질은 아미노산, 다당류는 단당류로 두 종류로 각각 변화한다. 분해세균으로는 Clostridium과 Bacteroides가 있다.
5.2.2. 휘발산 생성세균
소화조 중의 산생성균은 통성혐기성세균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한 통성혐기성세균은 Bacillus, Micrococcus, Pseudomonas 등이고, 대장균군은 본래 소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5.3.3. 메탄생성세균
메탄생성세균은 제 2단계의 종산물을 메탄으로 변화시킨다. 주요 메탄생성세균은 Methanobacterium ruminantium과 Methanosacina barkerii 등이 있다.
추천자료
중년기의 생물학적.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대하여...
알코올 중독-생물학적,심리학적,문화적,한국적원인,특징,치료
범죄심리학_생물학적인 요인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
생물학적 유형론과 성격의 5요인 모델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
심리과정의 생물학적 이해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
노화의 생물학적 영향
범죄의 생물학적 이론
정신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이러한 인간이해를...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을 통한 현대 청소년의 성문제의 원인 대책을 청소년지도자의 입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