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하겐다즈 >
1.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분석
2. 자사분석
1) 배경
2) 연혁
3) 특징
4) 브랜드 아이덴티티
5) 매출액
6) 시장점유율
3. 경쟁자분석
<베스킨라빈스>
<나뚜루>
부동의 3위 하겐다즈 BUT, 시장점유율 < 상기율 고객유치가능성 >
<3사의 가격 & 매장수 비교>
5. swot 분석 & FBC모델 분석
6. 시사점
• 하겐다즈
7. 연구과제 및 해결방안
1. 점포수
2. 편의점 판매!
3. Target 연령층
4. 홍보 노력 부족?
5. 현재의 이미지 그대로 가도 될 것인가?
1.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분석
2. 자사분석
1) 배경
2) 연혁
3) 특징
4) 브랜드 아이덴티티
5) 매출액
6) 시장점유율
3. 경쟁자분석
<베스킨라빈스>
<나뚜루>
부동의 3위 하겐다즈 BUT, 시장점유율 < 상기율 고객유치가능성 >
<3사의 가격 & 매장수 비교>
5. swot 분석 & FBC모델 분석
6. 시사점
• 하겐다즈
7. 연구과제 및 해결방안
1. 점포수
2. 편의점 판매!
3. Target 연령층
4. 홍보 노력 부족?
5. 현재의 이미지 그대로 가도 될 것인가?
본문내용
본 차문화의 다양성에 기초를 둔 제품이다. 최근 2004년에는 하겐다즈 크리스피 샌드위치 (아이스크림이 듬뿍 든 샌드위치) 제품군을 유럽에 소개했다.
이러한 창의성은 전세계 하겐다즈 매장에서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너무나 아름다워 먹기조차 아까울 정도로 정성이 더해진 하겐다즈의 크리에이션 메뉴들은 전세계 하겐다즈 매장에서 매일매일 만날 수 있다.
하겐다즈의 품질에 대한 고집과 열정은 처음부터 입소문이 대단했다. 1976년 최초의 하겐다즈 매장이 문을 열자마자 성공이 예견되었다. 불과 6년 후, 하겐다즈는 전세계 각 나라로 진출하게 된다.
하겐다즈 제품들은 현재 전세계 50개국에서 900여개 하겐다즈 매장과 소매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겐다즈가 세상에 나온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하겐다즈는 아직도 품질, 창의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맛에 대한 열정을 고집스럽게 지켜 나가고 있다.
2) 연혁
1921
루벤 매터스의 가족이 뉴욕 시에서 과일 빙과류를 팔기 시작함
1961
루벤 매터스가 세계 최초로 안정제, 방부제, 인공향료, 인공색소,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슈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하겐다즈를 개발
1960s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며 완벽한 원료를 찾는데 6년이 걸렸던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를 포함하여 새로운 플레이버 소개
1970s
뉴욕 시 최초 하겐다즈 매장 (1976)
1980s
하겐다즈와 일본 현지 파트너와의 합작 벤처를 통해 일본에 첫 진출한 하겐다즈 아이스크 림을 맛보려는 일본 소비자들 (1984)
밸런타인데이 이브에 성인들의 입맛에 맞춘 아이스크림 바와 소르베가 출시
유럽 최초 영국과 독일에 하겐다즈 매장 (1987).
1990s
홍콩에 ‘아이스크림 문케이크’를 소개하며 선물교환의 전통을 현대화 (1992)
한국 최초 하겐다즈 매장 (1991)
중국 최초 하겐다즈 매장 (상하이, 1996)
2가지 인기 제품인 아이스크림과 차가 짝을 이뤄 일본에서 하겐다즈 그린티 아이스크림이 출시 (1996)
아이스크림 세계가 둘세 데 레체에 열광 (아르헨티나, 1998)
2000s
성인들을 위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인 하겐다즈 크리스피 샌드위치 일본에서 발매 시작 (2001), 뒤이어 유럽에 소개 (2004)
파리 샹젤리제에 새로운 플래그쉽 샵 오픈 (2007)
일본에서 세계 각국의 디저트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여러 층의 센세이셔널한 아이스크림 시리즈 ‘돌체’ 소개 (2007)
브라질 ‘하겐다즈 믹스 뮤직 페스티벌’을 개최 (2007)
인도, 모로코 진출 (2008)
하겐다즈 스무디 유럽 진출 (2009)
2009년 일본 니케이 브랜드 조사에서 일본의 1000개 상위브랜드 가운데 뽑은 ‘가장 선호 하는 브랜드’ 1위 차지 (2009)
3) 특징
진한 맛 -진한 농도와 높은 버터지방을 포함한 프리미엄 브랜드
천연재료 - 천연크림, 달걀, 우유, 설탕 등 최고의 맛을 위한 최상의 천연원료만은 고집.
