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맥
1)동맥이란?
2)동맥의 기능
<검사가 가능한 동맥>
2. 정맥
1)정맥이란?
<검사가 가능한 정맥>
1.경정맥
2)정맥의 흐름
<정맥의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한 기전>
3. 림프계
1)림프계란?
2)림프계의 기능
3)림프관의 구조
4)림프절이란?
<림프절의 시진과 촉진>
4. 노인기 고려사항
5. 주관적 자료
1)다리 통증과 경련
2)팔, 다리의 피부변화
3)팔과 다리의 부종
4)림프절의 비대
5)약물
6. 객관적 자료
1)팔의 시진과 촉진
2)다리의 시진과 촉진
3)정맥압박 검사
4)색깔의 변화
5)도플러 초음파 검사
6)발목
7. 비정상 소견
1)팔의 말초혈관질환
2)다리의 말초혈관질환
1)동맥이란?
2)동맥의 기능
<검사가 가능한 동맥>
2. 정맥
1)정맥이란?
<검사가 가능한 정맥>
1.경정맥
2)정맥의 흐름
<정맥의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한 기전>
3. 림프계
1)림프계란?
2)림프계의 기능
3)림프관의 구조
4)림프절이란?
<림프절의 시진과 촉진>
4. 노인기 고려사항
5. 주관적 자료
1)다리 통증과 경련
2)팔, 다리의 피부변화
3)팔과 다리의 부종
4)림프절의 비대
5)약물
6. 객관적 자료
1)팔의 시진과 촉진
2)다리의 시진과 촉진
3)정맥압박 검사
4)색깔의 변화
5)도플러 초음파 검사
6)발목
7. 비정상 소견
1)팔의 말초혈관질환
2)다리의 말초혈관질환
본문내용
정상 소견
①손톱에 압박을 가한다. 그 다음 압박을 제거하였을 때 색깔이 돌아오는 시간을 본다.
☞1~2초 이상 지속된 충만은 혈관수축 혹은 감소된 심박출량을 의미한다.(저혈량, 심부전, 쇼크). 손은 차갑고, 축축하며, 창백하다.
☞1~2초내에 색깔이 돌아온다면 정상적인 것이다.
②요골맥박을 촉진한다 : 맥박수, 리듬, 혈관벽의 탄력성, 동일한 강도를 확인한다.
☞충만한 반동성 맥박(bounding pulse)(3+ 혹은 4+)은 과운동상태(운동, 불안, 열),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나타낸다.
☞약한(가냘픈) 맥박은 쇼크, 말초동맥질환에서 나타난다.
☞4점 척도로 강도를 정한다.
4+, 반동성(bounding)
3+, 증가된(increased)
2+, 정상(normal)
1+, 약한(weak)
0, 없는(absent)
③척골동맥은 촉진한 필요가 없다. 척골맥박이 정상인에게 잘 촉진되지는 않지만 전박 안쪽의 내측면을 따라 촉진하면 된다.
④상완맥박을 촉진한다. 강도는 양쪽이 동일해야 한다. 상완골의 내측과의 후상부를 압박하여 활차상박 림프절을 확인한다. 대상자와 악수를 하면서 다른 손은 내측상과 위쪽에 아두박근과 삼두박근 사이의 홈이 있는 팔꿈치 아래에 댄다.
<사진>
▲ 요골맥박 촉진
▲ 척골맥박 촉진
▲ 상완맥박 촉진
▲ 활차상박 림프절 촉진
수정된 Allen 검사는 요골 동맥의 채혈 전에 측부순환이 충분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쓰이는 유용한 검사이다.
요골동맥과 척골동맥 압박 - 주먹을 폈다 쥐었다 함
정상 - 혈류가 척골 동맥으로 환류
폐쇄된 척골동맥 - 혈류 환류 없음
<사진>
▲ 수정된 Allen 검사
2)다리의 시진과 촉진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줄자로 종아리 둘레를 측정한다.
☞1~3cm의 비대칭성은 경증 림프부종
3~5cm는 중정도 림프부종
5cm 이상은 중증 림프부종
☞양쪽 다리의 크기가 부종이나 위축없이 대칭적이어야 한다.
②다리를 따라 발까지 대칭적인 점을 비교하면서 온도를 촉진한다.
☞한쪽 발과 다리가 차가워지거나, 다리를 움직일 때 갑작스러운 온도 하강은 동백부전일 때 나타난다.
☞피부는 따뜻해야 하며 양쪽이 동일하다.
