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뇌신경 검사
2)신경학적 병력, 신체 검사, 활력징후
3) 의식
4) 동공
5) 운동기능 검사
6) 감각 기능 검사
2)신경학적 병력, 신체 검사, 활력징후
3) 의식
4) 동공
5) 운동기능 검사
6) 감각 기능 검사
본문내용
대사성 혼수
- Honers Syndrome
대광반응이 한쪽이 다른쪽 보다 작고, 동측 안검 하수, 동측 땀분비 결여, 시상 하부의 손상
- Midbrain Damage
양측눈이 midposition에서 고정되어 있음, 교감 부교감 신경 지배의 장애
- pontine Damage
매우작고 반응 없음 (호흡장애 나타날 수 있다), 마약 남용
- Dilated Unreactive pupils
산동된채 반응 없음, 심한 저산소증, 허혈의 말기, 사망, stropine 계통의 약물이 산동을 초래 한다.
5) 운동기능 검사
운동기능의 사정은 근골격계 검진시에 행해지는 측정법과 비슷하며 근육의 힘, 긴장, 근육의 위축 등이 포함 된다.
(1) 근긴장의 확인
근육을 집어보거나, 관정 운동을 시키거나 사지를 들었다 내림으로써 근육 긴장도를 검사 한다. 정상적으로 근육은 단단하다.
- rigidity: 상위 운동신경원의 장애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flaccidity: 하위운동 신경원의 장애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근육이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hemiplegia: 편측 마비는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근력 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중 한쪽에서만 일어나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팔과 왼쪽 다리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나 양측 하지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편측 마비라고 부르지 않는다.
- hemiparesis: 반신 부전, 반신만을 침범하는 가벼운 마비를 말한다.
(2) 근육의 힘
대상자에게 근육 수축을 하게 하고 관절을 움직여 수의적 운동을 하게 한다. 그리고 대상장의 움직임에 저항을 준다.
근육 강도를 grade 0에서 graid 5까지로 표시해 둔다.
Grade 0 : 전혀 움직이지 못함
Grade 1 : 근육 수축만 있고 관절 운동 못함
Grade 2 : 관절 운동은 가능하나 검사자의 가벼운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3 : 수의적 운동은 가능하나 검사자의 가벼운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4 : 완전한 관절 운동은 하나 감사자의 강한 반대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5 : 정상
6) 감각 기능 검사
감각기능 상실은 후주나 피질의 감각 영역의 병변을 나타내므로 감각 상실의 양상은 진단 설정에 유효 하다. 감각결손은 대부분 말초신경 질환에서 비롯되므로 말초 신경의 분포 유형을 알아야 한다. 피부의 척추 신경 분포에서 대표적인 피부영역을 알아야 한다.
하악의 일부는 C2, 목앞부분은 C3, 목뒷부분은 C4, 쇄골은 T2, 유두 T4, 배꼽 T10, 서혜부 L1, 음부와 엉덩이 S3-5, 무릎은 L3-4, 손은 엄지손가락부터 C6,67,8 T1 엄지발가락부터 S5, S1 이다
7) 소뇌 기능 검사
(1) 통합 능력
- finger to nose test
대상자는 눈을 감고 팔을 어깨 높이로 들어 한 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코와 반대쪽 손가락을 교대로 접촉 하고 사정한다. 운동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지 사정한다.
- finger to finger test
대상자는 눈을 감고 팔을 어깨 높이로 들고 둘째 손가락끼리 맞춘다
- nose to examiner's test
대상자와 간호사는 45cm 정도 떨어져 앉아서 검지손가락을 맞춘다.
- rapid rhythmic alternating movement (RAM)
대상자는 앉아서 손을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손을 앞뒤로 빠르게 돌려보게 하야 양손의 속도가 정확한지 사정한다.
- finger th thumb test
대상자는 한쪽손의 엄지손가락을 각 손가락과 가능한 빠른 속도로 접촉 시킨다.
- heel to shin test
대상자는 누워서 한 발의 뒤꿈치를 반대쪽 무릎위에 놓은뒤 다리의 경골전면 을 따라 쭉 내려가도록 지시한다. 이때 진전이나 서투른 움직임의 유무를 관찰 한다.
2)균형 검사
-romberg test
대상자는 양발을 모으고 눈을 뜨거나 감고서 반듯이 서 있도록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 곁에 서서 몸의 흔들림을 관찰하여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heel to toe test
일직선을 그어 놓고 대사자는 발뒤꿈치와 발가락이 서로 닿도록 하면서 일직선을 따라 걷게 한다. 이때 눈을 감았다 떴다를 되풀이 한다.
참고 문헌
신경외과학 - 대한 신경외과 학회 2010
성인간호학 -현문사 전시자외 2010
뇌졸중 환자 간호 -대한간호 협회 2004
기본간호학-현문사 2005
- Honers Syndrome
대광반응이 한쪽이 다른쪽 보다 작고, 동측 안검 하수, 동측 땀분비 결여, 시상 하부의 손상
- Midbrain Damage
양측눈이 midposition에서 고정되어 있음, 교감 부교감 신경 지배의 장애
- pontine Damage
매우작고 반응 없음 (호흡장애 나타날 수 있다), 마약 남용
- Dilated Unreactive pupils
산동된채 반응 없음, 심한 저산소증, 허혈의 말기, 사망, stropine 계통의 약물이 산동을 초래 한다.
