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작용기의 종류
-탄수화물의 종류
-글리코시드 결합
-각각의 시료가 분류하는 것
3. 실험준비물
4. 실험방법
1) Molish 실험
2) Benedict 시험
3) Barfoed 시험
4) Seliwanoff 시험
5. 실험결과
1. Molisch 실험
2. Benedict 시험
3. Barfoed 시험
4. Seliwanoff 시험
6. 고찰
2. 실험이론
-작용기의 종류
-탄수화물의 종류
-글리코시드 결합
-각각의 시료가 분류하는 것
3. 실험준비물
4. 실험방법
1) Molish 실험
2) Benedict 시험
3) Barfoed 시험
4) Seliwanoff 시험
5. 실험결과
1. Molisch 실험
2. Benedict 시험
3. Barfoed 시험
4. Seliwanoff 시험
6. 고찰
본문내용
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마 설탕이 분해되어 포도당이 떨어져 나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3. Barfoed 시험
-> Barfoed 시약은 단당류와 이당류를 반응 속도의 차이로 구별해내는 시약이다. 일반적으로 단당류의 반응이 이당류보다 빠르게 일어나며 이당류가 가열되어 단당류가 되면 그제서야 반응이 시작된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단당류인 포도당과 갈락토오스에 빨간 빛이 감돌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당류인 엿당과 젖당은 아직 파란 빛을 띄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4. Seliwanoff 시험
시료
실험 결과
과당
적색
설탕
적색
음료수
적색
포도당
변화 없음
갈락토오스
변화 없음
->셀리바노프 시험은 케토스와 알도스를 구별해내는 시험인데 케토스와 알도스는 단당류의 첫 번째 탄소가 무슨 작용기를 갖는지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첫 번째 탄소가 알데히드기(-CHO)를 갖고 있으면 알도스가 되고 케톤기(-CO)를 갖고 있다면 케토스가 되는 것이다. 셀리바노프 시약은 알도스를 갖고 있는 단당류보다 케토스를 갖고 있는 단당류와 더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두 당류를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결과표를 보면 적색으로 변한 과당, 설탕, 음료수(케토스가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가 케토스로 보이며,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알도스로 구별이 가능하다.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시약을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분류해보는 것을 하는 것이었다. 가장 먼저 저번 실험에서 배웠던 피펫을 직접 다뤄보는 것부터 시작했는데 맨 처음 팁을 꽂을 때 정확하게 꽉 끼웠는지 확인해야 하고 그 다음 피펫의 4/5정도를 누른 채로 팁을 용액에 살짝 담근다. 그 후에 피펫을 막 누르거나 한 번에 확 떼어버리면 안 되고 조심히 용액을 끌어들인다.(그렇지 않으면 용액이 확 튀어오를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용액을 끌어들인 피펫은 시험관 벽면에 대고 꾹 눌러주면 된다. 그리고 한번 사용한 팁을 다시 사용하면 실험상의 오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버려준다. 우리 조는 가장 먼저 1.Molisch 실험을 했는데, 먼저 각 용액과 시약을 각 시험관에 넣어주고 진한 황산을 마지막에 넣어주는 실험이었다. 마지막에 진한 황산을 벽에 따라 넣고 나면 아래쪽에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 넣은 후에는 섞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 후에 액체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의 색을 관찰해보면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등 탄수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존재하기만 하면 보라색으로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래도 부주의와 어색한 피펫때문인지 용액을 섞지 않았는데도 경계면에서 색이 변하지 않았던 것 같고 이 점은 정밀함과 정확함을 요구하는 생실에서는 보완해야 할 점이었던 것 같다. 4번 실험은 1번 실험보다 비교적 색구분이 명확하고 과정 자체도 더 깔끔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실험을 할 수 있었는데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인드 때문에 실험과정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고 용액의 리터를 잘 못 체크해버렸다. 결국 시험관을 다시 세팅하고 준비하느라 2배의 시간이 걸리고 말았다. 이번 실험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화학실험과는 다르게 피펫의 용도가 넓기 때문에 시험관에 대충 대고 뿌린다거나 마이크로리터, 밀리리터를 정확히 구분하여 용액을 넣지 않으면 제대로 된 실험을 할 수 없고 애꿎은 시간만 낭비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들을 주의한다면 좋은 실험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일반생물학실험」「남석현, 민철기」