③대상자의 무릎을 굽히고 부드럽게 비복근(종아리 근육)을 앞쪽 경골쪽으로 압박
☞종아리 통증은 양성의 호만 징후(Homan's sign)로 심부정맥 혈전의 35%에서 나타난다.
☞어떤 압통도 없어야 한다.
④서혜결절을 촉진한다.
☞비대된 결절, 압통, 고정되어 있다.
⑤슬와맥박은 보다 흩어진 맥박이어서 위치를 잡기 어렵다. 다리를 펴고 이완하지 않은 상태에서 엄지를 무릎에 고정시키고 손가락을 슬와에 깊숙이 누른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슬와맥박은 촉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⑥후경골 맥박은 발목의 내측과 부분에 손가락을 둥그렇게 한다.
⑦족배맥박은 매우 가벼운 터치를 한다.
☞첫째 발가락의 신전건 바로 외측발등에서 촉진가능하다.
⑧경골주위의 부종을 체크한다. 경골주위와 내측과 주위의 피부를 5초 동안 누른다. 만약 요흔성 부종이 있다면 요흔 정도를 사정한다.
☞양쪽에 의존성 요흔성 부종은 심부전, 당뇨병성 신경증, 간경화에 나타난다.
☞한쪽 다리의 부종은 심정맥의 폐쇄로 인해 일어난다. 한쪽, 혹은 양쪽의 부종은 림프관 폐쇄로 나타난다.
☞1+ 경도의 요흔, 조금 들어감, 다리에 부종을 감지할 수 없다.
2+ 중정도의 요흔, 자국이 쉽게 사라진다.
3+ 깊은 요흔, 자국이 짧은 시간동안 유지된다. 다리는 부어 보인다.
4+ 매우 깊은 요흔, 자국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며, 다리는 매우 부어 있다.
<사진>
▲ 종아리 둘레 측정
▲ 다리의 온도 촉진
▲ 대퇴동맥 촉진
▲ 슬와맥박 촉진(앙와위)
▲ 후경골 맥박 촉진
▲ 족배 맥박 촉진
▲ 경골 주위 부종 체크
▲ 요흔성 부종
3)정맥압박 검사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대상자가 서 있는 동안, 판막이 완전한지 사정하기 위해 정맥류의 길이를 검진한다. 정맥류의 아랫부분에 한손을 대고 15~20cm 높이에 다른 한손으로 정맥을 압박한다.
☞촉진할 수 있는 파동의 전달은 판막 부전일 때 나타난다.
☞판막이 완전하다면 파동의 전달을 막아 멀리 있는 손가락에서 어떤 변화를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진>
▲ 정맥압박 검사
4)색깔의 변화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동맥혈의 부족이 의심된다면, 다리를 탁자에서 30cm 정도 들어 올리며 정맥의 배액을 위해 발을 흔들도록 한다.
☞다리를 올렸을 때 창백한 것은 동맥공급부전을 나타낸다.
☞밝은 피부색을 가진 사람의 발은 정상적으로 조금 창백하게 보이나 여전히 분홍색이어야 한다. 어두운 피부색을 가진 사람의 발은 평가하기가 힘드나 발바닥에 색깔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낸다.
②대상자를 침상 가장 자리에 앉도록 하여 양쪽 다리를 비교한다. 다리에 색깔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록한다.
☞의존적인 깊은 청적색(rubor)는 심한 동맥 공급의 부족시 나타난다.
☞정상적으로 정맥혈액은 채워지는데 15초 걸린다.
<사진>
▲ 피부색 확인 검사(누워서)
5)도플러 초음파 검사
①목적 : 말초혈관의 약한 맥박을 평가하고, 유아와 소아의 혈압을 감시하고 하지의 혈압과 저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사진>
▲ 도플러 초음파 검사
6)발목-상박 지수(Ankle-Brachial Index : ABI)
-도플러 청진기는 말초혈관질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비침습적방법이다. 발목위에 팔에 재는 혈압 커프를 채우고 후경골과 족배동맥 중의 하나의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다.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132 발목 수축기 혈압 / 124 팔의 수축기 혈압 = 1.06, 혹은 106%, 혈류감소가 없음을 나타낸다.
ABI가 90% 이하 값은 말초혈관질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0.9~0.7 : 경증의 파행
0.7~0.4 : 중정도에서 중증의 파행
0.4~0.3 : 중증의 파행성, 당뇨신경증의 존재를 제외하고 휴식시에도 통증을 호소한다.
