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역사 - 문현동 ‘벽화마을’을 다녀와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의역사 - 문현동 ‘벽화마을’을 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 문현동 벽화마을에 도착해서

본 론
부산 문현동 안동네
재개발[ redevelopment , 再開發 ]
재개발구역지정요건
- 벽화마을의 입구

결 론

본문내용

주었다.
안동네는 주거지를 형성하기 전부터 공동묘지였다고 한다. 한국전쟁 당시 갈 곳 없던 피난민들이 하나 둘 씩 모여들면서 피난민촌을 형성하고 또 그 곳에 공동묘지와 함께 말로 형용하기 힘든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벽화마을은 이젠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에게 인기를 사고 있다.
부산시는 이러한 안동네를 도시환경을 저해하고 있는 노후불량지역으로 판단, 골목길 담장에 벽화를 그려 넣는 도심재창조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벽화그리기는 기획, 바탕작업, 그리기 등 사업전반에 걸쳐 주민, 학생, 시민 등 230여 명 자원봉사자들의 손에 의해 만들어 졌다. ‘따뜻한 사람들의 벽화이야기’를 주제로 ‘봄을 펼치는 아이들’, ‘민들레 꽃씨를 날리는 아이’ 등 희망을 노래하는 47점의 그림이 태어났다.
또한 벽화마을은 ‘2008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주거환경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해 언론매체의 주목을 받았으며, 주말마다 관광객의 방문이 이어지는 등 전국적인 명소로 자리매김 했다. 봉준호 감독의 영화 ‘마더’에 배경으로 나와 관심을 더욱 끌었다. 진민용, “벽화는 아름답지만 벽 안의 삶은 가난해요”, 오마이뉴스, 2011. 03. 19
이렇게 안동네는 벽화마을로 변신함을 통해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한 재개발 예정지역의 모습을 벗어나 이젠 관광지로써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다. 재개발이라고 하여 단순히 건축물을 짓고 기존의 것들을 청소해내는 느낌이 아닌 새로운 생명을 부여해주는 진정한 재개발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한 눈에 보기에도 ‘달동네’이다.
거칠게 정리해보자면 관광지로써의 목적과 재개발이라는 목적을 모두 잡았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건축문화를 통해 온고지신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사업 목적인 ‘따뜻한 마을’이 되는데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
결 론
문현동 안동네에 레포트 작성을 위한 조사목적으로 갔었으나 직접 도착해보니 관광지로써의 역할도 충분히 해내고 있었다. 사진촬영에 도움을 얻기 위해 여자친구와 동행했으나 왜 사진작가들이 많이 찾고 연인들이 데이트 코스로 추천을 하는 곳인지 알 수 있었다. 조금은 가파르지만 옛 기억속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달동네’에 소박하고 예쁜 그림들, 이를 사진속에 담고 추억이라는 액자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그런 곳이었다.
이렇게 안동네는 한국전쟁 당시의 피난민촌이라는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으면서 이를 관광명소라는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시킨 것이다. 물론 주민들의 자리를 뺏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짙어진다. 이외에도 부산시는 사상 공단 디자인과 해운대 우동 벽화마을 등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재개발을 하고자 한다. 필자는 강원도 동해 출신으로 관광이 주목적인 곳에서 살아왔다. 강원도 동해에도 묵호 등대로 유명한 묵호동에 이와 비슷한 벽화마을이 있다. 신기하게도 그 마을 또한 ‘안묵호’라고 말하며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부산이라는 타지에 와 문현동의 벽화마을을 조사하며 이러한 벽화마을들의 의미를 다시 곱씹어 볼 수 있었다.
보통 재개발은 기존의 주민들을 내쫓고 도시의 미관과 주택지 조성을 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우리에게 비춰진 모습은 용역업체와 건설업체의 이익을 도모하고 재개발 예정지역의 주민들을 거리로 내모는 모습들이었다. 그러나 주민들의 보금자리를 재건축하고 제공한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인가.
특히 산이 많은 부산의 지역에서 아직 ‘달동네’는 많다. 요즘 떠들썩한 북항 재개발과는 조금 다른 의미겠지만 부산의 재개발은 이렇듯 새로운 문화창출과 공존을 지향할 때, 그리고 부산의 역사를 이어나갈 때 그 모습이 바로 설 수 있을 것이다.
-부성고등학교, 이를 기점으로 북쪽은 재개발된다고 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3.10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