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혹은 글을 적는(서사)일로 부리니, 이름을 권학이라고 하나
實
多
廢
弛
,
自
今
在
外
儒
臣
,
열매 실
많을 다
폐할 폐
늦출 이
,
스스로 자
이제 금
있을 재
바깥 외
선비 유
신한 신
,
실로 폐이됨이 많습니다. 이제부터 외방의 유신들이
私
置
書
齋
敎
訓
者
,
毋
敢
定
爲
他
州
敎
사사 사
둘 치
쓸 서
재계할 재
가르칠 교
가르칠 훈
놈 자
,
말 무
감히 감
정할 정
할 위
다를 타
고을 주
가르칠 교
사사로이 서재를 두고 가르치려는 자는 감히 다른 고을의 교수로 정하지 말도록 하고
授
,
生
徒
毋
令
强
赴
鄕
學
,
監
司
守
令
줄 수
,
날 생
무리 도
말 무
영 령
굳셀 강
나아갈 부
시골 향
배울 학
,
볼 감
맡을 사
지킬 수
영 령
생도도 강제로 향학에 나아가지 않게 하고, 감사(도지사)와 수령이 자주 더 많이 권장하고
仍
加
勸
勉
,
使
各
安
居
講
學
,
以
裨
風
인할 잉
더할 가
권할 권
힘쓸 면
,
하여금 사
각각 각
편안할 안
있을 거
익힐 강
배울 학
,
써 이
도울 비
바람 풍
타일러 힘쓰게 하고 그들(수령들)로 하여금 각기 편안히 거쳐하여 강학하여 풍화(풍습과 교화)를 돕게 하소서
化
.
一
,
詩
章
唱
和
,
儒
者
末
技
,
될 화
.
한 일
,
시 시
글 장
노래창
화할 화
,
선비 유
놈 자
끝 말
재주 기
,
하나, 시로써 창화하는 것은 유학자의 마지막의 천한 지혜이나
然
亦
關
於
人
才
盛
衰
,
不
可
偏
廢
,
그러할 연
또 역
빗장 관
어조사 어
사람 인
재주 재
담을 성
쇠할 쇠
,
아니 불
옳을 가
치우칠 편
폐할폐
,
또 인재의 융성과 쇠함과 관계 되니 이를 치우쳐서 폐할 수가 없고
且
其
吟
詠
性
情
,
有
所
感
發
而
興
起
,
또 차
그 기
읊을 음
읊을 영
성품 성
뜻 정
,
있을 유
바 소
느낄 감
쏠 발
말이을 이
일 흥
일어날 기
,
또 그 성정(성품과 심정)을 읊조리면 느끼어 마음이 움직여 감동되어 떨쳐 일어나는바 있으니,
卽
古
者
敎
子
典
樂
詠
歌
之
遺
意
也
곧 즉
옛 고
놈 자
가르칠 교
투구 주
아들 자
법 전
노래 악
읊을 영
노래가
갈 지
끼칠 유
뜻 의
어조사 야
즉 예전에 주자에게 전악이 시가를 읊음으로써 가르치던 남은 전통입니다.
,
前
朝
之
時
,
內
有
九
齋
,
外
置
都
會
,
앞 전
아침 조
갈 지
때 시
,
안 내
있을 유
아홉 구
재계할 재
,
바깥 외
둘 치
도읍 도
모일 회
전조(고려)의 시기에 안에는 구재(구재학당)가 있고 지방에 도회를 두어
每
於
夏
月
,
賦
詩
爲
課
,
東
堂
監
試
亦
매양 매
어조사 어
여름 하
달 월
,
구실 부
시 시
할 위
매길 과
,
동녘 동
집 당
볼 감
시험할 시
또 역
매 여름 달에는 시를 짓는 것으로 과업을 삼고, ‘동당감시’ 또한 시를 시험으로 보았는데
試
以
詩
,
今
皆
革
罷
,
專
務
經
術
,
시험 할 시
써 이
시 시
,
이제 금
다 개
가죽 혁
방면할 파
,
오로지 전
일 무
글 경
꾀 술
,
지금은 이것이 모두 혁파 하여 오로지 경술(경서에 관한 학문)에만 힘써
棄
末
趨
本
,
可
謂
令
典
,
然
今
儒
者
,
버릴 기
끝 말
달릴 추
밑 본
,
옳을 가
이를 위
영 령
법 전
,
그러할 연
이제 금
선비 유
놈 자
,
끝을 버리고 근본으로 향하니, 좋은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유학자들이
雖
號
通
經
,
鮮
有
文
章
傑
出
之
才
,
비록 수
이름날 호
통할 통
글 경
,
고울 선
있을 유
글월문
글 장
뛰어날 걸
날 출
갈 지
재주 재
,
비록 경서에 통달하였다. 이름을 날리더라도 뛰어난 문장이 없어서
其
於
詩
道
,
亦
多
不
工
,
蓋
兩
失
之
矣
그 기
어조사 어
시 시
길 도
,
또 역
많을 다
아니 불
장인 공
,
덮을 개
두 량
잃을 실
갈 지
어조사 의
그들이 시를 짓는 법 또한 많이 정교하지 못하니, 대개 두 가지 모두 잃은 것입니다.
