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이란?
2. 본론
영화를 통해 알아보는 숨겨진 신화와 페미니즘,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효과
2-1. '자유부인'
2-2. '금발이 너무해'
2-3. '뜨거운 것이 좋아'
2-4.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의 효과
3. 결론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이란?
2. 본론
영화를 통해 알아보는 숨겨진 신화와 페미니즘,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효과
2-1. '자유부인'
2-2. '금발이 너무해'
2-3. '뜨거운 것이 좋아'
2-4.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의 효과
3. 결론
본문내용
이것 또한 다른 시각에서 볼 때 남녀차별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이 어떠한 일을 잘했을 때는 당연한 것이라고 여기면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이라도 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으면 그 자체를 굉장히 특별한 것으로 여겨 열렬히 환호하는 것이 남성이 여성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다는 신화를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어 뜻을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이러한 단어는 여성의 능력을 인정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오늘날 여성의 인권이 많이 신장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그들이 삶을 살아가는데 주체적이라는 것이다. 능력만 있는 게 아니라 위의 언니네트워크에 나왔듯이 자신의 삶을 자신이 선택하고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렇게 사회에서도 점점 예전의 전통적인 여성상, 전통적인 가족제도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이 주체가 되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것이 용어에서 나타난다.
결론
지금까지 50년대 후반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영화를 살펴보았다. 위에 제시한 영화들을 제외하고도 많은 페미니즘, 포스트페미니즘, 여성영화가 많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예전부터 여성의 객체화에 반대하고 주체화를 원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알아본 것들을 표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유부인
금발이 너무해
뜨거운 것이 좋아
근대화의 영향을 받은 신여성의 모습을 보여줌 그러나 결국은 파멸함. 이를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남성 신화인 가부장주의를 옳은 것으로 나타냄. 페미니즘과 반 페미니즘이 다 나타남.
포스트페미니즘의 표본. 개인의 선택의 강조, 여성성 유지 등이 잘 나타나있음. 남성중심 신화에서 완전히 벗어난 여성을 그림.
오늘날의 여성 영화. 남성이 만들어낸 여성신화를 벗겨내고, 솔직하게 자신들의 생활을 보여줌.
여성들이 객체화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함.
여성들의 능력을 인정하는 용어들이 생겨남.
이러한 모습들을 봤을 때 오늘날 여성들의 인권은 많이 성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 남아있기는 하지만 예전에 비해 남녀차별이 많이 줄어들었고, 계속 서로 조정해 나가는 중이다. 오늘날의 큰 변화는 남성중심의 사회였던 것에서 점차 여성들이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즉 우먼파워가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안정성이나 세밀함 혹은 모성애 등과 같은 일에는 여성을 훨씬 우대해 준다. 이만큼의 성과가 있기까지는 많은 여성단체의 운동과 미디어의 영향들이 있었다. 지금도 우리 사회에서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정확한 구분을 혼동하는 때가 있다. 이들의 개념을 정확히 습득해서 사회생활에서 둘의 의미에 대한 혼동이 있을 때나 잘못 쓰였을 때 그것을 잡아내고 고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남성과 여성이 한 쪽에 편중되지 않고 평등하고 대등하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여성영화산책'/ 유지나/ 생각의 나무/ 2002
'불편해도 괜찮아'/ 김두식/ 창비/ 2010
'한국영화와 근대성'/ 주유신 외/ 서문/ 2001
'언니들 집을 나가다'/ 언니네트워크/ 2009
결론
지금까지 50년대 후반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영화를 살펴보았다. 위에 제시한 영화들을 제외하고도 많은 페미니즘, 포스트페미니즘, 여성영화가 많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예전부터 여성의 객체화에 반대하고 주체화를 원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알아본 것들을 표로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유부인
금발이 너무해
뜨거운 것이 좋아
근대화의 영향을 받은 신여성의 모습을 보여줌 그러나 결국은 파멸함. 이를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남성 신화인 가부장주의를 옳은 것으로 나타냄. 페미니즘과 반 페미니즘이 다 나타남.
포스트페미니즘의 표본. 개인의 선택의 강조, 여성성 유지 등이 잘 나타나있음. 남성중심 신화에서 완전히 벗어난 여성을 그림.
오늘날의 여성 영화. 남성이 만들어낸 여성신화를 벗겨내고, 솔직하게 자신들의 생활을 보여줌.
여성들이 객체화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함.
여성들의 능력을 인정하는 용어들이 생겨남.
이러한 모습들을 봤을 때 오늘날 여성들의 인권은 많이 성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직까지 남아있기는 하지만 예전에 비해 남녀차별이 많이 줄어들었고, 계속 서로 조정해 나가는 중이다. 오늘날의 큰 변화는 남성중심의 사회였던 것에서 점차 여성들이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즉 우먼파워가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안정성이나 세밀함 혹은 모성애 등과 같은 일에는 여성을 훨씬 우대해 준다. 이만큼의 성과가 있기까지는 많은 여성단체의 운동과 미디어의 영향들이 있었다. 지금도 우리 사회에서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정확한 구분을 혼동하는 때가 있다. 이들의 개념을 정확히 습득해서 사회생활에서 둘의 의미에 대한 혼동이 있을 때나 잘못 쓰였을 때 그것을 잡아내고 고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남성과 여성이 한 쪽에 편중되지 않고 평등하고 대등하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여성영화산책'/ 유지나/ 생각의 나무/ 2002
'불편해도 괜찮아'/ 김두식/ 창비/ 2010
'한국영화와 근대성'/ 주유신 외/ 서문/ 2001
'언니들 집을 나가다'/ 언니네트워크/ 2009
추천자료
박완서 작품 속 페미니즘
벨 훅스의 `행복한 페미니즘`을 읽고
원용진 외의 '대중매체와 페미니즘'을 읽고
[여성운동]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이혜경의 『길 위의 집』에 대한 페미니즘적 읽기
[여성학] 페미니즘과 광고에 대한 분석
“파리의 연인” 비평- 장르, 페미니즘, 산업 중심으로
[서평/독후감] 행복한 페미니즘(Feminism Is for Everybody) _ 벨 훅스 (Bell Hooks, 본명 : ...
근대 극복의 기획과 페미니즘 [권명아 소개]
성,사랑,사회4B) 참고도서를 골라서 읽고, “페미니즘의 의미를 단지 여성의 권리와 이익의 증...
박완서(朴婉緖) 문학과 페미니즘(Feminism)
[2017학년도 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중간과제물]세계의정치와경제(공통) 교재 10장 “성과 정치...
프랑스 사회문제 - 사회보장제도와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