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의 이해] 한국 전쟁과 시각매체 - 선전물로서의 시각 매체.pp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현대사의 이해] 한국 전쟁과 시각매체 - 선전물로서의 시각 매체.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시각매체에서의 보수와 진보의 공방전
√ 기존연구의 한계점과 연구 방향 제시
√ 한국전쟁에서 미국과 UN의 선전
√ 중립성에 대한 검토수립

〓〓〓〓〓〓〓〓〓〓〓〓〓〓〓〓〓〓〓〓〓〓〓〓〓〓〓〓〓〓〓〓〓〓〓〓〓〓〓〓〓〓〓〓〓〓〓〓〓〓〓

한국전쟁에 대한 개괄적 사실을 살펴봤으니, 본 주제로 다시 돌아와보겠습니다. 제 주제에 대한 목차를 다음과 같이 구성해봤습니다. 먼저 시각 매체에서의 보수와 진보 측의 공방전을 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제 연구에 기준을 두었다고 가정할 때에 기존 연구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지 못했던 연구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고, 저희 지향점을 찾아보겠습니다. 본론으로 한국전쟁에서 미국과 UN의 선전물로 이용되었던 삐라와 사진과 같은 선전물을 주 Topic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중립적 태도를 가져야 된다는 결론도출로 이어나가겠습니다.

본문내용

2012년 1학기 한국근현대사의 이해

한국 전쟁과 시각매체

- 선전물로서의 시각 매체

〓〓〓〓〓〓〓〓〓〓〓〓〓〓〓〓〓〓〓〓〓〓〓〓〓〓〓〓〓〓〓〓〓〓〓〓〓〓〓〓〓〓〓〓〓〓〓〓〓〓〓

안녕하십니까? 08학번 물류학과 정의영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번 발표의 큰 틀을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당시 선전물로 사용되었던 삐라, 사진, 전쟁 후 그림 등의 시각매체가 한국전쟁 당시에 살았던 우리 기성세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그리고 내가 그 상황이라면 어떻게 생각했을지에 대해 의문을 가져보면서 이 주제에 대해 조사를 해봤습니다.
우선, 시각매체가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전에, 한국전쟁에 대한 개략적 설명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6.25 War (1950~1953)

Before the event

【냉전의 시작】

• 신탁통치로 인한 이념대립
• 미소공위결렬
• 정읍단독발언
• 좌우합작운동 실패
• 남북협상 실패
• 좌파 매도 격화

During the event

【대한민국 내의 이념대립】

• 남한(미국, UN)
 ▶자유진영

• 북한(소련, 중공군)
 ▶공산진영

After the event

【분단(~현재)】

• 남북한의 분단
• 이념 대립격화(2012,현재 이념적 대립 완화)
• 이산가족 발생
• 외세의 개입 심화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12.1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265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