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협심증 CASE(Stable Angina CASE)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협심증 CASE(Stable Angina 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1) 약물요법
 2) 수술적 요법

7. 경과 ·합병증

8. 예방방법


Ⅱ . CASE STUDY
 성명: 백 ○ ○

1. case

2. 진단명
 1) 헌병력
 2) 가족력

3. 간호력

4. 현 건강 상태

5. 수술

6. 진단적 검사

7. 약물 치료 현황

8. 간호과정

본문내용

0

70~170 %
PT(INR)(EM)
1.43

0.76~1.26
aPTT(EM)
28.7
25~38 sec
EDTA BLD
1/4
검사결과
상태
참고치
임상적 의미
WBC (em)
7.1
4.0~10.0 ×10³/㎕
▽빈혈, 골수의 기능장애, 자가면역 질환
▲세균에 의한 감염증, 백혈병,
조직 괴사
RBC (em)
3.74

3.9~6.5
▽ 빈혈, 호지킨병, 백혈병
▲ 화상으로 인한 혈액 농축
원발성 다혈구혈증
Hb (em)
12.2
11.5~17.0 g/dL
▽적혈구파괴증가, 적혈구 생산감소
▲다혈구혈증, 적혈구증가, 높은고도
Hct (em)
35.4

36.0~54.0 %
▽빈혈, 골수의 기능장애, 자가면역 질환
▲세균에 의한 감염증, 백혈병,
조직 괴사
PTL (em)
118

150~440
MCV (em)
94.5
82~98
▽철분 결핍성 빈혈(소구성)
▲거대 적아구성 빈혈(대구성)
MCH (em)
32.5
26~34
적혈구 평균 혈색소량
MCHC (em)
34.4
32~36
▽ 혈색소 감소상태, 철분 결핍성 빈혈
Seg.neut.
85

40~65 %
Lymphocyte
8

20~40 %
▽빈혈, 골수의 기능장애, 자가면역 질환
▲세균에 의한 감염증, 백혈병,
조직 괴사
ABGA (1/1) 검사결과 상태 정상치 임상적 의미
pH
7.363
7.35~7.45
▲hyperpnea, fever, vomi-
ting
▼remia, nephritis, dia-
betic acidosis
pCO₂
41.9
35.0~45.0 mmHg
▲respiratory acidosis
▼respiratory alkalosis
pO₂
226.5

75.0~100.0 mmHg
▼폐기능손상, 심박출량감소
HCO3-
24.1
21.0~28.0
▲metabolic alkalosis
▼metabolic acidosis
ABE
-0.8
-2.0~2.0 mmol/L
O2 CT
18.5
15.0~23.0 mL/dL
O2 SAT
99.8

92.0~98.5 %
▲다혈구증, 무수분혈증
▼anemia, 심기능대상부전
COPD
tCO2
25.4

19.0~24.0
7. 약물 치료 현황
약물
용량
효과
부작용
타이록신캅셀
250mg
1 cap
tid pc
기관지염, 인후두염, 편도염, 방광염, 신우신염, 안검염, 결막염, 모낭염, 연조직염, 자궁내감염, 중이염
쇽, 과민반응, 균교대증, 비타민결핍증, AST· ALT· ALP의 상승 등
휴물린R주
5 iu
[IVS]
인슐린 요법이 요구되는 당뇨병
저혈당, 고혈당 및 당뇨병케톤산증, 과민반응, 신경통
푸라솔주
500ml
1 btl
[IV]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의 아미노산 보급
대량 급속투여할 경우 아시도시스, 쇽,과민증, 기관지경축, 요로경축
아스트릭스캅셀
100mg
2 tab
qd pc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 있어서
비치명적심근경색 위험감소 및
일과성 허혈 발작 위험감소에 사용
쇽 및 아나필락시양 증상, 과민증, 간장애, 신장애
플라빅스정
75mg
1 tab
qd pc
뇌졸중, 심근경색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증상의 개선
출혈장애, 혈액학적 장애, 발진
리피토정
20mg
심근경색증에 대한 위험성 감소 ,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 혈관재생술 및 만성 안정형 협심증에 대한 위험성감소
내약성이 좋다. 이상반응은
대체로 경미하고 일시적. (2% 미만의 환자에서 발생)
알닥톤필름
코팅정
25mg
고혈압,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다리경련, 근경련, 전해질장애, 과민증, 탈모, 가려움, 여성형유방, 유방통, 발기부전, 월경불순, 무월경
타이레놀이알서방정
650mg
1 tab
tid pc
해열 및 감기에 의한 동통과
두통, 치통, 근육통, 허리동통, 생리통, 관절통의 완화
쇽 및 아나필락시양 증상, 과민증상(안면부종, 호흡곤란, 발한)
트리테이스정
5mg
1 tab
bid pc
고혈압 , 심근경색 후 심부전
기침, 기관지염, 부비동염, 호흡곤란, 발진 , 근육통, 혈중 칼륨 증가, 저혈압
이소트릴지속정
60mg
1 tab
qd pc
관상동맥 심질환, 협심증발작, 심근경색, 만성심근기능부전
어지러움, 저혈압, 두통
딜라트렌정
6.25mg
0.5 tab
qd pc
본태성 고혈압 , 만성 안정형 협심증
어지러움, 두통, 피로, 맥박수 감소, 호흡단축과 천식발작 , 사지통증
사정
S - “(가슴을 움켜잡으며) 아휴............”
O - 평소와 달리 표정이 좋지 않으시며 가슴이 답답한 듯 움켜잡으며 한숨을 쉼
진단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목표
통증정도가 2라고 말한다.
통증이 감소되어 편안함을 느끼며 밝은 표정으로 생활 할 수 있다.
계획 (이론적 근거)
①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③ 안정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침상에 누워있게끔 권한다.
④ 안위를 증진시키는 간호를 수행한다. (체위변경, 이완요법 등)
③ 긴장과 동통을 완화시킬 수 있다.
④ 반좌위로 체위를 변경하면 폐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수행
·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였더니 6이라고 말하였다.
· 활동을 자제하게 하고 안정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침상에 눕도록 권장하였다.
· 반좌위로 체위를 변경해주었다.
평가
통증이 3으로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활동시에는 여전히 통증을 호소했지만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자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8. 간호과정
사정
S - “아휴 숨차...” , “운동 한번 하기가 이렇게 힘들어”
O - 활동 시 숨이 차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임
진단
부적절한 산소공급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목표
숨이 차지 않는다고 말하며 편히 활동 할 수 있다.
계획
· 운동 시 잠깐의 휴식을 갖게 한다.
· 필요시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 천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수행
· 운동 시 옆에서 따라다니며 쉬어 다닐 수 있도록 휴식을 권장했다.
· 산소요법인 비강 캐뉼라 이용법을 교육하였다.
· 활동보다는 명상을 하게끔 권하였다.
평가
활동 시 전보다는 숨이 차지 않는다고 말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1.28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