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호흡기계의 구조
1. 기관(Trachea)
2. 기관지(Bronchus)
3. 폐(Lung)
4. 폐포관, 폐포낭, 폐포
5. 흉벽(Chest wall)
Ⅱ. 호흡기계의 기능
1. 호흡생리
2. 호흡 조절
Ⅲ.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1.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2. 폐기능 검사
Ⅳ. 호흡기계의 간호문제
1. 호흡곤란
2. 과다 환기
3. 과소 환기
4. 흉통
5. 기관지 경련
6. 비정상 분비물
7. 객혈
8. 기침
9. 저산소증과 무산소증
10. 과탄산증
11. 청색증 .
12. 적혈구 증가증
13. 폐성 골관절 부전증
* 참고문헌
1. 기관(Trachea)
2. 기관지(Bronchus)
3. 폐(Lung)
4. 폐포관, 폐포낭, 폐포
5. 흉벽(Chest wall)
Ⅱ. 호흡기계의 기능
1. 호흡생리
2. 호흡 조절
Ⅲ.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1.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2. 폐기능 검사
Ⅳ. 호흡기계의 간호문제
1. 호흡곤란
2. 과다 환기
3. 과소 환기
4. 흉통
5. 기관지 경련
6. 비정상 분비물
7. 객혈
8. 기침
9. 저산소증과 무산소증
10. 과탄산증
11. 청색증 .
12. 적혈구 증가증
13. 폐성 골관절 부전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환기 : 분당 환기가 증가된 상태. 호흡성 알칼리증이 발생.
3. 과소 환기 : 분당 환기가 감소된 상태. 저산소혈증, 과탄산혈증 발생.
4. 흉통 : 폐질환시 흉벽, 벽측 흉막과 기관지 및 기관의 통증을 발생시킴.
5. 기관지 경련 : 점막부종, 점액분비증가 및 기도협착, 기관지벽 경련성 위축등이 발생. 결과 적으로 호기량 감소, 분비물 축적, 감염, 기도저항 증가,호흡곤란이 나타남.
6. 비정상 분비물
1) 농양 : 악취, 다량
2) 천식 : 점액성
3) 기관지 확장증 : 많은 양, 3층으로 나뉨
4) 만성 기관지염 또는 폐기종 : 끈적끈적하고 진함
5) 폐암 또는 결핵 : 혈액이 섞임
6) 폐수종 : 거품, 다량, 분홍색
7) 폐렴 : 끈적끈적, 녹슨색 또는 분홍색
8) 염증 : 고름이 있고 다량, 노란색 또는 녹색
9) 기관지염 : 점액성
7. 객혈
: 혈액이 섞인 객담 또는 혈액을 배출하는 상태. 객혈량이 많으면 기도가 폐쇄됨. 코, 비인
두로부터의 출혈은 코의 분비물이 섞여 있고, 피냄새가 남.
8. 기침 : 기관지 자극물을 제거, 기관지로의 흡인을 방지하기위한 호흡기계의 보호기전. 동시
에 흉곽, 인후두질환의 보편적 증상임.
9. 저산소증과 무산소증
: 저산소증(hypoxia)은 체조직의 산소 부족으로 정의됨. 저산소성 저산소증과 빈혈성 저산소
증, 정체성(순환성)저산소증으로 분류되며, 조기 증상은 빈호흡, 빈맥, 안절부절, 두통, 경
미한 혼돈, 고혈압 등임. 무산소증은 회복할 수 없이 조직손상, 조직괴사를 일으킴.
10. 과탄산증 : pH가 7.35이하로 이산화탄소 정체시 호흡성 산증이 초래됨. 증상은 진전, 심리
상태 변화, 두통, 혼몽등이 나타남.
11. 청색증
: 불충분한 폐포 환기, 폐포 모세혈관의 확산 손상, 비정상적 환기-관류 때문에 일어남.
12. 적혈구 증가증
: 만성 폐쇄성 질환으로 인한 만성 저산소혈증이 적혈구를 증가시킴. 이것은 저산소혈증의 보상성 반응으로 적혈구를 증가시킴으로 혈액 산소운반능력을 증가시키려 하기 때문임.
