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이란?
2. 정보처리이론의 교육적 함의
3. 정보처리이론 의의
4. 정보처리이론의 비판점
5.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을 논의하기에 앞서
6. 멀티미디어 학습의 개념
7. 멀티미디어 학습의 긍정적 측면
8. 멀티미디어 학습의 부정적 측면
결론
참고문헌
1. 참고서적
2. 학술논문
3. 참고 사이트
본론
1.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이란?
2. 정보처리이론의 교육적 함의
3. 정보처리이론 의의
4. 정보처리이론의 비판점
5.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을 논의하기에 앞서
6. 멀티미디어 학습의 개념
7. 멀티미디어 학습의 긍정적 측면
8. 멀티미디어 학습의 부정적 측면
결론
참고문헌
1. 참고서적
2. 학술논문
3.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의 전달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적 과정의 학습이 강조 되어 져야 하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교사 또는 학생들과 눈을 마주하며 보이지 않는 감정의 교류를 통하여 서로를 격려하고, 동기를 유발시키고, 자신감을 갖게 됨으로써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경험에 의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적인 접촉기회의 상실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의 활용 방법이나 정보의 수집 방법, 또는 자료의 검색 과정에서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고 격려하는 과정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교육적 활용도에 따른 평가 준거가 미약하다. 임선빈(1998), 학습환경으로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연구 제32집, 97-124.
멀티미디어를 통하여 실제로 수업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지에 대한 분석과 검토 또한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효과가 있다 하여 무분별하게 시행하는 일은 위험하다. 그러므로 실제 교육 환경에서 분석과 검토를 통하여 같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어느 부분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 및 평가 준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4)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사용해 멀티미디어 수업을 설계하는 경우 흔히 범할 수 있는 오류 가운데 하나는 물리적인 피드백에 대한 매체 자체의 결함 때문에 길을 잃고 자신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몰라 당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진전 상태를 판단하지 못한다거나 컴퓨터 상에서의 결정이 사용자의 수준에 맞지 않는 수도 있다. 이 같은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매체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한다거나 설계자들이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야 한다.
결 론
지금까지 정보처리 이론과 멀티 미디어 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멀티 미디어 학습은 인지주의적 측면에서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도록 도와 유의미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 처리 과정에서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적절한 결합을 꾀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 처리 경로에 부담을 준다거나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인간 접촉을 결여 하는 점, 멀티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 제대로 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준거가 미약하다는 점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몇 가지 부정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 멀티미디어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은 조원들 모두가 논의 과정에서 공감하였으며 실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환경도 꾸준히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권충훈, 2005)
정보의 양을 적절히 조정하고 학습할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활용해 교사가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을 구성을 하면 부정적인 측면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교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공 분야의 지식 이외에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과과정의 개선과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김태형 외(1999), 교육정보화를 위한 원격 컴퓨터교육;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공업계 학교 교육의 개선방향,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2권 3호, 67-76.
학생들이 단순히 마우스를 클릭하는 수동적인 형태의 단순한 상호작용의 제시에서 벗어나 탐구와 발견, 사고 그리고 문제 해결이 풍부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의 전환과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설계를 통해 단조로움을 줄여야 한다. 다양함과 참신함이 없으면 쉽게 흥미를 잃고 집중도가 약해지게 된다. 또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까지 고려한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보다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파악하고 있는 현장 교사가 멀티미디어 자료개발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교육이 더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김해룡(1997),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권 1호, 106-119.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수업은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이며 더욱 보편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수업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개선 과정을 통해 올바른 멀티미디어 학습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참고서적
- Paul Eggen, Don Kauchak(2006), 교육심리학-교육 실제를 보는 창, 학지사
- 권대훈(2009),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 김아영 외(2007), 교육심리학 제10판, 박학사
- 김형태(1999), 교육의 심리적 이해, 동문사
2. 학술논문
- 이신동(1994), 정보처리 이론의 한계와 신경망 이론, 교육문제연구 제6집
- 권충훈(2005),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콘텐츠의 인지 심리학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5호 (2005. 10) pp.273-280
- 김영환(1998), 학습용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인지 심리학, 한국 심리학회 세미나 1998호
- 서울 대학교 인지 학습 연구회; 대표저자 신종호(2008), 잠재 능력의 개발 연구로 본 교육 심리학-멀티미디어 학습과 다다익선의 함정, 학지사
- 임선빈(1998), 학습환경으로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연구 제32집, 97-124.
- 김태형 외(1999), 교육정보화를 위한 원격 컴퓨터교육;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공업계 학교 교육의 개선방향,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2권 3호, 67-76.
- 김해룡(1997),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권 1호, 106-119.
3. 참고 사이트
-사라진 등굣길 책가방? e-교과서 시대 열린다, ebuzz, 2010-11-10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6588#ixzz17L3hw26B)
3) 교육적 활용도에 따른 평가 준거가 미약하다. 임선빈(1998), 학습환경으로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연구 제32집, 97-124.