0.3 미만 : 허혈, 조직의 심각한 손실을 동반함.
7. 비정상 소견
1)팔의 말초혈관질환
▲ 레이노이드 증후군
▲ 림프부종
2)다리의 말초혈관질환
▲ 동맥경화증 - 허혈성 궤양
▲ 정맥(정체) 궤양
▲ 표재성정맥류
▲ 심부정맥 혈전증
①손톱에 압박을 가한다. 그 다음 압박을 제거하였을 때 색깔이 돌아오는 시간을 본다.
☞1~2초 이상 지속된 충만은 혈관수축 혹은 감소된 심박출량을 의미한다.(저혈량, 심부전, 쇼크). 손은 차갑고, 축축하며, 창백하다.
☞1~2초내에 색깔이 돌아온다면 정상적인 것이다.
②요골맥박을 촉진한다 : 맥박수, 리듬, 혈관벽의 탄력성, 동일한 강도를 확인한다.
☞충만한 반동성 맥박(bounding pulse)(3+ 혹은 4+)은 과운동상태(운동, 불안, 열),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나타낸다.
☞약한(가냘픈) 맥박은 쇼크, 말초동맥질환에서 나타난다.
☞4점 척도로 강도를 정한다.
4+, 반동성(bounding)
3+, 증가된(increased)
2+, 정상(normal)
1+, 약한(weak)
0, 없는(absent)
③척골동맥은 촉진한 필요가 없다. 척골맥박이 정상인에게 잘 촉진되지는 않지만 전박 안쪽의 내측면을 따라 촉진하면 된다.
④상완맥박을 촉진한다. 강도는 양쪽이 동일해야 한다. 상완골의 내측과의 후상부를 압박하여 활차상박 림프절을 확인한다. 대상자와 악수를 하면서 다른 손은 내측상과 위쪽에 아두박근과 삼두박근 사이의 홈이 있는 팔꿈치 아래에 댄다.
<사진>
▲ 요골맥박 촉진
▲ 척골맥박 촉진
▲ 상완맥박 촉진
▲ 활차상박 림프절 촉진
수정된 Allen 검사는 요골 동맥의 채혈 전에 측부순환이 충분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쓰이는 유용한 검사이다.
요골동맥과 척골동맥 압박 - 주먹을 폈다 쥐었다 함
정상 - 혈류가 척골 동맥으로 환류
폐쇄된 척골동맥 - 혈류 환류 없음
<사진>
▲ 수정된 Allen 검사
2)다리의 시진과 촉진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줄자로 종아리 둘레를 측정한다.
☞1~3cm의 비대칭성은 경증 림프부종
3~5cm는 중정도 림프부종
5cm 이상은 중증 림프부종
☞양쪽 다리의 크기가 부종이나 위축없이 대칭적이어야 한다.
②다리를 따라 발까지 대칭적인 점을 비교하면서 온도를 촉진한다.
☞한쪽 발과 다리가 차가워지거나, 다리를 움직일 때 갑작스러운 온도 하강은 동백부전일 때 나타난다.
☞피부는 따뜻해야 하며 양쪽이 동일하다.
③대상자의 무릎을 굽히고 부드럽게 비복근(종아리 근육)을 앞쪽 경골쪽으로 압박
☞종아리 통증은 양성의 호만 징후(Homan's sign)로 심부정맥 혈전의 35%에서 나타난다.
☞어떤 압통도 없어야 한다.
④서혜결절을 촉진한다.
☞비대된 결절, 압통, 고정되어 있다.
⑤슬와맥박은 보다 흩어진 맥박이어서 위치를 잡기 어렵다. 다리를 펴고 이완하지 않은 상태에서 엄지를 무릎에 고정시키고 손가락을 슬와에 깊숙이 누른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슬와맥박은 촉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⑥후경골 맥박은 발목의 내측과 부분에 손가락을 둥그렇게 한다.
⑦족배맥박은 매우 가벼운 터치를 한다.
☞첫째 발가락의 신전건 바로 외측발등에서 촉진가능하다.
⑧경골주위의 부종을 체크한다. 경골주위와 내측과 주위의 피부를 5초 동안 누른다. 만약 요흔성 부종이 있다면 요흔 정도를 사정한다.
☞양쪽에 의존성 요흔성 부종은 심부전, 당뇨병성 신경증, 간경화에 나타난다.
☞한쪽 다리의 부종은 심정맥의 폐쇄로 인해 일어난다. 한쪽, 혹은 양쪽의 부종은 림프관 폐쇄로 나타난다.
