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축적량은 한국의 약 27배였고, 일본은 72배, 독일 80배, 프랑스 42배, 영국 49배 등으로 나타났다. 2000년 기준으로 보면 미국의 지식 축적량은 한국의 약 17배이며 일본은 7배, 독일 4배, 프랑스 3배, 영국 2배다. 지난 25년 동안 지식축적량 규모의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고 할 수 있다. 만약 한국 경제가 향후 연평균 5%의 성장률을 보이고 GDP의 3%가 연구개발 에 투자된다고 가정하면, 한국이 2000년도 미국의 지식축적량을 따라잡는 데 50년 이상이 걸리고, 일본을 따라잡는 데는 35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 같은 가정 아래 GDP의 5%가 연구개발에 투자된다면, 한국이 2000년도 미국의 지식축적량을 따라잡는 데 약 42년, 일본을 따라잡는 데는 25년 정도로 단축 될 수 있다. 한국의 연구개발 활동이 지난 2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하더라도 선진국 수준의 기술혁신 능력을 보유하려면 장기간에 걸쳐 지금보다 한 층 더 투자를 늘려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를 늘리고 후발국으로서의 장점을 잘 살린다면, 과거 한국이 경험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선진국 수준에 이르는 데 걸리는 기간을 훨씬 단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경제사] 전후부흥기
전후 일본경제성장의 요인 ; 내적, 외적 요인
한국라면 일본라멘 문화비교 파워포인트 자료
한국, 중국, 일본 지역경제통합의 이론적 고찰
한국영화와 일본영화 비교
도요타 자동차가 일본 경제에 미친 영향
동북아(한국 중국 일본) 경제협력체
[모니터링보고서] 일본의 식민통치를 통한 한국의 경제 성장
[일본유통, 일본유통 매출부진, 일본유통 국제비교, 일본유통 물류혁신, 게임산업, 도매업]일...
[일본이동통신][일본이동통신 세대별흐름][일본이동통신 표준화동향][일본이동통신 한일비교]...
[산업 비교][미국자동차산업과 일본자동차산업 비교]국내게임산업과 동남아게임산업의 비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