有
中
國
詞
臣
,
奉
使
而
來
,
相
與
唱
빼어날 당
있을 유
가운데 중
나라 국
말씀 사
신하 신
,
받들 봉
하여금 사
말이을 이
올 래
,
서로 상
줄 여
노래 창
만일 중국 사신이 사명을 받들어 와서 서로 더불어 시를 못지으리까.
和
,
寧
不
取
笑
,
乞
自
今
時
散
文
臣
三
화할 화
,
편안할 영
아니 불
취할 취
웃을 소
,
빌 걸
스스로 자
이제 금
때 시
흩을 산
글월 문
신하 신
석 삼
어찌 웃음거리가 되지 않겠습니까? 비옵건데 이제 부터는 시산의 문신 삼품관 이하를
品
以
下
,
每
年
春
秋
仲
月
,
會
藝
文
館
물건 품
써 이
아래 하
,
매양 매
해 년
봄 춘
가을 추
버금 중
달 월
,
모일 회
심을 예
글월 문
객사 관
매년 봄과 가을 중월에(음력 2월, 8월), 예문관에 모이게 하여
館
閣
堤
學
以
上
,
出
題
賦
詩
,
以
考
能
객사 관
집 각
둑 제
배울 학
써 이
위 상
,
날 출
표제 제
구실 부
시 시
,
써 이
상고할 고
능할 능
관각(홍문관, 예문관)의 제학 이상이 제목을 내어 시를 짓게 하여 능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상고하여
否
,
具
名
申
聞
,
以
憑
用
,
中
外
學
아닐 부
,
갖출 구
이름 명
거듭 신
들을 문
,
써 이
기댈 빙
베풀 서
쓸 용
,
가운데 중
바깥 외
배울 학
이름을 적어 보고하게 하여 관직을 주는데 근거로 하고, 중앙과 지방의 학교에서
校
,
每
年
春
秋
季
月
,
復
行
課
詩
之
法
학교 교
,
매양 매
해 년
봄 춘
가을 추
끝 계
달 월
,
돌아올 부
갈 행
매길 과
시 시
갈 지
법 법
매년 봄과 가을 끝월(3월과 9월)에 다시 과시(시를 짓는)의 법을 행하고
監
司
守
令
監
學
之
時
,
亦
令
賦
詩
,
旌
볼 감
맡을 사
지킬 수
영 령
볼 감
배울 학
갈 지
때 시
,
또 역
영 령
구실 부
시 시
,
기 정
감찰사와 수령이 감학할 때에도 또 시를 짓게 하여
基
能
者
,
以
加
勸
勉
.
從
之
그 기
능할 능
놈 자
,
써 이
더할 가
권할 권
힘쓸 면
.
따를 종
갈 지
그 능한자를 정(표창)하여 더욱 장려하도록 하소서 라고 말하였다. 법으로 되었다.
