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레포트]우리나라 스마트TV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시장진출 발전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레포트]우리나라 스마트TV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시장진출 발전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스마트TV의 이론적 배경
1. 스마트TV의 개념
2. 스마트TV의 특징
3. 스마트TV의 확산과 의미
4. 스마트 TV 기술 요소
5. 스마트 TV 성공을 위한 요소

Ⅲ. 국내외 스마트TV의 시장 현황 및 전망
1. 국내 시장 현황
2. 외국 시장 현황
3. 향후 시장 전망

Ⅳ. 국내외(삼성, LG, 구글, 애플) 스마트TV의 특징과 사업전략
1. 삼성 스마트TV의 특징과 사업전략
2. LG 스마트TV의 특징과 사업전략
3. 구글TV의 특징과 사업전략
4. 애플TV (iTV)의 특징과 사업전략
5. 각 사업자(삼성, LG, 구글, 애플)의 사업 추진전략 비교

Ⅴ. 스마트TV의 글로벌 시장진출 발전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범용 애플리케이션의 조기 확보가 스마트TV 시장의 성패를 결정할 수 있는 관건이 될 수 있다. 특히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일반인이 편리하고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저작도구와 관련 시스템의 개발ㆍ보급을 우선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일반인이 공급자와 이용자가 동시에 도는 프로슈머로서의 참여를 확대하고 스마트폰을 위시하여 모든 스마트 미디어가 흠결없이 연결되는 애플리케이션 이용체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스마트폰은 개인형 미디어로 앱스토어 수익, 무선 인터넷 콘텐츠 이용료오 같은 확실한 수익원이 존재하지만, 스마트TV는 기존 TV의 확장형으로 인식되어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난점이 될 수 있다. 이에 현재 거론되고 있는 광고 수익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익 창출 기반이 조성되어 콘텐츠 제공업체,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통신사업자, 방송사, 디스플레이업체 모두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시급하게 요청된다. 각 에코시스템 참여자가 이용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수익원을 만들면서 스마트TV 제공업체가 주도할 수 있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은 스마트TV 성공의 관건이 될 가능성이 높을것이다.
다섯째, 비즈니스 모델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스마트TV의 제품 포지셔닝이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TV를 기존 인터넷TV의 단순 확장형으로 개발한다면 IPTV 또는 다른 차세대 방송매체와 차별성이 부족하고 시장에서의 호응이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스마트TV는 가정 내 정보통신 기기의 허브로 자리잡거나 양방향 화상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스마트 워크, 유헬스, 교육, 엔터네인먼트의 기반 디스플레이와 장치로 활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영업활동이나, 홍보, 비즈니스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스마트TV 시장 창출과 개발에서 디스플레이와 같은 관련 장비의 구입비용, 방송과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따른 요금은 일종의 수용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인의 이용의향이 단지 의도로 그치지 않고 실제 구매와 이용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가치와 편익도 중요하지만 초기 구매비용과 지속적인 이용교금이 일반인의 구매력 내에서 흡수되는 것이 관건이 된다. 특히 통신비와 같은 부문의 지출이 크게 부담이 되고 있는 국내 가계 현실을 감안하면 번들상품 확대를 통해 이용 요금의 지출을 낮추는 것이 다양하다.
마지막으로 스마트TV 확산 및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콘텐츠의 조기 확보부터 과련 저작권, 한류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해외 진출에 이르기까지 정책적 서비스와 지원을 강화하고 스마트TV 국내 시장이 조기에 창출될 수 있도록 관련 법과 제도의 정비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스마트TV의 핵심 인프라이기 때문에 지속적 고도화를 위한 투자유인을 제고하고 글로벌 표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 행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참고문헌>
권지인, “국내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김대진, “스마트TV 현황 및 발전방향”, PD Issue Report 10-8호, 2010년 8월
김문구ㆍ박종현, 스마트TV 시장전망과 성공적 확산방향, 2010
김민경, 스마트 TV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박성철, “스마트TV 서비스의 이용동기와 수용에 관한 탐색적 논의”,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Radio Spectrum Vol. 39, 2011, p.3.
방송통신위원회, 스마트TV 산업발전전략, 2011
방송통신위원회,「스마트TV의 영향과 정책과제」, 2011년 1월 6일
송민정, “스마트TV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업체간 협력방안”, 스마트TV 포럼 간담회 주제강연 발표문, 2011년 12월 22일
송민정,「스마트TV로의 진화에 따른 미디어시장 영향 및 시사점」,『IT 전략보고서』, KT경제경영연구소, 2010년 6월 25일.
송민정, 스마트TV 진화에 따른 시장 변화.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이동건, 스마트 TV 잠재 수용자의 이용의도 예측에 관한 실증적 연구 스마트 TV 잠재 수용자의 이용의도 예측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이승엽, “스마트TV 시장의 전개양상 및 주요사업자의 시장전략”,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Radio Spectrum vol. 35, 2011
이종근, “스마트폰과의 비교를 통해 본 스마트TV의 모습”, Issue&Trend, 2010
이종윤, 스마트TV 채택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스마트TV 채택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이화진 외, 애플의 New AppleTV 특징과 시사점. KT경제경영연구소, 2010
장희순, 이상일, 스마트TV 시장 전개와 사업 전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정두남, 스마트TV의 등장에 따른 미디어산업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 스마트TV의 확산가능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2010
최수민, 국내외 스마트 TV 시장 동향 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한은영, “스마트화로 인한 방송산업의 변화와 기존사업자들의 대응전략”, 정보통신정책 제24권 1호, 2012년 1월 16일
허재두 외, “모바일 앱스토어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5(3), 2010
황준호, 스마트TV가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KISDI Premium Report 10-03, 2010년 8월 23일
KT경제경영연구소. 스마트TV 진화, 2010
“삼성 스마트TV 글로벌 시장에서 예상 밖으로 호조세... 의미와 전망”, 『ATLAS 국내 주간동향 브리핑』, 2011년 1월 2주차.
“LG전자·CJ, 스마트TV 분야서 손잡았다”,『연합뉴스』, 2010년 9월 19일자.
“스마트TV의 현주소와 과제는”, 블로터닷넷, 2011년 4월 19일자.
“애플 vs 구글 '스마트TV 전쟁' 누가 이길까?”, 아이뉴스24, 2011년 12월 17일자.
  • 가격3,3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