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인식 개선 프로그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인식 개선 프로그램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장애인 인식 개선 프로그램
“나의 굿 티쳐, 굿 프렌드”평가 보고서




I. 프로그램의 필요성
 1. 사회문제·····························3
 2. 이론적 배경···························4
 3. 클라이언트 욕구·························5
 4. 프로그램 기대효과························6

II. 프로그램 소개
 1. 사업개요·····························8
 2. 서비스 지역, 서비스 실인원수···················9
 3. 사업 목적 및 목표························9
 4. 사업 내용····························10
 5. 향후 운영계획··························15

III. 프로그램 설계
 1. 컴퓨터 프로그램 회기 별 설계··················16
 2. 공예 프로그램 회기 별 설계···················20
 3. 사진 프로그램 회길 별 설계···················24

IV. 논리모델·······················28

Ⅴ. 프로그램 결산····················29

Ⅵ. 프로그램 평가 방법
 1. 과정평가····························31
 2. 총괄평가····························31
 2. 결론······························37

<부록> 참고문헌·························38
<부록> 첨부자료·························39

본문내용

람이 생긴다면 본인은 어떤 생각이 드리라고 예상합니까?
13.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 교육받으며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따로 교육받으며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를 말해주십시오.
14. 비장애인과 함께 장애 인식 개선에 관하여 알아갈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면, 참석할 의지가 있습니까?
15. 장애인에게 바라는 점이 있습니까?
<장애인용 질문>
1. 비장애인과 함께 장애인 인식에 대하여 교육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본인의 최종학력까지의 경험 중에서)
2. 비장애인과 함께 공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있다면 그 기간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답해주십시오.
3. 공공장소에서 비장애인의 좋지 않은 시선을 느낀 경험이 있습니까?
4. 본인의 장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현재 본인의 삶에서 괴로운 점이 있습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
6. 가족이 있다면, 가족들은 가족 중 장애인이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7. 중도장애의 경우, 장애를 가지기 이전과 장애를 가진 이후의 삶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8.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을 차별한다고 가정할 때, 차별하는 이유를 어떤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9.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 교육받으며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따로 교육받으며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를 말해주십시오.
10. 비장애인과 함께 장애 인식 개선에 관하여 알아갈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면, 참석할 의지가 있습니까?
11. 비장애인에게 바라는 점이 있습니까?
2. 장애 수용 태도 검사(다차원적 태도 척도)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장애를 가진 사람과 친구가 되고 싶다.
2.장애가 있는 학생은 일반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3.장애인은 일반인보다도 특별히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4.장애인은 도움을 받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5.장애인이 곤란을 당할 때 망설이지 않고 도울 수 있다.
6.장애를 가진 사람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싶다.
7.장애를 가진 삶에 대한 지원은 개인이 아닌, 정부와 사회가 담당해야 한다.
8.장애가 있는 학생이 일반학교에 입학함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9.장애인은 특별히 인내력이 강한 것은 아니다.
10.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해서 관심이 있다.
11.장애인은 주위의 도움 없이도 많은 것을 할 수 있다.
12.장애를 가진 사람을 내 친구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저항감음 없다.
13.장애를 가진 사람일지라도 모든 면에서 열등한 것은 아니다.
14.장애를 가진 학생은 일반학교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다.
15.장애를 가진 사람과 거부감 없이 얘기할 수 있다.
16.장애인은 일반인이 느끼지 못하는 것까지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7.장애인은 항상 타인에게 겸손하다.
18.장애인과 일반인 모두 기억력은 동일하다.
19.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적합한 수업은 일반학교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20.장애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속이지 않는다.
21.장애인과 함께 할 때는 지나치게 배려하지 않는다.
22.장애를 가진 사람은 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것보다 일반사회 속에서 생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각 문항을 읽으시고 해당하는 곳에 체크해 주세요.
3. 대인관계 척도
각 문항을 읽으시고 해당되는 번호를 적어주세요.
4. 자아존중감 척도
각 문항을 읽으시고 현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곳에 체크해 주세요.
문 항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나는 내가 적어도 다른 사람만큼은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낀다.
2.나는 내가 좋은 자질(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3.대체로 나는 내가 실패자라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4.나는 남들이 하는 만큼은 일을 할 수 있다.
5.나는 내가 자랑스러워 할 만한 것이 별로 없다고 느낀다.
6.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7.대체로 나는 나 자신에 만족한다.
8.나는 나 자신을 좀 더 존중할 수 있으면 하고 바란다.
9.나는 때때로 나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라고 느껴진다.
10.때때로 나는 내가 전혀 유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5. 평가 설문지- 컴퓨터 반
각 문항을 읽고 해당 기술을 알거나 활용할 수 있으면 ‘예’,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에 체크해주세요.
문항

아니오
포토샵
1. 새 캔버스 만들기와 열기
2. 색상 칠하기
3. 사진 복제
4. 사진 이미지 크기조절
5. 이미지의 여백 늘이기
6. 이미지 변형
7. 자신만의 글씨체 만들기
8. 캐릭터 그리기
9. 로고 만들고, 브러시로 등록하기
10. 상영회 포스터 만들기
타이포 그래피
11. 수평 타입 툴을 이용한 글자 입력하고 편집하기
12. 워프 툴을 활용해 곡선으로 글자를 입력하기
13. 글꼴 추가
UCC
14. UCC 음향
15. UCC 사진 편집하기
6. 평가 설문지- 공예 반
각 문항을 읽고 해당 기술을 알거나 활용할 수 있으면 ‘예’,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에 체크해주세요.
문항

아니오
도자기 공예
1. 수공 성형하기
2. 정형 하기
3. 초벌 하기
4. 유약작업
5. 재벌하기
한지공예
6. 한지로 그릇의 틀 만들기
7. 한지로 탈의 기본 틀 만들기
8. 전통문양 붙이기
9. 답선하기
전통부채 만들기
10. 부채도련하기
11. 변선두르기
12. 사북박기
핸드폰 케이스 만들기
13. 핸드폰 크기에 맞게 케이스 도면 설계
14. 케이스 도면 조립하기
7. 평가 설문지- 사진 반
각 문항을 읽고 해당 내용을 알거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면 ‘예’,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에 체크해주세요.
문항

아니오
디지털 카메라의
원리와 구조
1. 카메라의 작동방법
2. 카메라 관련 용어
구도
3. 소실점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
4. 중심적 구도
5. 삼각형 구도
6. 사선 구도
7. 수평선 구도
8. 수직선 구도
9. 곡선구도(S.Z자형)
10. 원근법 구도
촬영 기법
11. 선셋아워
12. 스냅샷
13. 줌인샷
14. 파노라마
  • 가격5,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3.04.13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