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윤리 사례분석] 공학윤리 문제의 해결을 위한 사례중심 Seven-Step Guide 개발 - 1.삼풍백화점 붕괴사건 & 2.포드의 핀토자동차 사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학윤리 사례분석] 공학윤리 문제의 해결을 위한 사례중심 Seven-Step Guide 개발 - 1.삼풍백화점 붕괴사건 & 2.포드의 핀토자동차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내사례: 삼풍백화점 붕괴사건
■ 사고 개요
■ 이 사건에 대한 Seven-Step Guide에 따른 윤리적 접근법

2. 국외사례: 포드의 핀토자동차 사건
■ 사고 개요
■ 이 사고에 대한 Seven-Step Guide에 따른 윤리적 접근법

본문내용

의 폭발 위험이 있더라도 현재까지 사고가 없으므로 문제없다.
2. 자동차사의 이익을 위해 안전한 자동차의 생산 관련 규정이나 운전자의 안전은 후순위로 생각할 수 있다.
3. 자동차 안전 관련 법규나 공법에 위배되더라도 운전자가 모르면 문제없다.
4. 만약 안전에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그때 가서 리콜이나 A/S해주면 된다.
5. 자동차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폭발의 위험이 없는 범위 내에서는 관례상 약간의 생산관련 법규나 공법은 무시해도 된다.
6.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만 문제가 없다면 약간의 관련 규정 위반은 허용된다.
7. 자동차 생산 관련 규정이나 공법만 준수하면 된다.
(PP)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고려한 차량 설계와 생산이 우선이다.
Develop list of options : 취할 수 있는 행동을 고안하여 리스트업하라
□ Step5. Test options : 대체안을 검토하라 보편화가능성 테스트(Universalizability Test) →
포드사의 핀토자동차 설계 관련 공학자와 포드사의 경영진은 위의 Step4에서 list up한 행위를 수행 했을 때, 이 행위가 사회 통념에서 벗어난 비윤리적 행위인지,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타당한 행위인지를 검토해 본다. 위의 Step4에서 list up한 선택지 중에서 사회의 보편적 가치 기준을 벗어난 모순적이며 타당하지 않은 행위는 윤리적으로 부적절한 행위로 간주되어 선택 기준에서 배제되어야한다. 반면에 보편화가능성의 Test를 통과한, 즉 사회의 보편적 가치기준에 합치하는 선택지는 선택가능한 윤리적 행위로 간주할 수 있다.
가역성 테스트(황금률 테스트) →
만약 포드사의 핀토자동차 설계 관련 공학자와 포드사의 경영진이 핀토자동차를 구입한 운전자(시민이나 고객)였다면, 이들은 과연 이 자동차를 계속해서 운전할 수 있을 것인가? 만약 설계 관련 공학자와 경영진이 핀토자동차 폭발 사고로 희생된 운전자(시민이나 고객)의 입장에 있거나, 혹은 그들의 가족이나 친구가 이 자동차를 운전한다고 생각했다면, 과연 이들은 경쟁력과 생산비 절감만을 내세우고 생명과 안전을 무시한 무리한 설계를 하거나 관련 규정을 위반 할 수 있었을까? 이처럼 가역성 테스트를 통해보아서도 포드자동차의 엔지니어나 경영진의 태도는 용인되기 어렵다. 공공의 생명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기업의 무리한 이윤추구는 결국 기업에게도 장기적으로 더 큰 손실이 됨을 이 사고는 잘 보여주고 있다.
□ Step6. Make a choice based on 1-5 : 1에서 5의 검토 결과에 의거하여 취해야 할 행위를 결정하라 결정한 행동? → 이 사고와 관련한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 특히 신형 자동차인 핀토의 개발을 맡은 자동차 설계 디자인 엔지니어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개발을 해야 하며, 포드자동차 경영진 역시도 타사와의 가격경쟁력만 앞세워 신차개발에 따른 비용 절감에만 전력하기 보다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고려한 안전한 자동차 개발을 우선시 하는 것이 비용-이득의 원리에 비춰봐서도 장기적으로 훨씬 더 이득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엔지니어와 경영주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적 가치로 삼아 자동차 생산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기계 공학적 설계에 따른 안전한 자동차를 생산해야만 한다.
똑같은 상황에 놓여졌을 때, 다시 이러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 포드사의 핀토자동차 사고는 경쟁사와의 가격경쟁력 우위와 생산개발에 따른 비용절감을 무리하게 추진한 나머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등하시고 말았다. 최근의 일본 도요타 자동차의 예처럼, 세계적인 자동차 산업의 경쟁 속에서 이와 유사한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항상 공공의 생명과 가치를 최우선적 가치로 삼아 자신의 전문 지식을 발휘해야한다. 자신이 맡은 일에서 딜레마적 상황에 놓였을 때, 창조적 중도법과 LD기법을 통해 여러 가능한 선택지 중에서 최선의 행위를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행위가 보편화가능성 Test나 가역성 Test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행위인지를 신중히 판단하고 최종적인 행위선택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엔지니어로서 공공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Step7. 1-6의 Step 재검토(그와 같은 윤리적 문제에 다시 빠지지 않기 위해 어떠한 방책을 취해야 하는지, 혹은 문제점의 개선방법을 생각하면서 재검토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3.10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