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유 등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존경은 명성, 수용, 주목, 평판, 영광과 명예를 말한다. 다른 사람이 소중하게 대해 주는 데서 생기는 자존감이 일차적이다. 사실상 다른 사람이 자신을 귀하게 여겨주지 않는 다면 자기자신을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기 어렵다. 자존의 욕구 충족은 자신감, 가치, 힘, 능력을 갖게 하며, 이 욕구의 좌절은 열등감, 무력감을 낳는다.
(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성취하고 싶은 욕구이다. 자신의 본성에 충실 하는 것인 자아실현 욕구의 구체적인 형태는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에게는 이상적인 어머니가 되고 싶은 소망의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는 운동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람에게는 화가가 되는 것이다.
2) 브래드 쇼가 정의한 욕구
브레드 쇼는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라 욕구를 규범적 욕구, 체감적 욕구, 표현적 욕구, 비교적 욕구로 구분한다.
첫째, 규범적 욕구이다. 이는 전문가들이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어떤 수준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규범을 정하고 이 규범과 현재 상태와의 차이에 의해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정부나 사회학자들이 연구와 조사를 통해 밝혀진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최소한의 소득을 기준으로 그 기준에 미달하는 사람은 소득욕구가 있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체감적 욕구이다. 이는 표적 집단의 성원들이 누구보다 자신의 욕구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표적 집단성원들에게 그들의 욕구 종류와 상태에 관해 직접 질문하거나 지역사회공개토론회를 통하여 이에 관해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특정 사회복지관에 다니는 대상 집단을 상대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설문, 면접,
서베이 조사 등을 통해 확인된 욕구를 들 수 있다.
셋째, 표현적 욕구이다. 이는 체감적 욕구가 행동으로 전환된 것, 즉 요구로서 표적 집단의 의사가 실제 외부로 표현되거나 행위로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대기자 명단에 많은 사람들이 올려져 있다면 그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많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넷째, 비교적 욕구이다 이는 동일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 간의 서비스 수혜 여부를 비교하여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처지에 있는 노인들이 어떤 노인은 요양보호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다른 노인은 요양보호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다면 그 다른 노인은 욕구가 있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성취하고 싶은 욕구이다. 자신의 본성에 충실 하는 것인 자아실현 욕구의 구체적인 형태는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에게는 이상적인 어머니가 되고 싶은 소망의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는 운동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람에게는 화가가 되는 것이다.
2) 브래드 쇼가 정의한 욕구
브레드 쇼는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라 욕구를 규범적 욕구, 체감적 욕구, 표현적 욕구, 비교적 욕구로 구분한다.
첫째, 규범적 욕구이다. 이는 전문가들이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어떤 수준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규범을 정하고 이 규범과 현재 상태와의 차이에 의해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정부나 사회학자들이 연구와 조사를 통해 밝혀진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최소한의 소득을 기준으로 그 기준에 미달하는 사람은 소득욕구가 있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체감적 욕구이다. 이는 표적 집단의 성원들이 누구보다 자신의 욕구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표적 집단성원들에게 그들의 욕구 종류와 상태에 관해 직접 질문하거나 지역사회공개토론회를 통하여 이에 관해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특정 사회복지관에 다니는 대상 집단을 상대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설문, 면접,
서베이 조사 등을 통해 확인된 욕구를 들 수 있다.
셋째, 표현적 욕구이다. 이는 체감적 욕구가 행동으로 전환된 것, 즉 요구로서 표적 집단의 의사가 실제 외부로 표현되거나 행위로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대기자 명단에 많은 사람들이 올려져 있다면 그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많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넷째, 비교적 욕구이다 이는 동일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 간의 서비스 수혜 여부를 비교하여 파악된 욕구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처지에 있는 노인들이 어떤 노인은 요양보호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다른 노인은 요양보호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다면 그 다른 노인은 욕구가 있다고 간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