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서 암질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
@RMR분류방법 :1)암석의 일축압축강도 2)RQD 3)불연속면간격 4)불연속면 상태 5)지하수상태
@SMR :RMR+(F1*F2*F3)+F4 *F1: 암반사면의 경사방향과 불연속면 경사방향과의 차이각의 절대값 F2: 평면파괴 형태에서의 불연속면의 경사각과 관련된 요소로 불연속면의 전단거동 가능성의 척도 1~0.15 전도파괴는 1 F3 : 사면과 불연속면의 경사각의 차이값 10도이상 차이 불안정 F4 :사면의 출착방법에 따라 변하는 보정값 잘못된 발파의 경우 -8값이된다.
@사면 붕괴형태 *원호파괴: 순수암반에서의 원호파괴는 흔히 발생하는 유형은 아니나 분리면 발달빈도가 극히높거나 파쇄대 등에서 발생할수 있다. *평면파괴 1)활동면은 절취사면에 평행하며 경사방향이 오차20도이내이여야한다. 2) 파괴활동면은 반드시 노출되어있어야한다. 경사각은 사면경사보다 작아야한다. 3)파괴 활동면은 측방에 이완부를 가져야한다. *쐐기파괴 :사면경사>교선 경사각>불연속면의 마찰각 일 때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생기는 파괴이다. *전도파괴 조건은 불연속면의 주향과 사면의 주향은 30도 이내 암괴의 회전으로 도미노와 같이 전도되어 파괴됩니다.
@RMR분류방법 :1)암석의 일축압축강도 2)RQD 3)불연속면간격 4)불연속면 상태 5)지하수상태
@SMR :RMR+(F1*F2*F3)+F4 *F1: 암반사면의 경사방향과 불연속면 경사방향과의 차이각의 절대값 F2: 평면파괴 형태에서의 불연속면의 경사각과 관련된 요소로 불연속면의 전단거동 가능성의 척도 1~0.15 전도파괴는 1 F3 : 사면과 불연속면의 경사각의 차이값 10도이상 차이 불안정 F4 :사면의 출착방법에 따라 변하는 보정값 잘못된 발파의 경우 -8값이된다.
@사면 붕괴형태 *원호파괴: 순수암반에서의 원호파괴는 흔히 발생하는 유형은 아니나 분리면 발달빈도가 극히높거나 파쇄대 등에서 발생할수 있다. *평면파괴 1)활동면은 절취사면에 평행하며 경사방향이 오차20도이내이여야한다. 2) 파괴활동면은 반드시 노출되어있어야한다. 경사각은 사면경사보다 작아야한다. 3)파괴 활동면은 측방에 이완부를 가져야한다. *쐐기파괴 :사면경사>교선 경사각>불연속면의 마찰각 일 때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생기는 파괴이다. *전도파괴 조건은 불연속면의 주향과 사면의 주향은 30도 이내 암괴의 회전으로 도미노와 같이 전도되어 파괴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