實
多
廢
弛
,
自
今
在
外
儒
臣
,
열매 실
많을 다
폐할 폐
늦출 이
,
스스로 자
이제 금
있을 재
바깥 외
선비 유
신한 신
,
실로 폐이됨이 많습니다. 이제부터 외방의 유신들이
私
置
書
齋
敎
訓
者
,
毋
敢
定
爲
他
州
敎
사사 사
둘 치
쓸 서
재계할 재
가르칠 교
가르칠 훈
놈 자
,
말 무
감히 감
정할 정
할 위
다를 타
고을 주
가르칠 교
사사로이 서재를 두고 가르치려는 자는 감히 다른 고을의 교수로 정하지 말도록 하고
授
,
生
徒
毋
令
强
赴
鄕
學
,
監
司
守
令
줄 수
,
날 생
무리 도
말 무
영 령
굳셀 강
나아갈 부
시골 향
배울 학
,
볼 감
맡을 사
지킬 수
영 령
생도도 강제로 향학에 나아가지 않게 하고, 감사(도지사)와 수령이 자주 더 많이 권장하고
仍
加
勸
勉
,
使
各
安
居
講
學
,
以
裨
風
인할 잉
더할 가
권할 권
힘쓸 면
,
하여금 사
각각 각
편안할 안
있을 거
익힐 강
배울 학
,
써 이
도울 비
바람 풍
타일러 힘쓰게 하고 그들(수령들)로 하여금 각기 편안히 거쳐하여 강학하여 풍화(풍습과 교화)를 돕게 하소서
化
.
一
,
詩
章
唱
和
,
儒
者
末
技
,
될 화
.
한 일
,
시 시
글 장
노래창
화할 화
,
선비 유
놈 자
끝 말
재주 기
,
하나, 시로써 창화하는 것은 유학자의 마지막의 천한 지혜이나
然
亦
關
於
人
才
盛
衰
,
不
可
偏
廢
,
그러할 연
또 역
빗장 관
어조사 어
사람 인
재주 재
담을 성
쇠할 쇠
,
아니 불
옳을 가
치우칠 편
폐할폐
,
또 인재의 융성과 쇠함과 관계 되니 이를 치우쳐서 폐할 수가 없고
且
其
吟
詠
性
情
,
有
所
感
發
而
興
起
,
또 차
그 기
읊을 음
읊을 영
성품 성
뜻 정
,
있을 유
바 소
느낄 감
쏠 발
말이을 이
일 흥
일어날 기
,
또 그 성정(성품과 심정)을 읊조리면 느끼어 마음이 움직여 감동되어 떨쳐 일어나는바 있으니,
卽
古
者
敎
子
典
樂
詠
歌
之
遺
意
也
곧 즉
옛 고
놈 자
가르칠 교
투구 주
아들 자
법 전
노래 악
읊을 영
노래가
갈 지
끼칠 유
뜻 의
어조사 야
즉 예전에 주자에게 전악이 시가를 읊음으로써 가르치던 남은 전통입니다.
,
前
朝
之
時
,
內
有
九
齋
,
外
置
都
會
,
앞 전
아침 조
갈 지
때 시
,
안 내
있을 유
아홉 구
재계할 재
,
바깥 외
둘 치
도읍 도
모일 회
전조(고려)의 시기에 안에는 구재(구재학당)가 있고 지방에 도회를 두어
每
於
夏
月
,
賦
詩
爲
課
,
東
堂
監
試
亦
매양 매
어조사 어
여름 하
달 월
,
구실 부
시 시
할 위
매길 과
,
동녘 동
집 당
볼 감
시험할 시
또 역
매 여름 달에는 시를 짓는 것으로 과업을 삼고, ‘동당감시’ 또한 시를 시험으로 보았는데
試
以
詩
,
今
皆
革
罷
,
專
務
經
術
,
시험 할 시
써 이
시 시
,
이제 금
다 개
가죽 혁
방면할 파
,
오로지 전
일 무
글 경
꾀 술
,
지금은 이것이 모두 혁파 하여 오로지 경술(경서에 관한 학문)에만 힘써
棄
末
趨
本
,
可
謂
令
典
,
然
今
儒
者
,
버릴 기
끝 말
달릴 추
밑 본
,
옳을 가
이를 위
영 령
법 전
,
그러할 연
이제 금
선비 유
놈 자
,
끝을 버리고 근본으로 향하니, 좋은법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유학자들이
雖
號
通
經
,
鮮
有
文
章
傑
出
之
才
,
비록 수
이름날 호
통할 통
글 경
,
고울 선
있을 유
글월문
글 장
뛰어날 걸
날 출
갈 지
재주 재
,
비록 경서에 통달하였다. 이름을 날리더라도 뛰어난 문장이 없어서
其
於
詩
道
,
亦
多
不
工
,
蓋
兩
失
之
矣
그 기
어조사 어
시 시
길 도
,
또 역
많을 다
아니 불
장인 공
,
덮을 개
두 량
잃을 실
갈 지
어조사 의
그들이 시를 짓는 법 또한 많이 정교하지 못하니, 대개 두 가지 모두 잃은 것입니다.