5) 운동기능 검사
운동기능의 사정은 근골격계 검진시에 행해지는 측정법과 비슷하며 근육의 힘, 긴장, 근육의 위축 등이 포함 된다.
(1) 근긴장의 확인
근육을 집어보거나, 관정 운동을 시키거나 사지를 들었다 내림으로써 근육 긴장도를 검사 한다. 정상적으로 근육은 단단하다.
- rigidity: 상위 운동신경원의 장애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flaccidity: 하위운동 신경원의 장애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근육이 이완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 hemiplegia: 편측 마비는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의 근력 저하가 나타난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근력 저하는 좌측이나 우측 중 한쪽에서만 일어나야 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 팔과 왼쪽 다리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나 양측 하지의 근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편측 마비라고 부르지 않는다.
- hemiparesis: 반신 부전, 반신만을 침범하는 가벼운 마비를 말한다.
(2) 근육의 힘
대상자에게 근육 수축을 하게 하고 관절을 움직여 수의적 운동을 하게 한다. 그리고 대상장의 움직임에 저항을 준다.
근육 강도를 grade 0에서 graid 5까지로 표시해 둔다.
Grade 0 : 전혀 움직이지 못함
Grade 1 : 근육 수축만 있고 관절 운동 못함
Grade 2 : 관절 운동은 가능하나 검사자의 가벼운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3 : 수의적 운동은 가능하나 검사자의 가벼운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4 : 완전한 관절 운동은 하나 감사자의 강한 반대 저항을 이기지 못함
Grade 5 : 정상
6) 감각 기능 검사
감각기능 상실은 후주나 피질의 감각 영역의 병변을 나타내므로 감각 상실의 양상은 진단 설정에 유효 하다. 감각결손은 대부분 말초신경 질환에서 비롯되므로 말초 신경의 분포 유형을 알아야 한다. 피부의 척추 신경 분포에서 대표적인 피부영역을 알아야 한다.
하악의 일부는 C2, 목앞부분은 C3, 목뒷부분은 C4, 쇄골은 T2, 유두 T4, 배꼽 T10, 서혜부 L1, 음부와 엉덩이 S3-5, 무릎은 L3-4, 손은 엄지손가락부터 C6,67,8 T1 엄지발가락부터 S5, S1 이다
7) 소뇌 기능 검사
(1) 통합 능력
- finger to nose test
대상자는 눈을 감고 팔을 어깨 높이로 들어 한 손의 검지 손가락으로 코와 반대쪽 손가락을 교대로 접촉 하고 사정한다. 운동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지 사정한다.
- finger to finger test
대상자는 눈을 감고 팔을 어깨 높이로 들고 둘째 손가락끼리 맞춘다
- nose to examiner's test
대상자와 간호사는 45cm 정도 떨어져 앉아서 검지손가락을 맞춘다.
- rapid rhythmic alternating movement (RAM)
대상자는 앉아서 손을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손을 앞뒤로 빠르게 돌려보게 하야 양손의 속도가 정확한지 사정한다.
- finger th thumb test
대상자는 한쪽손의 엄지손가락을 각 손가락과 가능한 빠른 속도로 접촉 시킨다.
- heel to shin test
대상자는 누워서 한 발의 뒤꿈치를 반대쪽 무릎위에 놓은뒤 다리의 경골전면 을 따라 쭉 내려가도록 지시한다. 이때 진전이나 서투른 움직임의 유무를 관찰 한다.
2)균형 검사
-romberg test
대상자는 양발을 모으고 눈을 뜨거나 감고서 반듯이 서 있도록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 곁에 서서 몸의 흔들림을 관찰하여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heel to toe test
일직선을 그어 놓고 대사자는 발뒤꿈치와 발가락이 서로 닿도록 하면서 일직선을 따라 걷게 한다. 이때 눈을 감았다 떴다를 되풀이 한다.
참고 문헌
신경외과학 - 대한 신경외과 학회 2010
성인간호학 -현문사 전시자외 2010
뇌졸중 환자 간호 -대한간호 협회 2004
기본간호학-현문사 2005
추천자료
[특수교육]감각장애아(청각및시각장애)의 이해와 교육적 방법
신경학적 사정
[성병][피임][피임법]성병(날로 심각해지는 성병), 피임의 방법(콘돔, 페미돔, 살정자제, 자...
[실어증][실어증 원인][실어증 정의][실어증 유형][실어증 검사방법][실어증 증상][실어증 재...
[지적장애][지적장애아]정신지체(정신지체아)의 정의, 정신지체(정신지체아)의 원인, 정신지...
[AIDS][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의 개념, 감염경로, AIDS(에이즈)의 감염결과...
혈액의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과 진단
학교사회사업의 사정 방법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사례관리의 핵심적 ...
사회복지에서의 사례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서술하고, 사례관리의 핵심적 기능 중 사례관리...
[성행동, 성기능, 성장애] 성기능 장애의 개념(정의)과 종류(유형), 성기능장애(성적장애) 원...
[치매치료] 치매의 일반적 치료지침(치료방법), 인지기능 증상에 대한 치료, 비인지기능 증상...
뇌의 이상요인(뇌의 구조적 이상,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기능적 이상, 심경심리검사에서 나타...
[성인기 지적발달] 성인기 지능검사의 종류(유동성 지능검사와 결정성 지능검사, 속도검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