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경영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중공업 경영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회사를 선택한 이유, 주요 성과 및 전략
󰊲 산업구조 분석
󰊳 핵심역량 분석 : 경쟁력의 원천
󰊴 다각화 전략의 분석
󰊵 지속가능전략 분석

본문내용

회사를 선택한 이유, 주요 성과 및 전략
1. 현대중공업을 선택한 이유
제가 현대중공업을 선택한 이유는 21세기 각광 받고 있는 IT 첨단산업 기업의 시대로 산업구조가 변해가고 있는데 비해 이제는 사라지고 없는듯한 기름냄새, 낡은 작업화로 기억되고 있는 중공업이 과거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때 과거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의 원동력이자 현재도 기반산업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다시금 되새기고자 하여 우리나라 중공업의 선두주자이자 기적을 현실로 이루어낸 현대중공업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중공업
1) 현대중공업의 사업영역
> 주요 사업은 조선·해양·플랜트·엔진기계·전기전자시스템·건설장비·정보
> 선박건조 370만G/T, 선박 및 내연발전용 중·대형 엔진 670만 마력의 연간 생산능력을 갖췄다
2) 기업연혁, 성장과정
> 현대중공업의 모태는 1970년 현대건설 내부에 만들어진 조선사업부다.
> 조선사업부는 1971년 9월 영국 조선회사였던 A&P 애플도어(A&P Appledore)사 및 스코트리스고우 조선소와 기술, 판매 협약을 체결했다.
> 이 해 12월 정부로부터 현대울산조선소 사업계획을 승인 받았다.
> 1972년 2월 그리스 리바노스(Livanos)사에 26만 톤 급 원유운반선 2척을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
> 1973년 12월 현대건설로부터 분사해 현대조선중공업(주)이 세워졌다. 초대 대표이사는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 명예회장.
> 1974년에 조선소가 준공됐다.
> 현대중공업은 1975년 4월 현대미포조선소를 세웠다.
> 1976년 정부로부터 엔진사업을 승인 받은 뒤 그 해 7월 엔진사업부를 출범
> 1978년 사명을 현대중공업(주)으로 바꾼 뒤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 1982년 5월 정주영 회장의 6남인 정몽준 씨가 제 4대 사장으로 취임
> 현대중공업은 1981년 현대특수화학, 1985년 현대해양개발, 1986년 현대종합제철, 1989년 현대엔진공업, 1993년 현대철탑산업 현대로보트산업 현대중전기를 각각 합병했다.
> 주식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것은 1999년 8월이다.
> 2002년 7월 중공업/조선업분야 기업이미지 2년연속 1위.
> 2004년 4월 세계최대 106.3톤 프로펠라 제작, 11월 세계최대 전자제어 엔진 제작했다.
> 2007년 1월 충북음성 태양광설비 공장 건설, 7월 세계최초 초대형 LPG운반선 육상건조 성공, 11월 국내최초 친환경 하이브리드 기술 상용화했다.
> 2009년 9월 국내 첫 하이브리드 경비함(태평양9호) 건조했다.
> 2012년 2월 선박용 대형엔진 생산누계 4천대 돌파, 5월 세계 최고 효율 SE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주요성과 및 전략
1. 주요성과
1) 사상 최고 시황의 최대 수혜기업
현대중공업은 명실공히 세계 최대 조선업체이며, 세계 최고 수준의 중공업 업체로 조선 호황에서 최대의 수혜가 예상되었었다. 조선부문은 10도크 증설에 따른 물량까지 감안하면 사상최대 수주와 엔진공장 증설 효과 등을 감안하면 장기 성장 추세는 지속될 전망과 함께 고유가로 해양플랜트와 발전설비 부문 역시 고성장 추세가 유지될 것을 기대했고 큰 성장이 기대된다.
2) 엔진부문 수익성 최고수준 예상
현대중공업은 조선부문에서 일감이 본격 건조되어 수익성이 최고에 이를 전망이며, 엔진부문 역시 단가상승과 매출증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 되었다. 해양, 플랜트, 발전설비 등의 성장도 지속되어 이익의 안정성도 상대적으로 돋보여 향후 이익증가 폭으로는 최고수준을 기록할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현대 중공업은 겉으로 보이는 계약뿐만 아니라 이익부분에서도 시장 내에서 선두의 자리를 지켜가고 있다.
4) 10도크와 엔진공장 증설로, 장기 성장성과 이익구조의 안정성 돋보이는 기업
현대중공업은 세계 최대 조선업체이면서, 세계 최대 엔진업체이고, 최대 중공업업체이다. 조선부문은 2005년 1분기 이 후 수주한 고가의 수주물량이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건조되어 이에 따라 2008년에는 건조단가의 상승 추세와 생산물량 증가가 이어져, 매출액 증가율과 이익률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또 2009년부터는 10도크 증설 등 생선설비 확대로 생산물량 증가가 이어져 실적개선 추세가 확대
  • 가격2,8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12.1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5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