13. 폐성 골관절 부전증
: 곤봉 손가락(clubbing finger)이라고도 함. 만성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서 혈관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짐.
* 참고문헌
1. 이향련외(2008),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51-558, 569-575
2. 최명애외 공역(2008),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p.365-368
3. 과소 환기 : 분당 환기가 감소된 상태. 저산소혈증, 과탄산혈증 발생.
4. 흉통 : 폐질환시 흉벽, 벽측 흉막과 기관지 및 기관의 통증을 발생시킴.
5. 기관지 경련 : 점막부종, 점액분비증가 및 기도협착, 기관지벽 경련성 위축등이 발생. 결과 적으로 호기량 감소, 분비물 축적, 감염, 기도저항 증가,호흡곤란이 나타남.
6. 비정상 분비물
1) 농양 : 악취, 다량
2) 천식 : 점액성
3) 기관지 확장증 : 많은 양, 3층으로 나뉨
4) 만성 기관지염 또는 폐기종 : 끈적끈적하고 진함
5) 폐암 또는 결핵 : 혈액이 섞임
6) 폐수종 : 거품, 다량, 분홍색
7) 폐렴 : 끈적끈적, 녹슨색 또는 분홍색
8) 염증 : 고름이 있고 다량, 노란색 또는 녹색
9) 기관지염 : 점액성
7. 객혈
: 혈액이 섞인 객담 또는 혈액을 배출하는 상태. 객혈량이 많으면 기도가 폐쇄됨. 코, 비인
두로부터의 출혈은 코의 분비물이 섞여 있고, 피냄새가 남.
8. 기침 : 기관지 자극물을 제거, 기관지로의 흡인을 방지하기위한 호흡기계의 보호기전. 동시
에 흉곽, 인후두질환의 보편적 증상임.
9. 저산소증과 무산소증
: 저산소증(hypoxia)은 체조직의 산소 부족으로 정의됨. 저산소성 저산소증과 빈혈성 저산소
증, 정체성(순환성)저산소증으로 분류되며, 조기 증상은 빈호흡, 빈맥, 안절부절, 두통, 경
미한 혼돈, 고혈압 등임. 무산소증은 회복할 수 없이 조직손상, 조직괴사를 일으킴.
10. 과탄산증 : pH가 7.35이하로 이산화탄소 정체시 호흡성 산증이 초래됨. 증상은 진전, 심리
상태 변화, 두통, 혼몽등이 나타남.
11. 청색증
: 불충분한 폐포 환기, 폐포 모세혈관의 확산 손상, 비정상적 환기-관류 때문에 일어남.
12. 적혈구 증가증
: 만성 폐쇄성 질환으로 인한 만성 저산소혈증이 적혈구를 증가시킴. 이것은 저산소혈증의 보상성 반응으로 적혈구를 증가시킴으로 혈액 산소운반능력을 증가시키려 하기 때문임.
13. 폐성 골관절 부전증
: 곤봉 손가락(clubbing finger)이라고도 함. 만성 저산소증에 대한 반응으로서 혈관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짐.
* 참고문헌
1. 이향련외(2008),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551-558, 569-575
2. 최명애외 공역(2008),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p.365-368
추천자료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인공호흡
폐의 구조 및 호흡과정과 운동
급성호흡부전과 기계적 인공호흡기 간호
하부 호흡기 장애의 수술요법과 간호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호흡기질환(호흡기장애) 폐결핵과 폐렴, 호흡기질환(호흡기장애) 폐암, 호흡기질환(호흡기장...
노화가 인체(순환기계, 호흡계, 신경계,내분비계 등)에 미치는 영향
[질환(질병)]질환(질병)과 구강질환, 호흡기질환, 대사질환, 순환계질환, 질환(질병)과 근골...
ICU 에서 주로 쓰이는 진단명, 약물, 기계에 관하여 (복막염 (Peritonitis), 호흡 부전증(Res...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하부기도 문제 1.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1. 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관지염 3) 급성...
[간호학] 호흡기 질환 및 치료 (아동기 호흡기 질환의 특징 상기도문제 및 세기관지염을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