Super Premium - 브랜드 인지도 조사 1위, 브랜드 loyalty 1위
Premium 공법 - 적은 공기 함유량과 질 좋은 원료로 길어진 만족의 순간
4)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장 아이덴티티
- "창의성, 열정, 그리고 품질에 있어선 타협하지 않는 신념. "
- 진한 맛, 천연 재료
핵심 아이덴티티
- 고급스러움, 섹시함, 관능적 이미지
5) 매출액
6) 시장점유율
3. 경쟁자분석
<베스킨라빈스>
: 1985년 샤니와 Baskin Rabins의 합작BR코리아 설립
1986년 명동에 최초의 한국 매장
- 브랜드 아이덴티티
<재미와 친근함>
- 제품의 다양성
<나뚜루>
1995년 롯데제과 나뚜루 사업팀 결성
1998년 나뚜루 1호점 월드점 OPEN
1999년 나뚜루 로드점 1호점 이대점 OPEN
브랜드 아이덴티티
: 천연원료의 사용 고급스러운 이미지
1. 하겐다즈를 벤치마킹
=> 천연원료 고밀도 아이스크림, 편의점 등에서 완제품을 동시에 판매
2. 하겐다즈와의 차이점
-전국적으로 넓은 분포
-> 하겐다즈보다 높은 고객 접근성
-보다 낮은 가격 -> 대중성 확보
4. 소비자분석
부동의 3위 하겐다즈 BUT, 시장점유율 < 상기율 고객유치가능성 >
<3사의 가격 & 매장수 비교>
5. swot 분석 & FBC모델 분석
6. 시사점
하겐다즈
=>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것에 비해
구매율은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브랜드 재인관리 + 브랜드 회상관리 필요
7. 연구과제 및 해결방안
1. 점포수
위의 그래프와 같이 하겐다즈의 점포수는 1,2위 기업보다 큰 차이로 뒤지고 있고 하위기업보다 점포수가 더 작다. 점포수가 작다는 말은 소비자가 하겐다즈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촉을 늘리기 위하여 점포수를 적극 늘리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2. 편의점 판매!
이처럼 실제로는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편의점 판매로 인하여 오히려 깎여 나가고 있다.
3. Target 연령층
하겐다즈의 타켓 연령층은 25세에서 44세의 연령층이라고 측정된다. 그러나 아이스크림의 소비자층으로는 보다 젊은 10대, 20대층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타기팅을 다시 한 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4. 홍보 노력 부족?
베스킨라빈스가 'I Am Sam'과 같은 닉네임마케팅을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의 홍보를 하고 나뚜루도 꾸준히 홍보를 하고 있다는 점에 비교해보면 하겐다즈의 홍보는 거의 인식되고 있지 않다고 보여질 정도로 미비하다.
5. 현재의 이미지 그대로 가도 될 것인가?
현재의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이미지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하겐다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을 개척한 선구자이다. 코카콜라와 펩시를 보면 코카콜라는 펩시에 비해 불과 작은 시간차로 콜라시장을 개척하였지만 소비자의 인식은 코카콜라가 콜라의 원조라는 가지고 펩시보다 코카콜라를 소비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하겐다즈도 코카콜라와 마찬가지로 시장의 개척자이므로 이러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원조, 최초와 같은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창의성은 전세계 하겐다즈 매장에서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너무나 아름다워 먹기조차 아까울 정도로 정성이 더해진 하겐다즈의 크리에이션 메뉴들은 전세계 하겐다즈 매장에서 매일매일 만날 수 있다.
