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상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헨리상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1. 소개
1-2. 이론
1-2-1. 헨리의 법칙
1-2-2. KHP
1-2-3. 일차표준물질
1-2-4. NaOH

2. Material/ Method
2-1. Material
1) 드라이아이스(Dry ice)
2)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2-2. Method

3. Results
3-1. NaOH용액의 표준화
3-2.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3-3. 오차

4. Discussion
4-1. 오차의 원인
1) NaOH 표준화시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
2) H2CO3를 적정할 때,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
2)-1. 온도의 변화
2)-2. 압력의 변화
2)-3. 벽면에 서리는 수증기
3) P=1atm으로 가정했을 때의 오차

4-2. 실험에 대한 해석과 의의

본문내용

들어가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 오차의 요인을 막을 수 없다. 그래서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바이알의 뚜껑을 고무로 만들어 작은 구멍을 뚫고 그 구멍으로 뷰렛의 입구가 들어가게 해서 압력의 변화 없이 적정을 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가 없이는 무조건 실험을 신속하고 간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다.
2)-3. 벽면에 서리는 수증기
혼합기체 속에는 수증기도 포함되어있다.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생기는 흰색 기체는 사실 기체가 아니라 수증기가 액화 되거나 응결된 것이다. 만약 뚜껑을 너무 빨리 닫는다면 이런 수증기가 용기 벽면에 서리게 되는데, 이는 탄산수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흰색 연기가 다 빠져나간 뒤에 뚜껑을 막도록 한다. 어차피 넣어준 드라이아이스가 과량이므로 문제가 없다.
3) P=1atm으로 가정했을 때의 오차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1atm으로 가정하고 헨리상수를 구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엄밀히 말해 틀렸다. 앞의 \"2)-2.\"에서도 언급했듯이, 압력은 이 실험에서 가장 큰 오차를 생기게 하는 부분이다. 적정도중 확산에 의해 빠져나가는 CO2기체 분자에 의해 용기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1atm보다 작다. KH=M/P에서 P에 실제 분압보다 더 큰 값을 대입하게 되므로 실제 헨리상수보다 실험을 통해 계산한 값이 더 작아지게 된다.
4-2. 실험에 대한 해석과 의의
Ka1,Ka2
H2CO3 적정곡선
The Measurement of pH - Defini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머크인덱스 p1300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12.1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5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