☞1+ 경도의 요흔, 조금 들어감, 다리에 부종을 감지할 수 없다.
2+ 중정도의 요흔, 자국이 쉽게 사라진다.
3+ 깊은 요흔, 자국이 짧은 시간동안 유지된다. 다리는 부어 보인다.
4+ 매우 깊은 요흔, 자국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며, 다리는 매우 부어 있다.
<사진>
▲ 종아리 둘레 측정
▲ 다리의 온도 촉진
▲ 대퇴동맥 촉진
▲ 슬와맥박 촉진(앙와위)
▲ 후경골 맥박 촉진
▲ 족배 맥박 촉진
▲ 경골 주위 부종 체크
▲ 요흔성 부종
3)정맥압박 검사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대상자가 서 있는 동안, 판막이 완전한지 사정하기 위해 정맥류의 길이를 검진한다. 정맥류의 아랫부분에 한손을 대고 15~20cm 높이에 다른 한손으로 정맥을 압박한다.
☞촉진할 수 있는 파동의 전달은 판막 부전일 때 나타난다.
☞판막이 완전하다면 파동의 전달을 막아 멀리 있는 손가락에서 어떤 변화를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진>
▲ 정맥압박 검사
4)색깔의 변화
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①동맥혈의 부족이 의심된다면, 다리를 탁자에서 30cm 정도 들어 올리며 정맥의 배액을 위해 발을 흔들도록 한다.
☞다리를 올렸을 때 창백한 것은 동맥공급부전을 나타낸다.
☞밝은 피부색을 가진 사람의 발은 정상적으로 조금 창백하게 보이나 여전히 분홍색이어야 한다. 어두운 피부색을 가진 사람의 발은 평가하기가 힘드나 발바닥에 색깔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낸다.
②대상자를 침상 가장 자리에 앉도록 하여 양쪽 다리를 비교한다. 다리에 색깔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록한다.
☞의존적인 깊은 청적색(rubor)는 심한 동맥 공급의 부족시 나타난다.
☞정상적으로 정맥혈액은 채워지는데 15초 걸린다.
<사진>
▲ 피부색 확인 검사(누워서)
5)도플러 초음파 검사
①목적 : 말초혈관의 약한 맥박을 평가하고, 유아와 소아의 혈압을 감시하고 하지의 혈압과 저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사진>
▲ 도플러 초음파 검사
6)발목-상박 지수(Ankle-Brachial Index : ABI)
-도플러 청진기는 말초혈관질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비침습적방법이다. 발목위에 팔에 재는 혈압 커프를 채우고 후경골과 족배동맥 중의 하나의 수축기 혈압을 측정한다.정상소견
비정상 소견
☞132 발목 수축기 혈압 / 124 팔의 수축기 혈압 = 1.06, 혹은 106%, 혈류감소가 없음을 나타낸다.
ABI가 90% 이하 값은 말초혈관질환이 있음을 나타낸다.
0.9~0.7 : 경증의 파행
0.7~0.4 : 중정도에서 중증의 파행
0.4~0.3 : 중증의 파행성, 당뇨신경증의 존재를 제외하고 휴식시에도 통증을 호소한다.
0.3 미만 : 허혈, 조직의 심각한 손실을 동반함.
7. 비정상 소견
1)팔의 말초혈관질환
▲ 레이노이드 증후군
▲ 림프부종
2)다리의 말초혈관질환
▲ 동맥경화증 - 허혈성 궤양
▲ 정맥(정체) 궤양
▲ 표재성정맥류
▲ 심부정맥 혈전증
추천자료
아동 건강 간호
[정신건강과간호]청소년, 중년, 노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자살 실태 및 현황에 대...
여성의 건강위해 행위 약, 술, 담배
영유아 정신건강의 해결방안을 사회복지사 입장에서 제시
노년기의 정신건강 및 느낌
[생활과건강] 최근 우리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약물의 종류와 특성 등 현황, 약물남용의 사...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학대 (兒童虐待) - 학대아동의 개념 및 정의, 학대아동...
[노인건강문제관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간호, 생활환경과 안전, 개인위생, 운동, 영양과 ...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간호과정 a+
정신건강간호학) 물질관련장애 알코올장애 - 개념과 유형
1.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 예방 2. 위기중재
아동건강교육4D)유아교육기관 급식관리에 대해 논하시오(급식관리 관련 법령, 급식관리의 유...
아동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케이스A+++, case study,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