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선택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 학교에 제안할 사항
제가 그동안 교수님들 말씀에 귀 기울이지 못한 탓일 수 도 있으나 현장실습OT 전까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부랴부랴 계절학기를 듣고 실습을 하였는데 현장에서 경험해 보니 프로그램 개발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인 것 같았습니다. 충분히 홍보하여 실 습전에 필수과목처럼 들을 수 있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SPSS프로그램 활용에 대해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시간에 잠깐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현장에서 코딩작업을 하는데 꼭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고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인거 같습니다. 학교 강의를 통해 어렵다면 다른 방법을 통해서라도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자원들이 조금 더 생기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7. 후배에게 한 마디
저의 경우는 사회복지로 진로를 결정하지도 못하였고, 필요한 과목들도 다 수강하지 못한 채 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이 사회복지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후배가 있다면 실습에 임할 때 자세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제가 실습을 시작할 때의 자세는 나에게 맞는 일인지 한번 경험해본다는 마음이 컸습니다. 때문에 전문가로서의 책임감이나 무게감이 많이 떨어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습하는 기간 동안 실제로 경험하는 것들은 공부하는 사람으로 그냥 한번 경험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회복지사 선생님들이 하는 업무를 보아야 하는 경우도 있을 만큼 책임이 뒤따르는 일 들이였습니다. 또한 실제로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하고 교육하는 일들을 해야 했기에 그 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저에게 달려있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때문에 실습에 임할 때에는 내가 공부하는 사람이라는 마음가짐 보다는 실습하는 기간만큼은 내가 이 기관의 사회복지사이고 직원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임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나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와 같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는 최대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 짧은 기간 동안 경험해보아야 하기에 이를 위해서도 실습기간동안 진짜 사회복지사라는 마음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험을 하며 많은 것을 배우는데 중요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6. 학교에 제안할 사항
제가 그동안 교수님들 말씀에 귀 기울이지 못한 탓일 수 도 있으나 현장실습OT 전까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부랴부랴 계절학기를 듣고 실습을 하였는데 현장에서 경험해 보니 프로그램 개발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인 것 같았습니다. 충분히 홍보하여 실 습전에 필수과목처럼 들을 수 있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SPSS프로그램 활용에 대해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시간에 잠깐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현장에서 코딩작업을 하는데 꼭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고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인거 같습니다. 학교 강의를 통해 어렵다면 다른 방법을 통해서라도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자원들이 조금 더 생기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7. 후배에게 한 마디
저의 경우는 사회복지로 진로를 결정하지도 못하였고, 필요한 과목들도 다 수강하지 못한 채 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저와 같이 사회복지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후배가 있다면 실습에 임할 때 자세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제가 실습을 시작할 때의 자세는 나에게 맞는 일인지 한번 경험해본다는 마음이 컸습니다. 때문에 전문가로서의 책임감이나 무게감이 많이 떨어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실습하는 기간 동안 실제로 경험하는 것들은 공부하는 사람으로 그냥 한번 경험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사회복지사 선생님들이 하는 업무를 보아야 하는 경우도 있을 만큼 책임이 뒤따르는 일 들이였습니다. 또한 실제로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하고 교육하는 일들을 해야 했기에 그 기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저에게 달려있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때문에 실습에 임할 때에는 내가 공부하는 사람이라는 마음가짐 보다는 실습하는 기간만큼은 내가 이 기관의 사회복지사이고 직원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임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나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저와 같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는 최대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 짧은 기간 동안 경험해보아야 하기에 이를 위해서도 실습기간동안 진짜 사회복지사라는 마음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경험을 하며 많은 것을 배우는데 중요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추천자료
[사회복지환경][복지모형][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과 평가
사회복지프로그램-학교사회사업
다문화가정프로그램 교육계획설계안, 사회복지프로그램기획안, 사회복지프로그램 교육설계안
한국사회복지-가족생활교육-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또는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리포트)
사회복지프로그램계획서_중증장애인직업재활프로그램 - 프로그램명, 목적, 참여대상, 월별사...
사회복지프로그램과 욕구조사
맞벌이 부부자녀를 위한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하기
[★우수레포트★][지역사회복지프로그램] 입양관련 문제점과 사후관리 부족의 실태 및 입양가족...
사회복지프로그램의 평가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프로그램의 실행과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실행, 마케팅 및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간의 관계 증진프로그램계획서_사회복지현장실습, 사업계획서
약물중독 예방 집단프로그램(알콜상담센터, 치료교실, 예방프로그램, 사업계획서, 사회복지프...
사회복지실습프로그램 만들기 [유네스코탐방기] 2013. 유네스코 100대 문화 체험 하기 “한국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