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 2
II. 본론 ……………………………………………………………………………………… 2
1. 중화 적정 (Neutralization Titration) ………………………………………… 2
(1) 중화 ……………………………………………………………………………… 2
(2) 중화적정 ………………………………………………………………………… 3
(3) 당량 ……………………………………………………………………………… 3
1) 산의 그램 당량 ………………………………………………………………… 3
2) 염기 그램 당량 ………………………………………………………………… 3
3) 산-염기 중화적정 당량 ……………………………………………………… 3
(4) 산 (염기)와 지시약의 관계 : 중화적정 곡선 ……………………………… 3
1) 강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수산화나트륨 ………………… 3
2) 강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암모니아수 …………………… 4
3) 약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수산화나트륨 …………… 4
4) 약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암모니아수 ……………… 5
2. 일상생활의 중화 반응 ……………………………………………………………… 5
3. 실험 제목 : 중화 적정 ……………………………………………………………… 6
(1) 실험 목적 ………………………………………………………………………… 6
(2) 실험 시약 …………………………………………………………………………… 6
(3) 실험 도구 ………………………………………………………………………… 6
(4) 실험방법 …………………………………………………………………………… 7
1) N/10 Na2CO3 표준액 제조 …………………………………………………… 7
2) HCl의 적정 및 미지 용액의 농도 알기 ……………………………………… 7
(4) 실험 결과 …………………………………………………………………………… 8
(5) 실험 결과값 계산 ………………………………………………………………… 8
III. 결론 …………………………………………………………………………………… 9
* 참고 자료 …………………………………………………………………………………… 9
II. 본론 ……………………………………………………………………………………… 2
1. 중화 적정 (Neutralization Titration) ………………………………………… 2
(1) 중화 ……………………………………………………………………………… 2
(2) 중화적정 ………………………………………………………………………… 3
(3) 당량 ……………………………………………………………………………… 3
1) 산의 그램 당량 ………………………………………………………………… 3
2) 염기 그램 당량 ………………………………………………………………… 3
3) 산-염기 중화적정 당량 ……………………………………………………… 3
(4) 산 (염기)와 지시약의 관계 : 중화적정 곡선 ……………………………… 3
1) 강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수산화나트륨 ………………… 3
2) 강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암모니아수 …………………… 4
3) 약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수산화나트륨 …………… 4
4) 약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암모니아수 ……………… 5
2. 일상생활의 중화 반응 ……………………………………………………………… 5
3. 실험 제목 : 중화 적정 ……………………………………………………………… 6
(1) 실험 목적 ………………………………………………………………………… 6
(2) 실험 시약 …………………………………………………………………………… 6
(3) 실험 도구 ………………………………………………………………………… 6
(4) 실험방법 …………………………………………………………………………… 7
1) N/10 Na2CO3 표준액 제조 …………………………………………………… 7
2) HCl의 적정 및 미지 용액의 농도 알기 ……………………………………… 7
(4) 실험 결과 …………………………………………………………………………… 8
(5) 실험 결과값 계산 ………………………………………………………………… 8
III. 결론 …………………………………………………………………………………… 9
* 참고 자료 …………………………………………………………………………………… 9
본문내용
중화적정 곡선
1) 강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수산화나트륨
중화점은 pH가 7 근처이고, 지시약으로는 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메틸 오렌지와 염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페놀프탈레인을 모두 쓸 수 있다. 지시약을 쓸 수 있는 pH 범위는 pH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에 지시약의 변색 범위가 들어 있으면 된다
2) 강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암모니아수
중화점은 pH가 7보다 작은 산성 영역에 있으며, 지시약으로는 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메틸 오렌지가 적당하다.
(3) 약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수산화나트륨
중화점은 pH가 7보다 큰 염기성 영역에 있으며, 지시약으로는 염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페놀프탈레인이 적당하다.
(4) 약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암모니아수
중화점은 pH 7 근처이겠지만 중화점을 전후하여 pH가 완만하게 변하므로 지시약은 사용할 수가 없다. 지시약을 사용하려면 pH가 급격하게 변해야만 한다.
2. 일상생활의 중화 반응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레몬즙을 뿌리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 다른 사례로는 생선 비린내의 주성분은 트리메틸아민이라는 염기성 물질이므로 산성인 레몬을 뿌려 중화시킨다. 벌에 쏘이거나 벌레에 물렸을 때 암모니아수를 바른다거나, 산성화된 호수나 토양에 석회 가루(주성분이 CaO)를 뿌려 중화시킨다. 위액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면 제산제(주성분이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등 염기성 물질)를 먹어 위산을 중화시킨다. 비누로 머리를 감아 머리카락이 뻣뻣할 때에는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린 물에 머리를 헹군다. 신 김치에 달걀 껍데기(주성분이 탄산칼슘)를 넣어 주면 덜 시다.