http://joonyoungsun.tistory.com/171
http://blog.naver.com/food_study?Redirect=Log&logNo=110086352182
3. Barfoed 시험
-> Barfoed 시약은 단당류와 이당류를 반응 속도의 차이로 구별해내는 시약이다. 일반적으로 단당류의 반응이 이당류보다 빠르게 일어나며 이당류가 가열되어 단당류가 되면 그제서야 반응이 시작된다.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단당류인 포도당과 갈락토오스에 빨간 빛이 감돌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당류인 엿당과 젖당은 아직 파란 빛을 띄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4. Seliwanoff 시험
시료
실험 결과
과당
적색
설탕
적색
음료수
적색
포도당
변화 없음
갈락토오스
변화 없음
->셀리바노프 시험은 케토스와 알도스를 구별해내는 시험인데 케토스와 알도스는 단당류의 첫 번째 탄소가 무슨 작용기를 갖는지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첫 번째 탄소가 알데히드기(-CHO)를 갖고 있으면 알도스가 되고 케톤기(-CO)를 갖고 있다면 케토스가 되는 것이다. 셀리바노프 시약은 알도스를 갖고 있는 단당류보다 케토스를 갖고 있는 단당류와 더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두 당류를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결과표를 보면 적색으로 변한 과당, 설탕, 음료수(케토스가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가 케토스로 보이며,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알도스로 구별이 가능하다.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시약을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분류해보는 것을 하는 것이었다. 가장 먼저 저번 실험에서 배웠던 피펫을 직접 다뤄보는 것부터 시작했는데 맨 처음 팁을 꽂을 때 정확하게 꽉 끼웠는지 확인해야 하고 그 다음 피펫의 4/5정도를 누른 채로 팁을 용액에 살짝 담근다. 그 후에 피펫을 막 누르거나 한 번에 확 떼어버리면 안 되고 조심히 용액을 끌어들인다.(그렇지 않으면 용액이 확 튀어오를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용액을 끌어들인 피펫은 시험관 벽면에 대고 꾹 눌러주면 된다. 그리고 한번 사용한 팁을 다시 사용하면 실험상의 오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버려준다. 우리 조는 가장 먼저 1.Molisch 실험을 했는데, 먼저 각 용액과 시약을 각 시험관에 넣어주고 진한 황산을 마지막에 넣어주는 실험이었다. 마지막에 진한 황산을 벽에 따라 넣고 나면 아래쪽에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 넣은 후에는 섞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 후에 액체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의 색을 관찰해보면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등 탄수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존재하기만 하면 보라색으로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래도 부주의와 어색한 피펫때문인지 용액을 섞지 않았는데도 경계면에서 색이 변하지 않았던 것 같고 이 점은 정밀함과 정확함을 요구하는 생실에서는 보완해야 할 점이었던 것 같다. 4번 실험은 1번 실험보다 비교적 색구분이 명확하고 과정 자체도 더 깔끔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실험을 할 수 있었는데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인드 때문에 실험과정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고 용액의 리터를 잘 못 체크해버렸다. 결국 시험관을 다시 세팅하고 준비하느라 2배의 시간이 걸리고 말았다. 이번 실험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화학실험과는 다르게 피펫의 용도가 넓기 때문에 시험관에 대충 대고 뿌린다거나 마이크로리터, 밀리리터를 정확히 구분하여 용액을 넣지 않으면 제대로 된 실험을 할 수 없고 애꿎은 시간만 낭비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들을 주의한다면 좋은 실험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일반생물학실험」「남석현, 민철기」
http://joonyoungsun.tistory.com/171
http://blog.naver.com/food_study?Redirect=Log&logNo=11008635218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