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본문내용
- Coordination - Manipulates
- Flows - Moves - Transports - Lifts
- Calibrates - Grips - Endures - Paces
② 처리기술(Process Skills)- 20item: 과제수행 중에 다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목적 지향적인 행동으로 도구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행을 조직화하기,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잘 대응하기를 포함.
- Paces - Attends - Chooses - Uses
- Handles - Heeds - Inquires - Initiates
- Continues - Sequences - Terminates - Searches/Locates
- Gathers - Organizes - Restores - Navigates
- Notices/Responds - Accommodates - Adjusts - Benefits
평가 방법: 과제를 결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인터뷰-> ADL 과제 2, 3개를 선택하고 관찰-> 관찰한 것을 운동 및 처리기술 항목에 의해 채점-> 채점한 것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종 보고서를 작성-> AMPS 결과를 해석하고 치료계획을 입안. 각 항목당 점수는 각 기술을 4점 척도로 채점한다.
* 4 = 유능한 수행 (competent performance)
* 3 = 의문스러운 수행 (questionable performance)
* 2 = 비효율적인 수행 (ineffective performance)
* 1 = 받아들일 수 없는 수행 (unacceptable performance)
도구의 장점
- 작업치료를 위한 평가도구이다
- 표준화된 평가도구이다
- 각 개인이 자기에게 있어 의미 있는 수행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있다.
-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으며 어떤 환경 setting 안에서도 30-40분 안에 실시할 수 있다
- 평가대상자가 다양하다
도구의 단점
- 장애의 진단 명에 따른 평가가 아니다
- 3세 이하 그리고 간단한 ADL에도 참여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 반드시 컴퓨터채점처리를 필요로 한다.
신체기능 사정 시 주의할 점
■ 신체기능을 심리, 사회적 기능과 실제로 분리시키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즉 환자의 기능제한은 단순한 환자 역할에 대한 바램 일 수도 있고 특정 신체기능을 수행시는 능력보다는 동기조성이나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또 환경 자체가 기능수행을 허용하지 않을 때 기능측정이 일정 가정 위에서 행해지며 이 경우는 조사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신체기능의 사정시는 이러한 문제들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 측정도구에 의한 신체기능 사정의 결과는 흔히 일치하지 않으며 동일한 신체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표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측정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측정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노인에 대해서는 신체, 사회, 정신적 측면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측정을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변수들이 포함된다. 때문에 이런 광범위한 접근은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비용과 시간의 소모가 많이 환자에게 부담감을 줄 수 있다.
여러 정보가 겹쳐 나타남으로써 중요한 문제와 사소한 문제 사이의 구별이 흐려질 수도 있다.
자신과 명확한 관련이 없는 항목조사가 상세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노인대상자가 쉽게 호응하지 않을 수 있다.
대상자가 신체적으로 쇠약하거나 조사에 동의를 표할 수 없는 지적능력 상실자일 경우는 윤리적인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광범위한 관련개념을 포괄하는 도구는 세밀화되기 어렵다.
■ 신체, 정신, 정서적 기능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적에 따라 개념을 분리시켜 측정할 필요가 있다.
■ 도구 선택은 위의 이유처럼 대상자와 목적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지만, 대상자의 규모 즉, 개인이냐 집단이야 하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집단의 건강정도는 기관, 지역사회 국가의 사업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는 인구의 의료요구의 성격과 범위를 즉각적으로 제시 가능한 도구가 타당하며 쉽게 수행 가능하는 등의 실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경제적이어야 하고 결과에 대해 몇 개의 유용한 포괄적 범주를 산출함으로써 정책적 도움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개인 대상의 사정도구일 경우는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상태의 진전정도의 평가를 위해 정확성을 유지하고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것이 요구된다.
References
이선자, 오진주(1992). 노인의 건강사정도구에 대한 일고찰 -신체기능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한국 보건간호학회지
은영 외(2007). 노인전문간호 총론, 현문사
신경림 외(2007). 노인전문간호 총론 및 건강증진, 현문사
신경림 외(2005). 노인간호학 연구도구집, 현문사
김수영, 조경환(2005). 국내에서 쓰이는 도구적 일상생활 지표인 한국판 로톤척도, 한국판 바텔지표, K-IADL의 비교, 대한 노인병학회, 9(3): 190-195
김수영, 원장원, 조경환(2005). 한국어판 로톤 도구적 일상활동 지표의 개발, 대한 노인병학회, 9(1):23-29
조윤경(2003). 성인 뇌졸중 환자의 첫 발병 후부터 두 달 이내 일상생활 동작 향상에 대한 효과 연구, 노인병, 7(4):321-341
박종한, 조성완, 손형석(1995). 노인 기능상태 평가의 신뢰도, 신경정신의학, 34(2):475-483
김수영, 원장원, 노용균, 윤종률(2004). 한국어판 카츠 일상활동 지표의 개발, 대한 노인병학회, 8(2):62-68
원장원(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특징, 대한 노인병학회, 6(1):1-10
이양수, 이용범, 김철현(2006). 뇌졸중 환자에서 하지 기능 평가 중 기능적 상태를 잘 대변하는 평가, 대한 노인병학회, 10(3): 192-196
원장원(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소개, 제 29차 대한노인병학회 춘계 학술대회, 93-105
- Flows - Moves - Transports - Lifts
- Calibrates - Grips - Endures - Paces
② 처리기술(Process Skills)- 20item: 과제수행 중에 다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목적 지향적인 행동으로 도구나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행을 조직화하기,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잘 대응하기를 포함.
