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리의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풍수의 시각에서 본 우리의 거주 공간의 문제점과 대안
3. 풍수가 마을 형성에 끼친 영향과 문화적 측면에서의 가치
4. 생태 / 환경적 측면에서의 풍수지리의 역할
5. 결론

본문내용

도로를 개설하거나 터널을 만드는 등의 토목사업을 진행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산과 강이 많으며 배산임수와 같은 풍수적 입지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많은 도시의 발전과 문화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생태 환경적인 측면에서 풍수지리를 적용하여 기능적인 목적을 위주로 하는 토목사업이 아니라 자연을 유기적인 관계를 파악한 후 최대한 환경의 파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5. 결론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풍수(風嗽)란 말 그대로 바람과 물을 얻는 방법으로 인간과 자연은 결코 분리할 수 없으며 상호보완 해야 하는 존재다.
풍수의 시각에서 이 시대의 공간을 살펴보면 우리는 도시나, 마을, 주거 등의 공간을 만들 때 인문사회적인 환경요인을 우선시해서 공간을 조성했지만 이는 도시의 거대화, 똑같은 주거공간의 양산 등의 문제를 만들었다. 그러므로 풍수의 시각 대안을 고려해보면 인문사회적 환경요인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공간을 조성하면 도시의 과밀화나 천편일률적인 주거공간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에서도 새집증후군 같은 부적합한 실내 환경도 사전에 철저히 계획하고 자연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풍수는 마을의 입지선정과 같은 터잡기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를 위한 정신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겐 더욱더 필요한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규모의 토목사업을 진행해야 할 때에도 풍수적 입장을 고려해 최대한 자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면 이는 곧 우리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풍수는 이 시대에 다시금 재조명을 받고 있다. 물론 풍수가 지금 시대에 모두 적합한 것은 아니다. 풍수는 예로부터 우리의 장묘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쳐 살아 계실 때의 효보다는 돌아가시고 난 뒤의 분묘나 영혼에서 발복론 풍수를 숭배하고 있다는 점, 좁은 국토로 볼 때 장묘문화를 지속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점 등은 우리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점 외엔 풍수를 우리가 미신으로 치부해 버려야 것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현대의 실정에 맞게 재조명해 인간과 자연과의 가치관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風水思想으로 照明해 본 韓國人의 自然觀, 박학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학술논문
2.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친화성, 김병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새집증후군의 실태와 대처방안, 정두용 외1,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4.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1 재구성, 김봉렬, 돌베개
5. 철학으로 읽는 옛집, 함성호, 열림원
6 문화재수리보고서, 문화재정
7. 한국인의 전통사상, 차용준, 전주대학교 출판부
8. 한국장묘문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욱, 초당대 석사학위논문
9. 한국장묘문화의 발전방향에 관한 문제, 최승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풍수사상에 함의된 환경윤리, 정수희, 경인교대 석사학위논문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2.24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