하겐다즈의 품질에 대한 고집과 열정은 처음부터 입소문이 대단했다. 1976년 최초의 하겐다즈 매장이 문을 열자마자 성공이 예견되었다. 불과 6년 후, 하겐다즈는 전세계 각 나라로 진출하게 된다.
하겐다즈 제품들은 현재 전세계 50개국에서 900여개 하겐다즈 매장과 소매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겐다즈가 세상에 나온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하겐다즈는 아직도 품질, 창의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맛에 대한 열정을 고집스럽게 지켜 나가고 있다.
2) 연혁
1921
루벤 매터스의 가족이 뉴욕 시에서 과일 빙과류를 팔기 시작함
1961
루벤 매터스가 세계 최초로 안정제, 방부제, 인공향료, 인공색소,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슈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하겐다즈를 개발
1960s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며 완벽한 원료를 찾는데 6년이 걸렸던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를 포함하여 새로운 플레이버 소개
1970s
뉴욕 시 최초 하겐다즈 매장 (1976)
1980s
하겐다즈와 일본 현지 파트너와의 합작 벤처를 통해 일본에 첫 진출한 하겐다즈 아이스크 림을 맛보려는 일본 소비자들 (1984)
밸런타인데이 이브에 성인들의 입맛에 맞춘 아이스크림 바와 소르베가 출시
유럽 최초 영국과 독일에 하겐다즈 매장 (1987).
1990s
홍콩에 ‘아이스크림 문케이크’를 소개하며 선물교환의 전통을 현대화 (1992)
한국 최초 하겐다즈 매장 (1991)
중국 최초 하겐다즈 매장 (상하이, 1996)
2가지 인기 제품인 아이스크림과 차가 짝을 이뤄 일본에서 하겐다즈 그린티 아이스크림이 출시 (1996)
아이스크림 세계가 둘세 데 레체에 열광 (아르헨티나, 1998)
2000s
성인들을 위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인 하겐다즈 크리스피 샌드위치 일본에서 발매 시작 (2001), 뒤이어 유럽에 소개 (2004)
파리 샹젤리제에 새로운 플래그쉽 샵 오픈 (2007)
일본에서 세계 각국의 디저트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여러 층의 센세이셔널한 아이스크림 시리즈 ‘돌체’ 소개 (2007)
브라질 ‘하겐다즈 믹스 뮤직 페스티벌’을 개최 (2007)
인도, 모로코 진출 (2008)
하겐다즈 스무디 유럽 진출 (2009)
2009년 일본 니케이 브랜드 조사에서 일본의 1000개 상위브랜드 가운데 뽑은 ‘가장 선호 하는 브랜드’ 1위 차지 (2009)
3) 특징
진한 맛 -진한 농도와 높은 버터지방을 포함한 프리미엄 브랜드
천연재료 - 천연크림, 달걀, 우유, 설탕 등 최고의 맛을 위한 최상의 천연원료만은 고집.
Super Premium - 브랜드 인지도 조사 1위, 브랜드 loyalty 1위
Premium 공법 - 적은 공기 함유량과 질 좋은 원료로 길어진 만족의 순간
4)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장 아이덴티티
- "창의성, 열정, 그리고 품질에 있어선 타협하지 않는 신념. "
- 진한 맛, 천연 재료
핵심 아이덴티티
- 고급스러움, 섹시함, 관능적 이미지
5) 매출액
6) 시장점유율
3. 경쟁자분석
<베스킨라빈스>
: 1985년 샤니와 Baskin Rabins의 합작BR코리아 설립
1986년 명동에 최초의 한국 매장
- 브랜드 아이덴티티
<재미와 친근함>
- 제품의 다양성
<나뚜루>
1995년 롯데제과 나뚜루 사업팀 결성
1998년 나뚜루 1호점 월드점 OPEN
1999년 나뚜루 로드점 1호점 이대점 OPEN
브랜드 아이덴티티
: 천연원료의 사용 고급스러운 이미지
1. 하겐다즈를 벤치마킹
=> 천연원료 고밀도 아이스크림, 편의점 등에서 완제품을 동시에 판매
2. 하겐다즈와의 차이점
-전국적으로 넓은 분포
-> 하겐다즈보다 높은 고객 접근성
-보다 낮은 가격 -> 대중성 확보
4. 소비자분석
부동의 3위 하겐다즈 BUT, 시장점유율 < 상기율 고객유치가능성 >
<3사의 가격 & 매장수 비교>
5. swot 분석 & FBC모델 분석
6. 시사점
하겐다즈
=>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것에 비해
구매율은 저조하다고 볼 수 있다.