- Paces - Attends - Chooses - Uses
- Handles - Heeds - Inquires - Initiates
- Continues - Sequences - Terminates - Searches/Locates
- Gathers - Organizes - Restores - Navigates
- Notices/Responds - Accommodates - Adjusts - Benefits
평가 방법: 과제를 결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인터뷰-> ADL 과제 2, 3개를 선택하고 관찰-> 관찰한 것을 운동 및 처리기술 항목에 의해 채점-> 채점한 것을 컴퓨터에 입력하여 각종 보고서를 작성-> AMPS 결과를 해석하고 치료계획을 입안. 각 항목당 점수는 각 기술을 4점 척도로 채점한다.
* 4 = 유능한 수행 (competent performance)
* 3 = 의문스러운 수행 (questionable performance)
* 2 = 비효율적인 수행 (ineffective performance)
* 1 = 받아들일 수 없는 수행 (unacceptable performance)
도구의 장점
- 작업치료를 위한 평가도구이다
- 표준화된 평가도구이다
- 각 개인이 자기에게 있어 의미 있는 수행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있다.
-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으며 어떤 환경 setting 안에서도 30-40분 안에 실시할 수 있다
- 평가대상자가 다양하다
도구의 단점
- 장애의 진단 명에 따른 평가가 아니다
- 3세 이하 그리고 간단한 ADL에도 참여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 반드시 컴퓨터채점처리를 필요로 한다.
신체기능 사정 시 주의할 점
■ 신체기능을 심리, 사회적 기능과 실제로 분리시키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이 많다. 즉 환자의 기능제한은 단순한 환자 역할에 대한 바램 일 수도 있고 특정 신체기능을 수행시는 능력보다는 동기조성이나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또 환경 자체가 기능수행을 허용하지 않을 때 기능측정이 일정 가정 위에서 행해지며 이 경우는 조사의 타당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신체기능의 사정시는 이러한 문제들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 측정도구에 의한 신체기능 사정의 결과는 흔히 일치하지 않으며 동일한 신체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표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측정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측정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노인에 대해서는 신체, 사회, 정신적 측면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측정을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변수들이 포함된다. 때문에 이런 광범위한 접근은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비용과 시간의 소모가 많이 환자에게 부담감을 줄 수 있다.
여러 정보가 겹쳐 나타남으로써 중요한 문제와 사소한 문제 사이의 구별이 흐려질 수도 있다.
자신과 명확한 관련이 없는 항목조사가 상세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노인대상자가 쉽게 호응하지 않을 수 있다.
대상자가 신체적으로 쇠약하거나 조사에 동의를 표할 수 없는 지적능력 상실자일 경우는 윤리적인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광범위한 관련개념을 포괄하는 도구는 세밀화되기 어렵다.
■ 신체, 정신, 정서적 기능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적에 따라 개념을 분리시켜 측정할 필요가 있다.
■ 도구 선택은 위의 이유처럼 대상자와 목적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지만, 대상자의 규모 즉, 개인이냐 집단이야 하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집단의 건강정도는 기관, 지역사회 국가의 사업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는 인구의 의료요구의 성격과 범위를 즉각적으로 제시 가능한 도구가 타당하며 쉽게 수행 가능하는 등의 실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경제적이어야 하고 결과에 대해 몇 개의 유용한 포괄적 범주를 산출함으로써 정책적 도움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개인 대상의 사정도구일 경우는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상태의 진전정도의 평가를 위해 정확성을 유지하고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것이 요구된다.
References
이선자, 오진주(1992). 노인의 건강사정도구에 대한 일고찰 -신체기능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한국 보건간호학회지
은영 외(2007). 노인전문간호 총론, 현문사
신경림 외(2007). 노인전문간호 총론 및 건강증진, 현문사
신경림 외(2005). 노인간호학 연구도구집, 현문사
김수영, 조경환(2005). 국내에서 쓰이는 도구적 일상생활 지표인 한국판 로톤척도, 한국판 바텔지표, K-IADL의 비교, 대한 노인병학회, 9(3): 190-195
김수영, 원장원, 조경환(2005). 한국어판 로톤 도구적 일상활동 지표의 개발, 대한 노인병학회, 9(1):23-29
조윤경(2003). 성인 뇌졸중 환자의 첫 발병 후부터 두 달 이내 일상생활 동작 향상에 대한 효과 연구, 노인병, 7(4):321-341
박종한, 조성완, 손형석(1995). 노인 기능상태 평가의 신뢰도, 신경정신의학, 34(2):475-483
김수영, 원장원, 노용균, 윤종률(2004). 한국어판 카츠 일상활동 지표의 개발, 대한 노인병학회, 8(2):62-68
원장원(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특징, 대한 노인병학회, 6(1):1-10
이양수, 이용범, 김철현(2006). 뇌졸중 환자에서 하지 기능 평가 중 기능적 상태를 잘 대변하는 평가, 대한 노인병학회, 10(3): 192-196
원장원(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소개, 제 29차 대한노인병학회 춘계 학술대회, 93-1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