有
中
國
詞
臣
,
奉
使
而
來
,
相
與
唱
빼어날 당
있을 유
가운데 중
나라 국
말씀 사
신하 신
,
받들 봉
하여금 사
말이을 이
올 래
,
서로 상
줄 여
노래 창
만일 중국 사신이 사명을 받들어 와서 서로 더불어 시를 못지으리까.
和
,
寧
不
取
笑
,
乞
自
今
時
散
文
臣
三
화할 화
,
편안할 영
아니 불
취할 취
웃을 소
,
빌 걸
스스로 자
이제 금
때 시
흩을 산
글월 문
신하 신
석 삼
어찌 웃음거리가 되지 않겠습니까? 비옵건데 이제 부터는 시산의 문신 삼품관 이하를
品
以
下
,
每
年
春
秋
仲
月
,
會
藝
文
館
물건 품
써 이
아래 하
,
매양 매
해 년
봄 춘
가을 추
버금 중
달 월
,
모일 회
심을 예
글월 문
객사 관
매년 봄과 가을 중월에(음력 2월, 8월), 예문관에 모이게 하여
館
閣
堤
學
以
上
,
出
題
賦
詩
,
以
考
能
객사 관
집 각
둑 제
배울 학
써 이
위 상
,
날 출
표제 제
구실 부
시 시
,
써 이
상고할 고
능할 능
관각(홍문관, 예문관)의 제학 이상이 제목을 내어 시를 짓게 하여 능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상고하여
否
,
具
名
申
聞
,
以
憑
用
,
中
外
學
아닐 부
,
갖출 구
이름 명
거듭 신
들을 문
,
써 이
기댈 빙
베풀 서
쓸 용
,
가운데 중
바깥 외
배울 학
이름을 적어 보고하게 하여 관직을 주는데 근거로 하고, 중앙과 지방의 학교에서
校
,
每
年
春
秋
季
月
,
復
行
課
詩
之
法
학교 교
,
매양 매
해 년
봄 춘
가을 추
끝 계
달 월
,
돌아올 부
갈 행
매길 과
시 시
갈 지
법 법
매년 봄과 가을 끝월(3월과 9월)에 다시 과시(시를 짓는)의 법을 행하고
監
司
守
令
監
學
之
時
,
亦
令
賦
詩
,
旌
볼 감
맡을 사
지킬 수
영 령
볼 감
배울 학
갈 지
때 시
,
또 역
영 령
구실 부
시 시
,
기 정
감찰사와 수령이 감학할 때에도 또 시를 짓게 하여
基
能
者
,
以
加
勸
勉
.
從
之
그 기
능할 능
놈 자
,
써 이
더할 가
권할 권
힘쓸 면
.
따를 종
갈 지
그 능한자를 정(표창)하여 더욱 장려하도록 하소서 라고 말하였다. 법으로 되었다.
추천자료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변천,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보화 효과와 외국사례, 특수교육(장...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의미와 목적, 특수교육(장애인교육)과 취학, 특수교육(장애인교육)과...
[교육평가][상대평가][절대평가][진단평가][형성평가]교육평가의 의미, 교육평가의 목적, 교...
공교육(학교교육)의 개념, 공교육(학교교육)의 의미, 공교육(학교교육)의 비용, 공교육(학교...
교육실습지도(교생실습지도)의 정의, 교육실습지도(교생실습지도) 과정과 단계, 교육실습지도...
개별화교육계획(IEP,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목표, 법적근거, 수립, 개별화교육계획(IEP, 개...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목적, 초등교육(초등학교교육)의 성격, 통합교육과정운영(통합학교...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건강생활영역의 성격과 목표,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
영상매체활용교육(영상매체활용수업)의 특성, 영상매체활용교육(영상매체활용수업)의 필요성...
특기적성교육의 의의, 특기적성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특기적성교육과 다중지능, 특기적성교...
인간과교육] 1.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과...
초대교회의 교육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 사상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