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식 혈액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bo식 혈액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BO 혈액형에 대한 역사적 고찰

2. ABO 및 H 계통 항원

3. A, B 및 H항원의 유전과 발달

4. ABO 아형

5. ABO 계통 항체

§ MNS식 혈액형

1. M 및 N 항원

2. 유전학 및 생화학

3. MNS 혈액형 계통의 항체

§ Reference

본문내용

나의 유전자는 M 또는 N의 유전정보를 갖고 있고, 다른 것은 S 또는 s의 유전정보를 갖고 있다. 유전자 GYPA 및 GYPB 는 각각 글리코포린 A (glycophorin A, GPA) 및 글리코포린 B(GPB)에 유전정보를 갖고 있다. GPA는 M과 N 항원에 대한 유전정보를 갖고 있으며, GPB는 S와 s에 대한 유전정보를 갖고 있다.
MNS 혈액형 계통의 항원은 당단백질이며, 주요 당은 시알산(sialic acid)이다. 따라서 막구조를 시알로당단백질(sialoglycoprotein)이라고 한다. MN 시알로당단백질(GPA)과 Ss 시알로당단백질(GPB)의 항원구조는 유사하다. 다만 이들은 아미노산 배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1) GPA : M 및 N 항원
M과 N 항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GPA는 총 131개의 아미노산으로 수성되며, 총 13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그중 72개는 세포막 바깥에 있다.
② M과 N항원은 1번과 5번의 아미노산이 서로 다르다. M항원의 1번과 5번 아미노산은 각각 세린가 글리신이며, N항원은 루신과 글루탐산이다.
③ 동형접합상태[(M+N-)또는 (M-N+)]로 M이나 N이 유전되면 항원 발현의 강도가 매우 증대된다(유전자량 효과).
2) GPB : S,s 및 U 항원
S,s 및 U항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GPB는 총 7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그중 43개는 세포막 바깥에 있다.
② S와 s항원은 29번 아미노산이 서로 다르다. S 항원은 메티오닌이고 s항원은 트레오닌이다.
③ U항원은 막 근처에 위치하며, S와 s가 유전될 때 항상 나타난다.
④ GPB 발현이 없거나 변동되며 적혈구 표현형이 S-s-U로 된다.
3. MNS 혈액형 계통의 항체
MNS 계통에 포함된 항원에 대한 항체는 임상적 의의와 혈청학적 성질이 다양하다. MNS계통의 항체 특성은 표 3에 요약하였다.
항 체
면역글로불린
임상적 의의
피신의 효과
특성
M
IgM*
없음
제거됨
HDN 또는 HTR의 원인으로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동형접합의 세포와 더 강하게 반응한다.
N
IgM
없음
제거됨
약함, 한랭반응성
S
IgG
있음
변동
s
IgG
있음
변동
U
IgG
있음
저항
모든 S+ 또는 s+적혈구와 반응한다. U-음성세포는 흑인에서만 발견된다.
*HDN, 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 HTR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 *때때로 환전히 IgM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IgG일 수 있다.
1) 항M
항M(anti-M)의 성분은 IgM과 IgG이다. 항M은 자연적으로 나타나며 임상적으로 유의성이 없느 것으로 밝혀졌다. 가온후에 항글로불린단계Dp서 반응하는 항M의 경우는 임상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항M은 HDN과 거의 관련되어 있지 않다. 항M은 보존제의 pH 때문에 패널셀(동정혈구)이나 스크리닝셀(선별혈구)와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할지도 모른다.
2) 항N
항N(anti-N)은 임상적으로 유성이 없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는 IgM 한랭반응성 항체이다.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멸균처리된 튜석막을 사용하는 투석환자에서 N-유사항체가 더 자주 발견된다. 하지만 이러한 N-유사항체도 임상적으로 유의성은 없다.
3) 항S, 항s, 항U
항S, 항s, 및 항U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IgG 항체로서 적혈구의 생존율을 감소시키고 HDN을 일으킬 수 있다. 항S나 항s가 만들어진 환자에 대해 적합한 혈액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미국 백인의 경우 S와 s 항원 빈도는 각각 55%와 89%이다. U항원은 백인의 99.9, 흑인의 99%에서 발견되는 매우 빈도가 높은 항원이다. 항U는 드물지만 이전에 수혈이나 임신경험이 있는 흑인의 혈청에서 발견되곤 한다. 항U가 존재할 가능성은 S-와 s-인 사람에서 나올 수 있다.
§ Reference
1. 김인식 외 10명,『수혈검사학』,청구문화사, 2007.2.20
2. Alberts,『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4th edition』. Garland Science, 2002
3. Cynthia Herbrandson, “Lear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http://academic.kellogg.cc.mi.us/herbrandsonc/bio201_McKinley/Cardiovascular%20System.htm#resources, 2005. 10
  • 가격4,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3.26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