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글.
1. 북유럽 신화에 대해.
3. 북유럽 신화의 원전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
4. 북유럽 신화 속에서 살필 수 있었던 북유럽 세계의 문화.
5. 북유럽 신화의 특징.
1. 북유럽 신화에 대해.
3. 북유럽 신화의 원전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
4. 북유럽 신화 속에서 살필 수 있었던 북유럽 세계의 문화.
5. 북유럽 신화의 특징.
본문내용
신들 또한 일정한 직책을 갖고 인간과 여러 종족들을 보살핀다. 그리고 다음으로 로마 신화 속에서 올림푸스의 신들이 우라노스의 다른 거인 자식들과 대립하며 전쟁을 치루 듯이 북유럽 신화 속의 신들 또한 거인들과 지옥의 마물(魔物)들과 대립한다는 점이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올림푸스의 신들과 우라노스의 자식들은 대립 구도가 확연히 보여 서로 간에 접점이 거의 없다는 것에 반해, 아스가르드(북유럽 신들의 도시)의 신들과 서리 거인들 사이에는 굉장히 많은 교류가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아스가르드의 신을 대표하는 신중 한명인 토르는 서리 거인족의 여인인 야른삭사와 정을 통해, 아끼는 아들 마그니를 얻었다 한다.
다음으로 차이점을 본다면, 로마와 북유럽 신화 속에서 각 지역의 환경의 차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로마의 신화에서 신들은 풍요로운 대지 위에 자신들의 궁전을 짓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삶을 그려내는 것이 주이다. 그들은 신들의 음식을 먹음에 죽지 않으며 영원히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스가르드의 신들은 다르다. 그들에게는 분명히 죽음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젊음의 여신인 이둔이 나누어주는 젊음의 사과가 없으면 늙는다고까지 한다. 아스가르드의 신들은 늙어죽기도 하며 살해당하여 죽기도 한다. 이시르 신들의 정점이라 볼 수 있는 토르조차 신들의 전쟁 라그나로크에서 거대한 뱀 요르문간드를 죽이고 자신도 그 독에 의하여 죽었듯이 말이다. 그리고 로마 신화는 결국 마지막까지 올림푸스의 신들이 번영을 이루어가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지만 북유럽의 신화는 시간이 흘려 신들의 대전 라그나로크를 통해 거의 모든 존재가 죽어가게 되며 이 전쟁을 통하여 신들은 다시 좀더 한 차원 높은 존재로서 거듭나며 새로운 세계를 이끌어 가는, 일종의 정화 작용을 통해 멸망과 번영이 반복되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북유럽 신화 속에서 최초의 신 이미르가 태어났을 때도 세상에는 불기둥과 얼음 기둥이 존재 했듯이 굉장히 척박한 환경을 신화 속에서도 강조하여 나태 냈듯이 북유럽 신화에서 나타나는 것은 당시 북유럽이 사람이 살기 굉장히 힘든 자연 조건이었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민족들은 언제나 가혹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그들을 위협하는 적들을 물리치기 위해 끝없이 투쟁을 번복하듯이 신화의 신들 또한 척박한 환경 속에서 탄생하여, 그들만의 나라를 만들고, 언제나 그들의 적과 교류를 거듭하고, 전쟁을 거듭한다. 로마 신화 속의 신들은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지만 북유럽 신화의 신들은 자연스러운 환경 속의 인간에 가까운 모습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모든 것을 볼 수 있고 모든 지혜를 가질 수 있었던 오딘은 언제나 질투에 차있었으며 아름다움의 여신이었던 프레이아는 욕심 때문에 스스로의 몸을 난쟁이들에게 허락하기까지 했다. 꾀가 많았던 로키와 단순무식한 토르, 신들에게 경멸을 받으면서도 존중받는 장인인 난장이들까지, 북유럽 신화 속에 나타나는 모든 종족과 인물들은 당시 북유럽 사회 사람들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차이점을 본다면, 로마와 북유럽 신화 속에서 각 지역의 환경의 차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로마의 신화에서 신들은 풍요로운 대지 위에 자신들의 궁전을 짓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삶을 그려내는 것이 주이다. 그들은 신들의 음식을 먹음에 죽지 않으며 영원히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스가르드의 신들은 다르다. 그들에게는 분명히 죽음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젊음의 여신인 이둔이 나누어주는 젊음의 사과가 없으면 늙는다고까지 한다. 아스가르드의 신들은 늙어죽기도 하며 살해당하여 죽기도 한다. 이시르 신들의 정점이라 볼 수 있는 토르조차 신들의 전쟁 라그나로크에서 거대한 뱀 요르문간드를 죽이고 자신도 그 독에 의하여 죽었듯이 말이다. 그리고 로마 신화는 결국 마지막까지 올림푸스의 신들이 번영을 이루어가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지만 북유럽의 신화는 시간이 흘려 신들의 대전 라그나로크를 통해 거의 모든 존재가 죽어가게 되며 이 전쟁을 통하여 신들은 다시 좀더 한 차원 높은 존재로서 거듭나며 새로운 세계를 이끌어 가는, 일종의 정화 작용을 통해 멸망과 번영이 반복되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북유럽 신화 속에서 최초의 신 이미르가 태어났을 때도 세상에는 불기둥과 얼음 기둥이 존재 했듯이 굉장히 척박한 환경을 신화 속에서도 강조하여 나태 냈듯이 북유럽 신화에서 나타나는 것은 당시 북유럽이 사람이 살기 굉장히 힘든 자연 조건이었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민족들은 언제나 가혹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그들을 위협하는 적들을 물리치기 위해 끝없이 투쟁을 번복하듯이 신화의 신들 또한 척박한 환경 속에서 탄생하여, 그들만의 나라를 만들고, 언제나 그들의 적과 교류를 거듭하고, 전쟁을 거듭한다. 로마 신화 속의 신들은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지만 북유럽 신화의 신들은 자연스러운 환경 속의 인간에 가까운 모습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모든 것을 볼 수 있고 모든 지혜를 가질 수 있었던 오딘은 언제나 질투에 차있었으며 아름다움의 여신이었던 프레이아는 욕심 때문에 스스로의 몸을 난쟁이들에게 허락하기까지 했다. 꾀가 많았던 로키와 단순무식한 토르, 신들에게 경멸을 받으면서도 존중받는 장인인 난장이들까지, 북유럽 신화 속에 나타나는 모든 종족과 인물들은 당시 북유럽 사회 사람들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그리스 로마 신화의 12신
<길 위에서 듣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그리스 로마극의 특징,그리스 로마 신화와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신-악마-인간의 상관관계, ...
그리스 로마 신화 (e-Learning 정리 자료)
독후감 -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독후감
[독후감]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 감상문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고
[서양 역사와 문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한국 전설의 비교
그리스, 로마 신화에 관해서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신화 (신화에 대한 이해, 유아들이 신화에 흥미를 갖는 이유, ...
그리스 로마 신화 (다양한 사랑이야기, 그리스 신화에도 다양한 사랑이야기가 나온다.)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