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안락사의 유형
2. 안락사에 대한 견해
3. 안락사 논쟁의 근거
4. 안락사 합법화시 발생 가능한 문제
1. 안락사의 유형
2. 안락사에 대한 견해
3. 안락사 논쟁의 근거
4. 안락사 합법화시 발생 가능한 문제
본문내용
해방, 여성해방, 가족의 약화, 동성애의 인정 등은 모두 개인의 권리가
극도로 추구된 결과이다.
안락사는 스스로 죽음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한 결정권으로 간주된다.
안락사 선택은 적극적인 권리행사를 통한 개인의 해방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스스로 선택한 길에의 속박” 이라는 성격과, 다른 한편으로는 극도의 개인주의 문화 속에서 죽는 순간을 감당하지 못해 이루어진 강제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례 - 네덜란드의 어느 35세 연인은 다발성 경화증에 걸린 후 안락사했다. 그녀의 남편은 요양소에서 홀로 죽음을 기다리는 삶,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삶, 밖으로부터 결정된 삶은 당연히 무의미함으로 안락사밖에 없었다고 아내의 안락사를 정당화했다.
◆ 의료기술과 안락사 선택의 관계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는 기계에 의해 생명을 연장 받는다.
㉠ 만약 기계가 정지하면 인간도 정지하기 때문에,
인간이 기계의 통제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 의사들은 기계의 의존한 집중적인 치료가
환자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끔찍한 고문처럼 느껴질 수 있다고 말한다.
기계를 통한 생명연장은 흔히 환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의 선택이 배제된 채 이루어지지만, 환자가 의식이 있고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고 있는 경우 기계를 거부할 수도 있다.
소극적 안락사란 보통 기계에만 의존해서 생명을 연장하는 중환자에게서 기계를 떼어냄으로써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한다. 안락사라는 표현이 들어가기는 했지만 자연사도 소극적 안락사의 범주에 들어간다.
4. 안락사 합법화시 발생 가능한 문제
의식불명으로 장기간 누워 있는 환자, 중증장애인, 시한부 환자, 요양소의
노약자를 치료하거나 돌보는 데 소용되는 사회적 비용을 안락사로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수있다.
개인이 치료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국가재정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큰 압력이 가해질수 있다.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의식이 줄어들어서 사회속의
삶이 점점 더 거칠어질 수 있다.
사회적으로 쓸모 없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 들여질 수도 있다.
<참고문헌>
* 구영모 “생명의료윤리” (동녘 2004)
* 이필렬,조경만 공저 “생명과 환경” (2003)
* 이필렬,최경희,송성수 “과학 우리 시대의 교양” (세종서적 2006)
극도로 추구된 결과이다.
안락사는 스스로 죽음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한 결정권으로 간주된다.
안락사 선택은 적극적인 권리행사를 통한 개인의 해방이 아니라, 한편으로는 “스스로 선택한 길에의 속박” 이라는 성격과, 다른 한편으로는 극도의 개인주의 문화 속에서 죽는 순간을 감당하지 못해 이루어진 강제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례 - 네덜란드의 어느 35세 연인은 다발성 경화증에 걸린 후 안락사했다. 그녀의 남편은 요양소에서 홀로 죽음을 기다리는 삶, 자기실현이 불가능한 삶, 밖으로부터 결정된 삶은 당연히 무의미함으로 안락사밖에 없었다고 아내의 안락사를 정당화했다.
◆ 의료기술과 안락사 선택의 관계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는 기계에 의해 생명을 연장 받는다.
㉠ 만약 기계가 정지하면 인간도 정지하기 때문에,
인간이 기계의 통제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 의사들은 기계의 의존한 집중적인 치료가
환자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그것이 끔찍한 고문처럼 느껴질 수 있다고 말한다.
기계를 통한 생명연장은 흔히 환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의 선택이 배제된 채 이루어지지만, 환자가 의식이 있고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자각하고 있는 경우 기계를 거부할 수도 있다.
소극적 안락사란 보통 기계에만 의존해서 생명을 연장하는 중환자에게서 기계를 떼어냄으로써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한다. 안락사라는 표현이 들어가기는 했지만 자연사도 소극적 안락사의 범주에 들어간다.
4. 안락사 합법화시 발생 가능한 문제
의식불명으로 장기간 누워 있는 환자, 중증장애인, 시한부 환자, 요양소의
노약자를 치료하거나 돌보는 데 소용되는 사회적 비용을 안락사로 해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수있다.
개인이 치료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국가재정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큰 압력이 가해질수 있다.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의식이 줄어들어서 사회속의
삶이 점점 더 거칠어질 수 있다.
사회적으로 쓸모 없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 들여질 수도 있다.
<참고문헌>
* 구영모 “생명의료윤리” (동녘 2004)
* 이필렬,조경만 공저 “생명과 환경” (2003)
* 이필렬,최경희,송성수 “과학 우리 시대의 교양” (세종서적 2006)
추천자료
(생명윤리)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종교적 측면 등 다방면 찬반논의)
윤리적.도덕적 관점에서의 안락사논쟁
낙태와 안락사
[안락사]사회복지 실천론
현대사회와 윤리-안락사
[법학] 안락사의 의의와 외국의 입법례 및 도입배경
(소극적)안락사에 찬성하는 주장모음(7개)
[법학개론]안락사의 찬반 논쟁에 관한 고찰(A+리포트)
존엄사(안락사) 인정에 대한 찬반논쟁과 과제
『안락사(Euthanasia)』에 대하여 (카렌 퀸란 & 낸시크루잔 사례)
그리스도교 윤리-안락사에 대해서
낙태와 안락사
2012_제9강 안락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