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정신건강의 개념
1) 정신건강의 정의
2) 아동정신질환의 원인
3) 결과
2. 정신건강 문제행동 판단기준
1) 미국 정신 의학회 DSM-IV
2) Lazarus의 BASIC-ID모델
3. 발달단계별 장애(정신건강 문제)
1) 학령 전 아동기
2) 학령기
3) 청소년기
4. 관련서비스
1) 상담과 심리치료
(1)상담
(2)심리치료
2) 아동정신건강서비스
3)그 외 사례
5.과제
1) 정신건강의 정의
2) 아동정신질환의 원인
3) 결과
2. 정신건강 문제행동 판단기준
1) 미국 정신 의학회 DSM-IV
2) Lazarus의 BASIC-ID모델
3. 발달단계별 장애(정신건강 문제)
1) 학령 전 아동기
2) 학령기
3) 청소년기
4. 관련서비스
1) 상담과 심리치료
(1)상담
(2)심리치료
2) 아동정신건강서비스
3)그 외 사례
5.과제
본문내용
를 충족시키고, 집 단 공유, 수용, 연대의 경험을 통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
⑤ 가족치료: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해 변화가 일어나도록 가족 자체에 접근하는 방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가족면접이 있음.
2) 아동정신건강서비스
①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
지역 내 아동·청소년을 위한 정신 보건 서비스 체계 구축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 조사
부모 및 교사 교육 실시,
치료재활프로그램사업 실시
위기상담전화 운영.
②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서비스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사전선별검사 실시
위험학생들 대 상으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실시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하는 기숙형 치료학교 운영계획
고위험군 아동·청소년에게는 정신과 전문의의
치료 받을 수 있도록 5만원~50만원 치료비 일정액 지원 계획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 상담 및 사후관리
3)그 외 사례
① 아이마음 건강지킴이(서초구) - 강남성모병원이 위탁운영을 하고, ADHD나 우울증 등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전문상담 실시.
② For you(용인시)-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을 돕고, 긍정적 또래관계형성과 자기 표현 력을 향상시켜 사회적 적응을 돕고자 만든 정신건강 집단프로그램에 예술치료를 접목시킴.
③ 도란도란 마음나누기(고양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하는 사업. 고양시 지역 아동복지시설 내 정서, 행동,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 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프로그램.
④ 꿈을 그리는 연주회(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아동의 정서발달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악기교육과 정서순화 프로그램 실 시하고 있다.
⑤ 아이존(서울시) - ADHD, 틱 장애, 우울증 증상을 가진 어린이를 치료하기 위한 시설 로 서울시에서 사회복지기관에 위탁운영. 개별 및 집단 프로그램으로 치료를 진행. 2009년 4개소. 기초생활수급권자는 모든 치료비 면제. 차상위 계층은 센터담당자와 상담 후 50~100%의 치료비 면제.
5.과제
1) 성인중심주의시각 벗어나기 : 대개 성인들로부터 사정과 개입을 위한 정보수집이 이루어 진다. 아동의 행동이 성인의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사정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을 정신질환이라고 판단함. 그러나 아동의 행동은 정상적 인 것일 수도 있음.
2) 아동의 욕구에 초점을 두고 가족중심적인 서비스 : 치료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면 아동 개 인의 욕구를 축소하기 쉽고 아동의 문제에 대한 부모의 책 임을 강조 하면 문제의 주원인이 부모의 양육행동으로 초 점이 맞춰져 부모를 탓하기 쉬움.
3) 강점관점 : 심각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해서도 강점관점을 유지해야함. 정신건강의 문제를 질병으로 보는 결핍모델의 시각에서 벗어나야함.
4) 생태학적 관점의 서비스 : 아동과 가족이 가진 욕구는 다양하고 복잡해서 아동과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속의 자원들과 협력이 요구됨.