멀티미디어를 통하여 실제로 수업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지에 대한 분석과 검토 또한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효과가 있다 하여 무분별하게 시행하는 일은 위험하다. 그러므로 실제 교육 환경에서 분석과 검토를 통하여 같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어느 부분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 및 평가 준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4)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사용해 멀티미디어 수업을 설계하는 경우 흔히 범할 수 있는 오류 가운데 하나는 물리적인 피드백에 대한 매체 자체의 결함 때문에 길을 잃고 자신이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몰라 당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들의 진전 상태를 판단하지 못한다거나 컴퓨터 상에서의 결정이 사용자의 수준에 맞지 않는 수도 있다. 이 같은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매체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한다거나 설계자들이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야 한다.
결 론
지금까지 정보처리 이론과 멀티 미디어 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멀티 미디어 학습은 인지주의적 측면에서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도록 도와 유의미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 처리 과정에서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적절한 결합을 꾀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 처리 경로에 부담을 준다거나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인간 접촉을 결여 하는 점, 멀티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에 제대로 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준거가 미약하다는 점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몇 가지 부정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 멀티미디어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은 조원들 모두가 논의 과정에서 공감하였으며 실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환경도 꾸준히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권충훈, 2005)
정보의 양을 적절히 조정하고 학습할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활용해 교사가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을 구성을 하면 부정적인 측면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교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공 분야의 지식 이외에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과과정의 개선과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김태형 외(1999), 교육정보화를 위한 원격 컴퓨터교육;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공업계 학교 교육의 개선방향,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2권 3호, 67-76.
학생들이 단순히 마우스를 클릭하는 수동적인 형태의 단순한 상호작용의 제시에서 벗어나 탐구와 발견, 사고 그리고 문제 해결이 풍부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의 전환과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설계를 통해 단조로움을 줄여야 한다. 다양함과 참신함이 없으면 쉽게 흥미를 잃고 집중도가 약해지게 된다. 또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까지 고려한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보다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을 파악하고 있는 현장 교사가 멀티미디어 자료개발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교육이 더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김해룡(1997),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권 1호, 106-119.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수업은 더욱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이며 더욱 보편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수업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개선 과정을 통해 올바른 멀티미디어 학습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참고서적
- Paul Eggen, Don Kauchak(2006), 교육심리학-교육 실제를 보는 창, 학지사
- 권대훈(2009),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 김아영 외(2007), 교육심리학 제10판, 박학사
- 김형태(1999), 교육의 심리적 이해, 동문사
2. 학술논문
- 이신동(1994), 정보처리 이론의 한계와 신경망 이론, 교육문제연구 제6집
- 권충훈(2005),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콘텐츠의 인지 심리학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5호 (2005. 10) pp.273-280
- 김영환(1998), 학습용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인지 심리학, 한국 심리학회 세미나 1998호
- 서울 대학교 인지 학습 연구회; 대표저자 신종호(2008), 잠재 능력의 개발 연구로 본 교육 심리학-멀티미디어 학습과 다다익선의 함정, 학지사
- 임선빈(1998), 학습환경으로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연구 제32집, 97-124.
- 김태형 외(1999), 교육정보화를 위한 원격 컴퓨터교육;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공업계 학교 교육의 개선방향,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2권 3호, 67-76.
- 김해룡(1997),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권 1호, 106-119.
3. 참고 사이트
-사라진 등굣길 책가방? e-교과서 시대 열린다, ebuzz, 2010-11-10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6588#ixzz17L3hw26B)
추천자료
환경교육의 개념, 성격, 목적과 환경교육의 교수학습유형과 교수학습방법, 현장체험환경교육...
WBI(웹기반교육, 웹기반수업,학습) 특성과 유용성, WBI(웹기반교육, 웹기반수업,학습) 가능성...
교육기자재(학습기자재, 교육기기) 의의와 종류, 교육기자재(학습기자재, 교육기기) CD-ROM과...
체육과 영상평가, 줄넘기 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체육과 좌전굴(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측정...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학습)의 의미와 특징, 인터넷활용수업(인터넷활용...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의 의미와 영역,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필요성,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교육,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특징,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
[ICT]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교수학습유형, ICT활용교육(정보통신기술)의 교수학습환경...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수업, 인터넷활용교육)의 특징과 중요성,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
E-Learning(이러닝)의 가치, E-Learning(이러닝)의 성격, 블랜디드러닝(혼합형학습)의 개념, ...
[원격교육]원격화상학습(원격화상교육, 원격화상수업)과 원격교육, 원격화상학습(원격화상교...
[독해력][독해력 개념][독해력과 독해지도][독해력과 읽기학습][학습장애아 사례][독해력 학...
효율적인 사이버학습 운영전략을 제시하고 사이버학습의 장단점을 4가지 이상 기술 : 사이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