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 방송에 대하여
1. 북한 방송의 역사
2. 북한 방송의 종류
3. 북한 방송의 체계
4. 북한 방송보도의 철학
5. 북한 방송의 특징
6. 북한 방송의 원칙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1. 아동 프로그램
2. 가수와 음악
3. 시사, 다큐멘터리
4. 무극, 서커스
5. 뉴스
6. 영화, 드라마와 배우
Ⅲ. 북한방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북한 방송의 역사
2. 북한 방송의 종류
3. 북한 방송의 체계
4. 북한 방송보도의 철학
5. 북한 방송의 특징
6. 북한 방송의 원칙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1. 아동 프로그램
2. 가수와 음악
3. 시사, 다큐멘터리
4. 무극, 서커스
5. 뉴스
6. 영화, 드라마와 배우
Ⅲ. 북한방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북한 TV의 즐거움 속으로
Ⅰ. 북한 방송에 대하여
Ⅰ. 북한 방송에 대하여
1. 북한방송의 역사
1945년 10월 14일 - 조선중앙방송’ 김일성 귀국 환영식 중계, 북한방송 시작
1955년 4월 9일 - 한국전쟁으로 모두 파괴되었던 방송시설 확장
1963년 3월 3일 - ‘조선중앙텔레비젼방송국’으로 개국, TV방송 시작
1967년 12월 - 조선중앙방송을 제1중앙방송(대내방송), 제2중앙방송(대외 및 대남방송)으로 분리
1972년 11월 10일 - 각각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으로 개칭
1971년 4월 15일 - 대남 선전용인 ‘개성텔레비젼방송국’ 개국
1974년 4월 15일 - 김일성 62회 생일, 컬러텔레비젼 방송시작
2. 북한 방송의 종류
1) 조선중앙방송
· 대표 방송, 주민 대상, 대내방송, 하루 22시간 방송
2) 평양방송
· 하루 23시간 30분 대남방송, 한국모략, 한국민들 반정부 투쟁 선동내용 전체 40% 이상
3) 조선중앙TV
· 한국 NTSC 방식 아닌 PAL방식으로 송출
4) 교육문화TV방송
· 교육, 과학지식과 일반상식, 사회문화생활, 국내외 체육경기, 예술공연, 영화 등
5) 만수대TV
· 전체 409분,영화 193분 (47.2%) 예술공연단, 구소련 및 동유럽 국가 영화 주종
6) 조선중앙통신사
· 노동당과 정부 공식 대변기관, 46개 통신사와 협조협정 4개 국어 보도자료 배포
≪ … 중 략 … ≫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1. 가수와 음악
1) 조선국립교향악단
· 1946년 8월 첫 공연
· 북한대표 관현악 아리랑,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
바이올린 협주곡 ‘사향가’, 교향곡 ‘피바다’ 등
· 1986년 사회주의 국가 순회공연, 92년 일본공연
· 2000년 8월 북한 최초 서울 방문 단독공연 KBS 교향악단 합동 공연
Ⅰ. 북한 방송에 대하여
Ⅰ. 북한 방송에 대하여
1. 북한방송의 역사
1945년 10월 14일 - 조선중앙방송’ 김일성 귀국 환영식 중계, 북한방송 시작
1955년 4월 9일 - 한국전쟁으로 모두 파괴되었던 방송시설 확장
1963년 3월 3일 - ‘조선중앙텔레비젼방송국’으로 개국, TV방송 시작
1967년 12월 - 조선중앙방송을 제1중앙방송(대내방송), 제2중앙방송(대외 및 대남방송)으로 분리
1972년 11월 10일 - 각각 ‘조선중앙방송’과 ‘평양방송으로 개칭
1971년 4월 15일 - 대남 선전용인 ‘개성텔레비젼방송국’ 개국
1974년 4월 15일 - 김일성 62회 생일, 컬러텔레비젼 방송시작
2. 북한 방송의 종류
1) 조선중앙방송
· 대표 방송, 주민 대상, 대내방송, 하루 22시간 방송
2) 평양방송
· 하루 23시간 30분 대남방송, 한국모략, 한국민들 반정부 투쟁 선동내용 전체 40% 이상
3) 조선중앙TV
· 한국 NTSC 방식 아닌 PAL방식으로 송출
4) 교육문화TV방송
· 교육, 과학지식과 일반상식, 사회문화생활, 국내외 체육경기, 예술공연, 영화 등
5) 만수대TV
· 전체 409분,영화 193분 (47.2%) 예술공연단, 구소련 및 동유럽 국가 영화 주종
6) 조선중앙통신사
· 노동당과 정부 공식 대변기관, 46개 통신사와 협조협정 4개 국어 보도자료 배포
≪ … 중 략 … ≫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Ⅱ. 북한의 텔레비전 속으로
1. 가수와 음악
1) 조선국립교향악단
· 1946년 8월 첫 공연
· 북한대표 관현악 아리랑,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
바이올린 협주곡 ‘사향가’, 교향곡 ‘피바다’ 등
· 1986년 사회주의 국가 순회공연, 92년 일본공연
· 2000년 8월 북한 최초 서울 방문 단독공연 KBS 교향악단 합동 공연
키워드
추천자료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명절][북한의 명절][남한의 명절][한국의 명절][중국의 명절][일본의 명절][미국의 명절]북...
[이데올로기][북한 주체사상]이데올로기의 기능, 이데올로기의 표상, 북한의 경제운영체제, ...
[악의 축][북한]악의 축과 북한의 반응, 악의 축과 한반도정세, 악의 축과 이라크, 악의 축과...
[도시계획][북한][로마][브라질][이집트][북한의 도시계획][로마의 도시계획][브라질의 도시...
[2000년대][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북한신년사]2000년대의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 2000년...
[소설][프랑스소설][북한소설][중국소설][일본소설][독일소설][한국소설][프랑스][북한][중국...
[헌법, 미국헌법, 이탈리아헌법, 북한헌법, 중국헌법, 인도헌법, 한국헌법, 미국, 이탈리아, ...
[은어, 은어와 북한은어, 은어와 군대은어, 은어와 무당은어, 은어와 인터넷, 은어와 방송, ...
[북일관계정상화]북일관계정상화(북한일본관계정상화)와 정상화의미, 일본입장, 북일관계정상...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의 추진배경, 교섭과정, 협상현황, 재개, 북일국교정...
[생산][북한 상품 생산][일본 지식정보 생산][한국 농업 생산][독일 기업 생산][호주 산업 생...
국제협상론 - 북한의 협상전략 ( 북한의 역대 협상전략, 살라미 협상전략, 벼랑 끝 협상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