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르트의 선교신학
2) 룰러의 선교신학
3) 몰트만의 선교신학
2) 룰러의 선교신학
3) 몰트만의 선교신학
본문내용
」 제3부의 선교론 보다 시간적으로 일찍 저술되었다. 이런 순서의 역전은 있지만 반 룰러의 신학적인 시도가 칼 바르트의 「기독록적인 집중」 의 신학에 대한 비판으로 특징지어진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그의 선교론에서도 명백했다. 그런 의미에서는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 은 분명히 바르트 신학 이후의 것이었다.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 다음에 위치하지만, 그의 신학과 선교론도 칼 바르트와의 차이 속에 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몰트만은 반 룰러로부터 촉발되어 있었다. 이것은 표면화 되지는 않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몰트만은 발 룰러로부터 받은 자극으로 바르트의 신학으로부터 탈출했으며, 그런 ㅡ이미에서 바르트 신학에서의 의식 전환이 몰트만의 신학 기초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또 그때 결정적인 전환점이 종말론의 전개에 있었던 것도 분명하다. 몰트만은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의 자극으로 촉발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종말론」 의 가능성과 함께 「선교」 의 문제에도 관심을 열어 갔음을 말한다. 물론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의 신학 그대로를 계승한 것은 아니다. 그는 에른스트 블로흐를 만난 후 반 룰러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 다음에 위치하지만, 그의 신학과 선교론도 칼 바르트와의 차이 속에 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는 몰트만은 반 룰러로부터 촉발되어 있었다. 이것은 표면화 되지는 않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몰트만은 발 룰러로부터 받은 자극으로 바르트의 신학으로부터 탈출했으며, 그런 ㅡ이미에서 바르트 신학에서의 의식 전환이 몰트만의 신학 기초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또 그때 결정적인 전환점이 종말론의 전개에 있었던 것도 분명하다. 몰트만은 반 룰러의 「사도적 사명 신학」의 자극으로 촉발되었다. 이것은 「새로운 종말론」 의 가능성과 함께 「선교」 의 문제에도 관심을 열어 갔음을 말한다. 물론 몰트만의 신학은 발 룰러의 신학 그대로를 계승한 것은 아니다. 그는 에른스트 블로흐를 만난 후 반 룰러와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