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매체에서 그려지는 동양인에 대한 시각 - 과연 오리엔탈리즘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매체에서 그려지는 동양인에 대한 시각 - 과연 오리엔탈리즘인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각종 매체에서 그려지는 동양인의 모습들
2) 미국 드라마 <로스트>를 통한 분석
3) 이것은 과연 오리엔탈리즘인가?
4) 드라마 <쇼군>을 통한 실제적 분석
- 표현되는 대상과 수용자와의 실제적 인식 차이

Ⅲ. 결론

본문내용

식을 가르치게 한다. 마리코와 블랙슨은 점차 서로 사랑하게 된다. 토라마사는 그의 경쟁자이며 크리스천 다이묘를 이끌고 있는 서쪽의 맹주 이시도 가즈나리의 계략에 빠지지만 블랙슨과 마리코의 도움으로 궁지를 벗어난다. 토리나카의 신뢰를 얻은 블랙슨은 200명의 부하와 함께 복구된 에라스무스호를 타고 석당을 뒤에서 지원하는 카톨릭 세력인 포르투갈 선단을 습격하게 된다.
텔레비전 드라마 <쇼군>은 미국에서는 시청률이 평균 32.6%가 될 정도로 매우 높았고 이 드라마의 방영 후 미국 각지에서 일본 영화 붐이 일어났다. 이를 두고 일본의 이와오 수미코는 『TV드라마의 메시지』 이와오 수미코,『TV드라마의 메시지』,커뮤니케이션북스(2004) ‘텔레비전 드라마에 의한 국제 이해와 오해’
에서 각각 일본인이 인식하는 드라마 내용과 미국인이 인식하는 드라마 내용을 분석했는데 일본인의 입장에서는 우리가 드라마 <로스트>를 볼 때와 마찬가지로 드라마 <쇼군>이 일본의 본래 모습을 그리고 있지 않으며 ‘할복’, ‘살인’등의 장면은 과장된 것 같아 외국인에게 보이기 싫다는 응답을 했다. 또한 <쇼군>의 좋지 않았던 점에 대해 묻는 질문에 많은 일본인들이 ‘시대 고증이 철저하지 못하다’라는 반응과 ‘일본인을 편견에 가득 찬 눈으로 보고 있다’ 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미국인 시청자의 응답은 조금 달랐는데, <쇼군>에 대해 좋지 않았던 점으로 ‘폭력적인 장면이 너무 많았다.’ 라는 반응을 보였을 뿐, 일본인의 입장과 비교하면 그들의 입장에서는 오해, 편견, 사실의 왜곡으로 보이는 부분이 미국인 시청자에게는 ‘역사에 매우 충실’한 부분으로 파악되어 좋았던 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Ⅲ. 결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디어 매체에서 그려지고 있는 동양에 대한 왜곡된 시각, 편향된 시각, 즉 오리엔탈리즘은 어쩌면 동양인의 피해의식 속에서 그려낸 의식일 지도 모른다. 또 한편으로는 조금 과장된 측면이 있다하더라도 그들에게 비추어지는 모습을 통해 우리의 실제 모습을 반성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요즘의 영화나 드라마가 동양의 사실적 역사적 배경이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철저한 고증 없이 그려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을 꼭 오리엔탈리즘으로 볼 것이 아니라 드라마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구의 모습에 대해 묘사할 때 우리도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부분일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동양에 대한 묘사가 포함된 각종 영화나 드라마가 나올 때 그것을 무조건적으로 왜곡된 시선이라고 비판할 것이 아니라 그런 매체들이 동양인과 동양의 문화의 접촉 경험들을 늘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충격을 우호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그들과 다양한 교류를 병행하고 우리에 대한 정보를 접할 기회를 점차적으로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점차적으로 영화나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잘못된 고증은 차츰 사라지고 외국인들에게도 우리의 본연의 모습에 대한 사실적 인식이 자라나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4.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