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방법
5. 실험 결과
6. 실험 고찰
7. 참고 문헌
2. 이론
3. 기구 및 시약
4. 방법
5. 실험 결과
6. 실험 고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도는 1이 되고, T와 P는 어떤 함수 관계로 연결되어 T가 변하면 p도 거기에 따라 변한다. 또한 3상이 공존하면 자유도는 0이 되고 p 및 T는 일정값으로 정해져 버린다. p 및 T를 직교축으로 하여 이 계를 나타내면 1상만의 상태는 이 평면상에 있고, 2상 공존의 상태는 평면상의 한 곡선상에 존재하고, 3상 공존 상태는 평면상이 한 정점에만 존재한다. 또한 독립 성분의 수를 구하는 데에는 겉보기의 성분수에서 평형 관계와 당량 관계의 수를 빼지 않으면 안 된다. 상의 규칙은 상변화, 조해, 풍해 그 밖의 분해 반응, 재결정, 분별 증류 등의 이론적 배경을 이루는 것이다. 단, 상의 규칙은 다른 열역학적 법칙과 마찬가지로 변화의 속도에 대해서는 아무런 단서도 주지 않는다.
*삼각좌표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 A, B와 그 두 액체와 모두 섞이는 액체 C가 있다고 하면 A, B의 혼합액에 일정량의 C를 섞어서 A와 B를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옆의 삼각도표를 이용하면 A와 B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C의 양에 대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곡선을 통해 특정 온도에서 A, B, C의 조성과 상태를 알 수 있다. 꼭지점은 순수하게 각 액체 A, B, C만 있는 상태이다. 삼각형의 100등분한 변은 두 가지 액체가 섞여있는 용액의 조성을 나타낸다.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의 조성을 설정하고 두 액체를 섞이게 하는 액체 C를 넣어 두 액체가 섞이는 순간의 액체 C의 비율을 삼각형 내부에 찍어 연결하면 용해도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이 삼각도표를 돌려서 이용하면 액체가 분리되는 순간도 알 수 있다.
*삼각좌표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 A, B와 그 두 액체와 모두 섞이는 액체 C가 있다고 하면 A, B의 혼합액에 일정량의 C를 섞어서 A와 B를 완벽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옆의 삼각도표를 이용하면 A와 B의 조성에 따라 필요한 C의 양에 대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곡선을 통해 특정 온도에서 A, B, C의 조성과 상태를 알 수 있다. 꼭지점은 순수하게 각 액체 A, B, C만 있는 상태이다. 삼각형의 100등분한 변은 두 가지 액체가 섞여있는 용액의 조성을 나타낸다.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의 조성을 설정하고 두 액체를 섞이게 하는 액체 C를 넣어 두 액체가 섞이는 순간의 액체 C의 비율을 삼각형 내부에 찍어 연결하면 용해도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이 삼각도표를 돌려서 이용하면 액체가 분리되는 순간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