브랜드 재인관리 + 브랜드 회상관리 필요
7. 연구과제 및 해결방안
1. 점포수
위의 그래프와 같이 하겐다즈의 점포수는 1,2위 기업보다 큰 차이로 뒤지고 있고 하위기업보다 점포수가 더 작다. 점포수가 작다는 말은 소비자가 하겐다즈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촉을 늘리기 위하여 점포수를 적극 늘리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2. 편의점 판매!
이처럼 실제로는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편의점 판매로 인하여 오히려 깎여 나가고 있다.
3. Target 연령층
하겐다즈의 타켓 연령층은 25세에서 44세의 연령층이라고 측정된다. 그러나 아이스크림의 소비자층으로는 보다 젊은 10대, 20대층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타기팅을 다시 한 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4. 홍보 노력 부족?
베스킨라빈스가 'I Am Sam'과 같은 닉네임마케팅을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의 홍보를 하고 나뚜루도 꾸준히 홍보를 하고 있다는 점에 비교해보면 하겐다즈의 홍보는 거의 인식되고 있지 않다고 보여질 정도로 미비하다.
5. 현재의 이미지 그대로 가도 될 것인가?
현재의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이미지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하겐다즈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시장을 개척한 선구자이다. 코카콜라와 펩시를 보면 코카콜라는 펩시에 비해 불과 작은 시간차로 콜라시장을 개척하였지만 소비자의 인식은 코카콜라가 콜라의 원조라는 가지고 펩시보다 코카콜라를 소비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하겐다즈도 코카콜라와 마찬가지로 시장의 개척자이므로 이러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원조, 최초와 같은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추천자료
신라호텔 전반적소개, 마케팅전략, 재무분석 및 swot분석(03년~07년)
(우수평가자료)[기업분석]BMW MINI 마케팅전략 및 SWOT분석 런칭전략
롯데닷컴 기업분석 (롯데닷컴소개,사업모델, 수익모델, swot분석, 전자지불결제방법, 결론) -...
[PPT] 할리스커피 경영전략과 SWOT분석 및 4P분석
부경대학교 직업과윤리 리포트(직업적성 결과 분석, swot분석, stp전략수립 등)
NC소프트(NC Soft) 기업 사례 분석 - SWOT분석, STP전략, 4P전략 등
[전시환경 분석] 전시환경의 개념(의의, 특성)과 전시환경 유형 및 SWOT분석
한식 최초의 프랜차이즈 놀부 - 놀부마케팅전략 및 기업분석,놀부SWOT분석,원할머니보쌈.PPT자료
MCM(엠씨엠) 마케팅전략 및 기업분석,40,stp,swot분석.ppt
구글 크롬(Google Chrome) SWOT분석, 경쟁사분석 및 성공요인.ppt
대한민국대표 생활센스스토어 - 다이소 (기업소개, SWOT분석, 4P분석, 유통전략, 유통전략 문...
경영기법과 용어사례(IBK기업은행, 기업소개, 기업분석, SWOT분석)
[잇츠스킨과 갓스킨] /기업소개/시장분석/SWOT분석/STP/소셜미디어전략/효과제시/결론
밥버거 창업계획서 PPT(밥버거사업계획서 창업시장분석 봉구스밥버거 마케팅계획 추정창업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