3. 실험 제목 : 중화 적정
(1) 실험 목적
* 농도의 계념과 계산 방법을 정확히 안다.
* 표준용액을 조제한다.
* 중화적정에 대해 알아본다.
* 농도를 모르는 미지의 용액을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미지의 용액 농도를 안다.
(2) 실험 시약
* Na2CO3
* HCl
* C14H14N3NaO3
(3) 실험 도구
-피펫 : 정확한 부피의 용액을 옮길 때 사용한다.
-뷰렛 : 중화점까지 필요한 표준 용액의 부피를 구할 때 사용한다.
-부피 플라스크 : 정확한 농도의 표준 용액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삼각 플라스크 : 농도를 모르는 용액을 넣은 후 뷰렛으로부터 가해지는 용액을 받아서 반응시키는 용기로 사용한다.
(4) 실험방법
1) N/10 Na2CO3 표준액 제조
Na2CO3 5g 260~300℃에서 약 30분간 가열 후 방냉
↓
건조된 Na2CO3 2.6~2.7g 정확히 칭량
↓
100㎖ 비커에 내용물을 옮겨 용해시킨 후 500㎖ 메스플라스크에 옮기고 표선까지 채움
↓
잘 흔들어 섞어줌
↓
f 값을 구하고 메스플라스크에 라벨을 붙임
※ 라벨의 형식
N/10 Na2CO3
f = 1.021
년 월 일
목요일 오전 1조
2) HCl의 적정 및 미지 용액의 농도 알기
N/10 Na2CO3 표준액을 정확히 25㎖ 취해 코니칼비커에 옮김
↓
메틸오렌지(지시약) 2~3방울
↓
농도를 모르는 HCl 용액으로 적정
↓
용액의 색이 노란색 →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 확인
↓
3회 이상 반복한 후 HCl의 노르말 농도 계산
(4) 실험 결과
① Na2CO3 용액의 노르말농도 계산
② N/10 Na2CO3 표준액의 f 값 계산
③ HCl 용액의 농도 계산
(5) 실험 결과 계산
중화 적정에서 산, 염기의 농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 M V = b M' V'
( a : 산의 가수 M : 산의 농도 V : 산의부피
b : 염기의 가수 M' : 염기의 농도 V' : 염기의 부피)
계산 사례:
삼각 플라스크에 농도를 모르는 염산 25ml를 넣고 페놀프탈레인 수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다. 여기에 뷰렛을 이용하여 0.1M NaOH 표준 용액을 25ml 넣었을 때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하였다. 염산의 농도는?
☞ 1×25×M = 1×25×0.1 ∴M(염산의 농도) = 0.1M(몰농도)
III. 결론
중화적정 실험을 통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또는 염기) 용액에 농도를 정확히 아는 염기(또는 산)의 용액를 가하여 중화점까지 넣어준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 참고 자료
박면용, 『기기분석의 원리와 응용』, 녹문당, 2000.
김학주, 『기기분석』, 동화기술, 2000.
신세건, 『기기분석 화학』, 형설출판사, 2000.
김승재, 서성규, 『기기분석』, 동화기술, 2000
1) 강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수산화나트륨
중화점은 pH가 7 근처이고, 지시약으로는 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메틸 오렌지와 염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페놀프탈레인을 모두 쓸 수 있다. 지시약을 쓸 수 있는 pH 범위는 pH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에 지시약의 변색 범위가 들어 있으면 된다
2) 강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염산 + 암모니아수
중화점은 pH가 7보다 작은 산성 영역에 있으며, 지시약으로는 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메틸 오렌지가 적당하다.
(3) 약산을 강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수산화나트륨
중화점은 pH가 7보다 큰 염기성 영역에 있으며, 지시약으로는 염기성 영역에서 변색하는 페놀프탈레인이 적당하다.
(4) 약산을 약염기로 중화하는 경우-아세트산 + 암모니아수
중화점은 pH 7 근처이겠지만 중화점을 전후하여 pH가 완만하게 변하므로 지시약은 사용할 수가 없다. 지시약을 사용하려면 pH가 급격하게 변해야만 한다.
