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학개론] 몬테소리 프로그램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학개론] 몬테소리 프로그램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몬테소리 프로그램이란

2.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역사
1)역사
2)이론적 배경

3.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4.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원리
<자유와 자기활동의 원리>

5.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1)일상생활 훈련
2)감각교육
3)언어교육
4)수학교육
5)문화교육

6. 몬테소리 프로그램에서의 교사의 역할

7.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평가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본문내용

중요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유아들에게 학습을 강요할 필요가 없고 발달 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교구를 제공해 주기만 하면 유아들은 활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해 나가며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교구와 유아의 상호 작용에서 교구가 유아 스스로의 교육을 도울 뿐 만 아니라 착오도 지적해 주므로, 유아는 스스로 자기 수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교사 역시 유아의 상호 작용에서 더 많은 것을 학습할 수가 있다. 유아가 단지 교구를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어떤 사실을 학습하듯이, 교사 또한 관찰하기만 해도 많은 사실을 배우게 된다.
<부정적 평가>
첫째, 몬테소리는 놀이 기능을 단순히 성인의 생활을 준비하는 기능으로 간주하여 공상이나 환상놀이 등의 기능을 무시했다. 몬테소리는 공상이나 환상이 현실세계를 다룰 능력이 없기 때문에, 현실과 동떨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정신 작용이라고 간주했다. 몬테소리는 공상적 이야기를 통해서 어린이의 환상세계를 풍부하게 해준다는 생각에 대해서 비판적이었다. 어린이가 제한되어 있는 상태에서 벗어나 환상의 세계에서 노닐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몬테소리는 인정했지만 동화 우화나 옛날 이야기 들을 들려주어도 어린이는 그에 부여된 인상을 단순히 수동적인 태도로 받아들이기만 할 뿐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몬테소리는 예술가들이 상상을 통해서 창조적 작업을 이룬다는 것은 인정했으나, 예술가들은 현실과 밀착된 상태에서 창조성을 발휘하는 것이므로 어린이들이 현실과 동떨어진 상태에서 환상에 머무는 것과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둘째, 어린이는 한 번 학습한 사실을 다시 되돌아가서 자유로이 탐색해 보고 다른 방식으로 더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는데도 몬테소리 교구는 그러한 어린이의 시도를 수용할 수 없도록 구조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셋째, 몬테소리 교구를 통해서 어린이들이 쉽게 언어를 학습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인정되지만, 몬테소리는 어린이의 인지 발달만을 강조했다. 몬테소리 교구는 주로 물리적인 것으로 어린이는 물리적 교구와 작업할 뿐 다른 어린이나 교사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어린이가 교사와 상호 작용하면 교사의 존재에 이끌려 그를 기쁘게 하기 위해서 학습하게 된다는 것이 몬테소리의 견해이다. 그러나 몬테소리가 우려하는 경우가 없다고 주장할 수는 없겠지만 그러한 이유 때문에 대인적 상호 작용을 격려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비판되어 진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3.0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