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10점) 2.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차이, 종양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3. 혈액응고과정의 3단계 (10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10점) 2.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차이, 종양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3. 혈액응고과정의 3단계 (10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를 설명하고, 면역계 질환 중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사례를 설명하시오. (10점)

2.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으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10점)

3. 혈액응고과정의 3단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DIC 관련 혈액검사,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DIC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0점)

본문내용

위를 시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잇몸에서의 출혈이나 코피가 쉽게 나고, 성욕이 감퇴 되거나 여성인 경우에는 월경이 없어지기도 한다. 얼굴이 흑갈색으로 거칠어진다든지 눈 흰자위에 황달 이 나타나거나, 주로 뺨에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보일 수도 있다. 목이나 가슴에는 거미줄 모양으로 혈관종이 생기고, 액와의 탈모가 일어나거나 남성의 유방이 여성이 유방처럼 돌출되기도 하며, 고환이 위축되기도 한다. 손바닥이나 발바닥의 혈관이 확장되어 벌겋게 보이거나 치질로 고생하는 경우도 많다. 간세포 기능장애는 위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더욱 심해지는 것이 보통이나, 이러한 증상 없이 지내다가 합병증이 생겨서야 비로소 간의 이상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 수가 많다. 합병증은 간의 구조가 파괴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혈액순환이 안되어 간에 혈액을 공급하는 문정맥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생기게 된다.
3. 혈액응고과정의 3단계,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DIC 관련 혈액검사,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DIC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0점)
조직손상에 대한 생체의 보호기능으로 혈액응고 반응이 나타난다. 세포손상은 생체를 보호하기 위해 일련의 화학적 반응이 시작된다. 세포손상으로 트롬보플라스틴이 형성되고, 이는 칼슘의 존재 하에 프로트롬빈에 작용하여 트롬빈을 형성한다. 트롬빈은 혈장내 단백질의 일종인 섬유소원에 작용하여 섬유소를 생성하는데 이 섬유소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을 서로 얽히게 하는 그물모양의 물질이다.
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DIC 관련 혈액검사, 사용 약물의 약리작용과 부작용, DIC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IC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병리적 상태는 저산소증, 산혈증, 조직괴사, 내독소로 인한 쇼크, 세포내 손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된 상태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장애나 질병은 수없이 많다.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
① 감염
② 신생물(예: promyelocytic 백혈병)
③ 면역장애(예: 수혈부작용)
④ 광범위한 조직손상(예: 화상, 심한 외상)
⑤ 뱀에 물린다거나 거대혈관종(giant hemangioma) 같은 기타 장애들이다.
영아나 아동에 있어서 DIC의 가장 공통된 원인은 전격성 세균성 패혈증성 쇼크와 심한 호흡부전, 산재성 바이러스와 심한 두부손상이다.
DIC는 응고과정의 첫 단계에서 비정상적인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 DIC가 발생한다 해도 그 결과가 어떠한지 명확하게 정의된 것은 없지만, 두 가지 양상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응고기전이 순환 시에 발생하도록 유도가 될 때에는 신체가 감당해낼 수 있는 양 이상으로 대량의 트롬빈이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섬유소원(fibrinogen), 즉 혈액을 응고시키는 단백질이 급속도로 섬유소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생기고, 이 단계에서 응혈 및 혈소판 파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혈관에 섬유소가 국소적이든 넓은 범위든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조직이 파괴되며 괴사하게 된다. 두 번째는 섬유소용해 기전이 활성화되는데 이때 대량의 응고 인자를 파괴하게 된다. 응고인자 결핍증을 앓고 있는 아동의 경우, 통제할 수 없을 정도의 출혈현상이 발생하여 중요한 장기 기관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부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적혈구 손상 및 용혈 현상이다.
DIC는 출혈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일 때, 의심해볼 수 있는 질병이다. 혈액 검사를 통해 프로트롬빈시간, 부분 트롬보플라스틴시간, 트롬빈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혈소판수의 급격한 감소, 파괴된 RBCs, fibrinogen, 인자 Ⅴ와 인자Ⅷ 수준은 낮게 나타난다.
DIC에 대한 치료는 원인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며, 대개의 경우 응고 문제점을 치료하게 된다. 대증요법이 급성기에는 필요하다. 전혈이나 농축적혈구는 혈량 저하나 쇼크의 치료에 필요하다. 신선한 냉동 혈장이나 cryoprecipitate는 소아 혈장의 항상성 회복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Heparin 요법은 논란의 여지가 많으나 혈전으로 인한 심한 조직 또는 기관괴사의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혈액장애에서 heparin의 주입은 모순적인 것 같다. DIC아동에서의 heparin 사용은 thrombin과 기타 다른 응고인자의 불활성화에 의해서 heparin이 응고과정을 방해하고 섬유소 용해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혈과 혈전형성도 감소된다. DIC인 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은 응고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의 결과에 달려 있다.
DIC에 관한 전체 임상양상을 보이는 아동은 심한 경우이고 이런 경우는 중환자실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부모가 아동과 함께 있을 때는 간호사는 가장 최근에 일어난 변화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간호사는 아동에게 직접 또는 주위에서 사용될 기구에 대해 어느 것이든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부모들은 때때로 치료의 기술적 측면에 민감하게 되어 아동보다 시설에 더 초점을 둘 수도 있다. 이것이 자식의 생명에 대하여 통제를 할 수 있는 부모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부모들을 낙담시켜서는 안 된다.
간호사의 주된 책임은 DIC를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의 상태를 알아차리고 출혈의 징후를 재빨리 사정하여 보고하는 데 있다. 초기의 의학적 중재는 가끔 전격성으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참고 자료
강화정, 기초간호과학, 수문사, 2010.
쿠라모치 츠네오 김태식 역, 복합 면역요법, 건강신문사, 2011
타다 토미오, 황상익 역, 면역의 의미론, 한울, 2010
김명희, 김옥숙 외 3명 저, 종양환자 간호 (성인간호 실무교육), 수문사, 201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제4판. 현문사, 2008.
최명애, 조남옥, 기초간호과학, 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아보 토오루 , 정지문 역, 21C 면역과 건강, 신일상사, 2004
박양진, 인간혈액응고인자 Ⅶ (FⅦ)의 EGF2-Catalytic Domain 재조합에 관한 연구, 건양대 대학원, 2010.
  • 가격1,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3.19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5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