2. 일상생활의 중화 반응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레몬즙을 뿌리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 다른 사례로는 생선 비린내의 주성분은 트리메틸아민이라는 염기성 물질이므로 산성인 레몬을 뿌려 중화시킨다. 벌에 쏘이거나 벌레에 물렸을 때 암모니아수를 바른다거나, 산성화된 호수나 토양에 석회 가루(주성분이 CaO)를 뿌려 중화시킨다. 위액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면 제산제(주성분이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등 염기성 물질)를 먹어 위산을 중화시킨다. 비누로 머리를 감아 머리카락이 뻣뻣할 때에는 식초를 몇 방울 떨어뜨린 물에 머리를 헹군다. 신 김치에 달걀 껍데기(주성분이 탄산칼슘)를 넣어 주면 덜 시다.
3. 실험 제목 : 중화 적정
(1) 실험 목적
* 농도의 계념과 계산 방법을 정확히 안다.
* 표준용액을 조제한다.
* 중화적정에 대해 알아본다.
* 농도를 모르는 미지의 용액을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미지의 용액 농도를 안다.
(2) 실험 시약
* Na2CO3
* HCl
* C14H14N3NaO3
(3) 실험 도구
-피펫 : 정확한 부피의 용액을 옮길 때 사용한다.
-뷰렛 : 중화점까지 필요한 표준 용액의 부피를 구할 때 사용한다.
-부피 플라스크 : 정확한 농도의 표준 용액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삼각 플라스크 : 농도를 모르는 용액을 넣은 후 뷰렛으로부터 가해지는 용액을 받아서 반응시키는 용기로 사용한다.
(4) 실험방법
1) N/10 Na2CO3 표준액 제조
Na2CO3 5g 260~300℃에서 약 30분간 가열 후 방냉
↓
건조된 Na2CO3 2.6~2.7g 정확히 칭량
↓
100㎖ 비커에 내용물을 옮겨 용해시킨 후 500㎖ 메스플라스크에 옮기고 표선까지 채움
↓
잘 흔들어 섞어줌
↓
f 값을 구하고 메스플라스크에 라벨을 붙임
※ 라벨의 형식
N/10 Na2CO3
f = 1.021
년 월 일
목요일 오전 1조
2) HCl의 적정 및 미지 용액의 농도 알기
N/10 Na2CO3 표준액을 정확히 25㎖ 취해 코니칼비커에 옮김
↓
메틸오렌지(지시약) 2~3방울
↓
농도를 모르는 HCl 용액으로 적정
↓
용액의 색이 노란색 →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 확인
↓
3회 이상 반복한 후 HCl의 노르말 농도 계산
(4) 실험 결과
① Na2CO3 용액의 노르말농도 계산
② N/10 Na2CO3 표준액의 f 값 계산
③ HCl 용액의 농도 계산
(5) 실험 결과 계산
중화 적정에서 산, 염기의 농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a M V = b M' V'
( a : 산의 가수 M : 산의 농도 V : 산의부피
b : 염기의 가수 M' : 염기의 농도 V' : 염기의 부피)
계산 사례:
삼각 플라스크에 농도를 모르는 염산 25ml를 넣고 페놀프탈레인 수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다. 여기에 뷰렛을 이용하여 0.1M NaOH 표준 용액을 25ml 넣었을 때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하였다. 염산의 농도는?
☞ 1×25×M = 1×25×0.1 ∴M(염산의 농도) = 0.1M(몰농도)
III. 결론
중화적정 실험을 통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또는 염기) 용액에 농도를 정확히 아는 염기(또는 산)의 용액를 가하여 중화점까지 넣어준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 참고 자료
박면용, 『기기분석의 원리와 응용』, 녹문당, 2000.
김학주, 『기기분석』, 동화기술, 2000.
신세건, 『기기분석 화학』, 형설출판사, 2000.
김승재, 서성규, 『기기분석』, 동화기술, 2000
추천자료
70년대 중화학 공업정책에 관한 자료 찾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10.5계획 요강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 실험
중화효소 연쇄반응
NaOH 적정
여러가지 적정법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경제와사회발전 11차 5개년 계획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산 염기 적정반응
산염기의 적정 예비보고서
1960~70년대 한국의 산업정책, 문제점, 산업정책, 부실기업 사례, 인천제철 사례, 중화학 공...
[A+] 우리나라의 시절식 24절기 시절식종류 시절식 풍습 대한민국 시절식 음식문화 시...
문학대중화론
황산암모늄 - 암모니아 정량 실험 : 황산암모늄과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 표준액을 가해서 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