5) 정신보건서비스와 정신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접근 : 서비스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보건 과 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
⑤ 가족치료: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해 변화가 일어나도록 가족 자체에 접근하는 방법. 대표적인 방법으로 가족면접이 있음.
2) 아동정신건강서비스
①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사업
지역 내 아동·청소년을 위한 정신 보건 서비스 체계 구축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 요구도 조사
부모 및 교사 교육 실시,
치료재활프로그램사업 실시
위기상담전화 운영.
②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서비스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사전선별검사 실시
위험학생들 대 상으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실시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하는 기숙형 치료학교 운영계획
고위험군 아동·청소년에게는 정신과 전문의의
치료 받을 수 있도록 5만원~50만원 치료비 일정액 지원 계획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 상담 및 사후관리
3)그 외 사례
① 아이마음 건강지킴이(서초구) - 강남성모병원이 위탁운영을 하고, ADHD나 우울증 등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전문상담 실시.
② For you(용인시)-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을 돕고, 긍정적 또래관계형성과 자기 표현 력을 향상시켜 사회적 적응을 돕고자 만든 정신건강 집단프로그램에 예술치료를 접목시킴.
③ 도란도란 마음나누기(고양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하는 사업. 고양시 지역 아동복지시설 내 정서, 행동,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 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프로그램.
④ 꿈을 그리는 연주회(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아동의 정서발달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사회서비스 프로그램. 악기교육과 정서순화 프로그램 실 시하고 있다.
⑤ 아이존(서울시) - ADHD, 틱 장애, 우울증 증상을 가진 어린이를 치료하기 위한 시설 로 서울시에서 사회복지기관에 위탁운영. 개별 및 집단 프로그램으로 치료를 진행. 2009년 4개소. 기초생활수급권자는 모든 치료비 면제. 차상위 계층은 센터담당자와 상담 후 50~100%의 치료비 면제.
5.과제
1) 성인중심주의시각 벗어나기 : 대개 성인들로부터 사정과 개입을 위한 정보수집이 이루어 진다. 아동의 행동이 성인의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사정과정에서 아동의 행동을 정신질환이라고 판단함. 그러나 아동의 행동은 정상적 인 것일 수도 있음.
2) 아동의 욕구에 초점을 두고 가족중심적인 서비스 : 치료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면 아동 개 인의 욕구를 축소하기 쉽고 아동의 문제에 대한 부모의 책 임을 강조 하면 문제의 주원인이 부모의 양육행동으로 초 점이 맞춰져 부모를 탓하기 쉬움.
3) 강점관점 : 심각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해서도 강점관점을 유지해야함. 정신건강의 문제를 질병으로 보는 결핍모델의 시각에서 벗어나야함.
4) 생태학적 관점의 서비스 : 아동과 가족이 가진 욕구는 다양하고 복잡해서 아동과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속의 자원들과 협력이 요구됨.
5) 정신보건서비스와 정신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접근 : 서비스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보건 과 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
추천자료
심리치료법 중 행동치료와 미술치료에 관하여 논하시오
[음악치료]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의 역사, 음악치료의 필요성, 음악치료의 중요요소, 음...
[심리학개론] 애착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심리치료방법을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기술 [심리...
[심리치료와 상담]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 사후의 정신분석 -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dler)의 생애(성장과정과 교육배경)와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프...
[심리치료와 상담] 벡(Aaron Beck)의 생애와 인지치료의 발전과정 - Beck의 성장과정과 교육...
[심리치료와 상담] Bowen(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 가...
[심리치료와 상담] Haley(헤일리)와 Madanes(마다네스)의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들(자아심리, 대상관계...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개인심리학 혹은 아들러 심리치료의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 및 인간중심치료의 실제(가상 ...
[심리치료] 정신분석 치료법 - 정신분석치료의 치료과정 및 치료기법과 절차
집단심리치료(가족치료와 심리극)
[심리치료이론] 심리치료이론의 의미와 필요성 및 평가기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