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증기압을 ClausiusClapeyron 식에 의해 구해보면,
PH20 = + C 이고,
여기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이므로
직선의 기울기(S) = (1.87-5.67)/(0.00360-0.00283)=-4935.1이고
mol당 증발열을 구해보면
물의 증발열 = = K/mol
= = 16.7 KJ/mol
임을 알 수 있고 이 값은 물의 몰증발열을 나타낸다. 몰증발열이란 액체 1몰을 기체로 완전히 증발시켜 기체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80도에서 온도가 5도 내려갈 때 마다 공기의 부피를 측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온도의 측정과정, 그리고 부피의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만약 눈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닌 정확게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 측정을 했다면 더 정확한 증기압과 증발열을 측정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계통적 오차에는 온도계 보정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온도계를 사용하는 실험에서는 보통 온도계를 보정시키고 실험을 해야 정확한 온도값을 얻을 수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온도계 보정을 하지 않고 실험했기 때문에 비교적 덜 정확한 온도를 얻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일반 화학 실험(서울시립대학교 교양화학)
PH20 = + C 이고,
여기서 그래프의 기울기는 이므로
직선의 기울기(S) = (1.87-5.67)/(0.00360-0.00283)=-4935.1이고
mol당 증발열을 구해보면
물의 증발열 = = K/mol
= = 16.7 KJ/mol
임을 알 수 있고 이 값은 물의 몰증발열을 나타낸다. 몰증발열이란 액체 1몰을 기체로 완전히 증발시켜 기체로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80도에서 온도가 5도 내려갈 때 마다 공기의 부피를 측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온도의 측정과정, 그리고 부피의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만약 눈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닌 정확게 측정할 수 있는 기구로 측정을 했다면 더 정확한 증기압과 증발열을 측정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계통적 오차에는 온도계 보정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온도계를 사용하는 실험에서는 보통 온도계를 보정시키고 실험을 해야 정확한 온도값을 얻을 수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온도계 보정을 하지 않고 실험했기 때문에 비교적 덜 정확한 온도를 얻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일반 화학 실험(서울시립대학교 교양화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