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측면이 회절 물체(예컨대 개구)에 대하여 다같이 무한원에 있을 경우에 생기는 회절 현상. 프레넬 회절의 대어. 실용적으로는 물체를 평행광으로 조명했을 때, 물체의 확산(확산의 최대값)을 2a, 조명광의 파장을 λ라 하여 z》a2/λ을 충족시키는 물체와 관측면의 거리 z(파 필드의 조건을 충족)를 택하면 된다. 또 관측면이 광원의 공액면(共面)이 되었을 때도 같은 회절이 생긴다. 물체와 회절상의 복소진폭분포는 서로 푸리에 변환의 관계로 결부되어 있다.
참고문헌 : 하위헌스의 원리 [Huygens' principle ] | 네이버 백과사전
프라운호퍼 회절 <네이버 백과사전> / 위키백과
http://www.clemson.edu/ces/phoenix/labs/224/diffraction/index.html
참고문헌 : 하위헌스의 원리 [Huygens' principle ] | 네이버 백과사전
프라운호퍼 회절 <네이버 백과사전> / 위키백과
http://www.clemson.edu/ces/phoenix/labs/224/diffraction/index.html
추천자료
내연기관의 발달사
과학혁명에서부터 프랑스혁명기의 과학에까지
Bragg법칙과 Ewald sphere
국제무역론 기말고사
역학에 관한 정리
[정신분석학]프로이드와 코핫의 핵심개념 흐름에 관한 비교
수학 교육론 - 확률교육의 기초
반도체&반도체 공업의 이해
Cu분말 입도분석
간단한 유리 세공
현대물리학 실험 - 전자 원자와 미세구조
분자 세포 생물학 실험 - Isolation of E. coli genomic DNA & Measure DNA
[물리레포트] 전기적 열의 일당량 측정
미국의 대표적인 작가 edgar allen poe의 작품 세계에 대해 기술하고 그가 미국 문학사에 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